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육교사의 일-가정 갈등과 감정노동, 보육헌신 및 이직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이명한 ( Lee¸ Mueng Han ),김보현 ( Kim¸ Bo-hyun ),구광현 ( Koo¸ Kwang-hyu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21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8 No.4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일-가정 갈등과 감정노동의 하위 변인, 보육헌신, 그리고 이직 및 전직 의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 1,045명이다. 설문지 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식 모형을 적용하여 변인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가정 → 일 갈등, 자연적 행동, 내면적 행동은 보육헌신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 → 가정 갈등, 가정 → 일 갈등 모두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자연적 행동은 부의 영향을, 표면적 행동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전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일 → 가정 갈등과 가정 → 일 갈등이 정의 영향을, 자연적 행동은 부의 영향을, 표면적 행동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헌신은 전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헌신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일 → 가정 갈등과 전직의도, 가정 → 일 갈등과 전직의도, 자연적 행동과 전직의도, 내면적 행동과 전직의도의 관계에서 보육헌신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일-가정 양립 방안 모색, 보육헌신 향상을 위한 감정 노동의 효과적 관리와 지원, 보육 헌신 강화프로그램 개발ㆍ실행 및 조직 문화 형성 등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teachers' work-family conflict, emotional labor, childcare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which is divided into turnover intention itself and transfer inten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045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childcare centers. The data collected through survey questionnaire were analyzed by applying a structural model.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it was found that their family → work conflict, natural behavior, and inner behavior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childcare commitment. Also, both their work → family conflict and family → work conflic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turnover intention. However, their natural behavior had a negative effect whereas their superficial behavior had a positive effect. Their childcare commitment was reveale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ir transfer intention.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care commitment, the mediating effect appeared to b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work → family conflict and their transfer intention, between their family → work conflict and their transfer intention, and between their natural behavior and their transfer intention. These result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balance child care teacher`s work-family, effectively manage and support emotional labor to improve child care commitment, develop and implement child care commitment reinforcement programs, and form an organizational culture.

      • 보육교사의 일-가정 갈등에 관한 인식 연구

        이명한(Mueng Han Lee),김화록(Hwa Rok Kim),강예자(Ye Ja Kang),이수진(Su Jin Lee) 한국갈등학회 2023 한국갈등학회보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개인적 배경 변인에 따른 일-가정 갈등에 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하고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이다. 보육교사의 연령과 학력, 교사경력, 결혼상태, 어린이집 시설유형, 담당학급 유아 연령, 학급규모 등에 따라 일-가정 갈등에 관한 인식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지역의 어린이집에 근무중인 보육교사 1,0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활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Scheffé를 활용한 사후검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인식 차이 분석결과에 따르면,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일(직장)로 인한 가정에서의 갈등은 교사의 연령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0대와 40대 교사가 50대 이상 교사에 비해 일(직장)로 인한 가정에서의 갈등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에서의 역할로 인한 일(직장)에서의 갈등은 교사의 연령, 결혼상태, 시설유형, 교사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일-가정 갈등의 효과적인 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보육교사의 개인적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갈등관리 지원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work-family conflict (WFC) according to the personal background variables of childcare teachers and to discus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 analyzed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WFC according to the age, education teacher experience, marital status of childcare teachers, type of daycare center facility, infant age, and class size in charge.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1,045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data were collected. We analyzed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variance analysis (ANOVA), and Scheffé using SPS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it was found that the conflict at home due to work (workplace) recognized by the childcare teacher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age of the teacher. It was found that teachers in their 30s and 40s had a higher perception of conflict at home due to work than teachers in their 50s or older.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flict at work due to the role at home ha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age, marital status, facility type, and teacher experience of the teacher.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emphasized the need for effective management of work-family conflicts of childcare teachers and discussed customized conflict management support measures consideri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childcare teachers.

      • KCI등재

        유아교사가 인식한 사회적 지지가 그릿에 미치는 영향

        김숙미(Sook Mi Kim),구광현(Kwang Hyun Koo),김화록(Hwa Rok Kim),이명한(Mueng Han Lee)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22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grit improvement program development and social support network establishment. For this purpose,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grit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analyzed focusing on the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and sub-variables of social support. To this end, online and offline surveys were conducted on 754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nd 750 copies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On the whole, the result of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the teachers had a generally positive effect on grit. Going into details about the results, first, the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age, education level, teaching career) had a positive effect on passion and interest persistence among the sub-variables of grit(passion, persistence, interest persistence), and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ersistence.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dditional input of social support variables along with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teachers, age had an effect on all sub-variables of grit, and education had an effect on passion and interest persistence, but career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grit. Second,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in improving the grit of the teachers. In particular, among the sub-variables of soci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nd appraisal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ub-factors of grit. The above study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increase the gri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teachers’ social support and to provide various support systems that can help the teachers.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인식한 사회적 지지가 그릿에 미치는 영향을 교사의 배경 변인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인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유아교사의 그릿 향상 프로그램 개발과 사회적 지지망 구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75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설문지 중 750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가 인식한 사회적 지지가 그릿에 대체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첫째, 유아교사의 개인적 배경 변인(연령, 학력, 경력)은 그릿의 하위변인(열정, 끈기, 흥미 지속성) 가운데 열정과 흥미 지속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연령과 학력만이 끈기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사의 개인적 배경 변인과 함께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인을 추가로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 연령은 그릿의 하위변인 모두에, 학력은 열정과 흥미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지만 경력은 그릿에 의미있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는 유아교사의 그릿 향상에 상당한 설명력을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인들 가운데 정보적 지지와 평가적 지지가 그릿의 하위요인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유아교사의 그릿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의 사회적 지지를 높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교사들의 업무수행을 도울 수 있는 다양한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