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규모 자연재해의 근린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

        이달별(Lee, Dalbyul) 한국방재학회 2020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0 No.1

        이 연구는 자연재해가 근린에 미치는 영향을 근린의 연령·주택유형 다양성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1995~2015년 사이 대규모자연재해를 경험하지 않은 근린을 대조집단으로 설정하고 2006년 이후 재해를 경험한 근린에서의 다양성이 어떻게 변화되는가를관찰한다. 근린을 통계청의 집계구로 정의하고, 근린의 특성(피해정도, 재정자립도)에 따른 자연재해 영향의 상이함을 밝히고자longitudinal data analysis를 활용한다. 분석 결과는, 첫째 대규모 자연재해에 의해 연령·주택유형 다양성은 즉각적으로 감소하나상대적으로 빨리 회복하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근린 특성에 따라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피해정도가 심각한 근린의 연령다양성은 급격하게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이후 복구시기에 빠르게 증가하였다. 재정자립도가 높은 근린일 경우, 연령다양성은 증가한 반면 주택유형 다양성은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재해 이후의 증가율은 반대의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결과는 지방정부가 자연재해 전후 근린 특성에 따른 재난관리 정책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의미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s of natural hazards on neighborhoods, focusing on their age and housing type diversity. It estimates how the diversity of neighborhoods having experienced large natural hazards since 2005 changed between 1995 and 2015, as compared to neighborhoods without such experiences. Neighborhood was defined as a census tract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longitudinal data analysis was used to clarify the differences in natural hazards impac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damage intensity and financial independence) of the neighborhood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age and housing type diversity decrease immediately in the aftermath of large natural hazards but tend to recover quickly. Second, the impacts differ in accordance with the neighborhood s characteristics. Age diversity in neighborhoods with severe damage tends to decrease sharply but increases rapidly during recovery. In neighborhoods with high levels of financial independence, age diversity tends to increase, while housing type diversity tends to decrease, and post-disaster growth rates tend to be reversed.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구급서비스의 지역 불균형: 부산시 119 구급활동일지 분석

        이달별 ( Dalbyul Lee ) 한국지리정보학회 2020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3 No.3

        이 연구는 부산소방재난본부의 119 구급활동일지를 이용하여 부산의 구급서비스의 지역적 불균형을 조사하였다. 2017년 구급신고 자료를 집계구 단위로 취합하여 구급서비스의 수요(신고건수, 인구대비 신고건)와 공급(신고건수, 인구대비 신고건수, 현장도착시간의 평균·변동계수·이상치, 관할구역 외 출동건수)의 공간분포를 GIS 공간통계분석 중 핫스팟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구급서비스의 수요와 공급 모두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핫스팟지역과 콜드스팟지역이 명확하게 구분되었으며, 이는 부산 내 구급서비스의 수요 뿐 아니라 공급이 지역적으로 불균형함을 의미한다. 특히 원도심과 그 주변지역과 부산시 외곽지역에서의 구급수요 및 공급에서 극명한 차이를 보였다. This study analyzed local imbalances in the supply and demand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in Busan using the 119 emergency activity reports of the Busan Fire & Disaster Headquarters. The data for EMS activity reports in 2017 was converted into Jimgyegu units.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indicators representing the local imbalance of emergency demand and supply (number of reports, number of reports relative to the population, average coefficient of variation and outlier of on-site arrival time, and number of dispatches outside the jurisdiction) was analyzed using Hotspot analysis of GIS spatial statistics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hot spot area and the cold spot area where both supply and demand of emergency services are concentrated were clearly distinguished. This means that the supply and demand of emergency services in Busan are locally unbalanced. In particula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emand and supply of emergency services in the original downtown and its surrounding areas, and in the outskirts of Busan.

      • KCI등재

        서울시 소방서비스의 공간적⋅사회적 형평성에 관한 연구

        이달별(Lee, Dalbyul) 한국방재학회 2017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7 No.1

        이 연구는 소방서비스의 공간적 불균등은 사회적 불균등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가정 하에 서울시의 소방서비스의 공간적⋅사회적 형평성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집계구 및 실제 가로⋅시간별 통행속도를 바탕으로 GIS의 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하여 5분 내 소방서비스 접근 가능 지역을 파악하고, 화재위험도와 소방서비스를 기반으로 지역을 분류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서울시는 소방서비스의 공간적 불균등으로 인해 최대 전체인구의 20.2%가 소방서비스 접근이 취약하며, 화재위험도가 높으면서 소방서비스가 열악한 지역에 3.4%의 인구가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서비스에 따른 지역의 평균적 사회적 특성엔큰 차이가 없으나 소방서비스가 미흡한 지역 중 사회적으로 취약한 인구가 다수 거주하는 지역이 존재한다. 서울시는 소방서비스의 공간적 불균등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과 함께 소방서비스 적정시간 내 미도달지역의 화재취약계층을 위한 정책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spatial and social equity of fire service in Seoul, hypothesizing spatial inequity is related with social inequity. Using GIS network analysis with data of census block groups and real vehicle traffic speed according to time and roads, it identifies accessible areas within 5 minutes from fire station, classifies areas according to fire risks and fire service and compares social characteristics among classified areas. The results show (1) 20.2% of total population in Seoul are not offered with operate fire service because of spacial inequity of the service, (2) 3.4% of total population live in areas with high fire risks and low fire service, and (3) of them, social vulnerable person is also included. City of Seoul should implement policies to improve traffic speed of fire trucks and support vulnerable people from fire risks.

      • KCI등재

        기상요인이 119 구급서비스에 미치는 영향 : 부산을 중심으로

        이달별(Lee, Dalbyul) 한국방재학회 2020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0 No.6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s of meteorological factors on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s (EMS). Busan in 2017 was set as the temporal and spatial subject. It identified th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each meteorological factor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119 EMS and investigated the degree of weakness in the provision of EMS due to weather abnormalities. The characteristics of EMS were defined by the number of dispatches, EMS time, distance to dispatch, and the ratio of dispatches outside the jurisdiction in the 119 EMS activity report of the Busan Fire Headquarter. Meteorological factors included temperature, wind speed, and precipitation data from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 Automatic Weather System (AWS), and the meteorological abnormality was set as heavy rain that occurred in Busan on September 11, 2017.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eather and EMS reveal that the weather factors affect the characteristics of EMS, although it differs according to the first factor. In particular, an increase in temperature and rainfall tends to negatively affect the proper provision of EMS. Weather anomalies, such as the torrential downpour on September 11, 2017, acted as a factor that made the provision of emergency services more vulnerable. 이 연구는 기상요인이 구급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으로, 기상요인별 구급서비스 특성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밝히고 기상이상현상에 의한 구급서비스 제공 취약 정도를 조사하였다. 2017년 부산을 시간적공간적 분석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구급서비스의 특성은 부산소방본부의 119구급상황활동일지의 출동자료 중 출동건수, 출동소요시간, 출동거리, 관할 외 출동비율로 파악하였다. 기상요인은 기상청의 방재기상관측에서 제공하는 기온, 풍속, 강수량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기상이상현상은2017년 9월 11일 부산에서 발생한 호우로 설정하였다. 기상과 구급서비스 간 관계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는 첫째 요인별따라 차이가 있지만 기상요인은 구급서비스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기온의 상승과 강수량의 증가는 구급서비스의적절한 제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다. 둘째, 2017년 9월 11일 발생한 집중호우 같은 기상이상현상은 구급서비스제공을 더욱 취약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 KCI등재

        세월호 참사 이후 재난·안전분야 R&D 과제 변화 분석 : 2005~2019년 재난유형·주관부처별 투자 변화를 중심으로

        이달별(Lee, Dalbyul) 한국방재학회 202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재난 및 안전에 대한 국가 지원 연구개발과제의 현황을 다각적으로 살펴보고, 재난⋅안전분야 연구개발과제에 대한 투자가 대형재난, 특히 세월호 참사 이후 재난유형, 주관 부처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 자료를 이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지난 15년간 우리나라 재난⋅안전분야 R&D 과제는 특정 행정기관이 주도하는 단기적인 예방 중심의 투자가 주를 이루어왔다. 우리 사회 전반을 흔들었던 세월호 참사 직후 R&D과제 수와 과제비는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실증 분석결과, 세월호 참사 직후인 2015년 재난유형별 R&D과제 수와 예산은 급격하게 증가한 반면 이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거나 변화가 없었다. 중앙행정기관별 투자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재난⋅안전분야 R&D 과제 지원을 확대해나가는 것과 함께 장기적인 지원 경향을 파악⋅평가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중요하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tatus of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R&D) projects in disaster and safety fields and to empirically analyze how investment in these R&D projects has changed by disaster type and administrative agency after a large disaster, focusing on the Sewolho disaster using data from NTIS. For the past 15 years, the R&D projects have focused on short-term prevention-oriented investments led by specific administrative agencies. In the aftermath of the Sewolho disaster, which destabilized our society, the number and budget of the R&D projects tended to increase sharply. The empir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number and budget of the projects by disaster type in 2015 increased sharply right after the Sewolho disaster, but had decreased or remained unchanged over time. A similar trend was observed in investment by administrative agenc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xpand support for R&D projects in the field of disaster and safety and to establish a system to identify and evaluate long-term support trends and systematically reflect them.

      • KCI등재

        기초자치단체의 풍수해저감종합계획 비교·분석 : 자연재해 취약성별 저감대책을 중심으로

        이달별(Lee, Dalbyul) 한국방재학회 2019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9 No.7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tatus of reduction measures within Local Comprehensive Plans for Storm and Flood Damage Reduction and analyze whether these measures reflect the vulnerability of natural hazards. It also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ulnerability of natural hazards and the number (and budgets) of reduction measures in 55 local comprehensive plans implemented between 2010 and 2014. The results show that reduction measures for coastal risk zones reflect the vulnerability of related natural hazards well. Local governments with high vulnerability of wind waves of sea and typhoon established a relatively large number and budgets of related reduction measures-some local governments established reduction measures for all natural hazards, while others fell short despite the risks of natural disasters. 이 연구는 기초자치단체의 풍수해저감종합계획 내 저감대책 현황을 파악하고 자연재해별 취약성을 반영한 저감대책 수립정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0~2014년 수립된 55개 시·군 풍수해저감종합계획의 저감대책을 대상으로 자연재해별 취약성과 관련 저감대책의 수 및 예산과의 관계를 상관분석과 독립표본 t-test를 이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저감대책 수와 예산에 있어 해안재해 대책이 관련 자연재해 취약성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다. 풍랑과 태풍 취약성이 높은 지자체의 풍수해저감종합계획 내 해안재해 대책 수가 상대적으로 많이 수립되었으며 예산도 많이 산정되어 있었다. 둘째, 특정 자연재해 취약성과 관계없이 자연재해별 다양한 저감대책을 수립하고 지자체가 존재하는 반면 자연재해 위험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저감대책 수립에 있어 미흡한 지자체도 존재했다.

      • KCI등재

        안전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근린 특성에 관한 연구: 부산의 장소별 안전사고 발생을 중심으로

        이달별(Dalbyul Lee) 한국방재학회 202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3 No.3

        Small accidents are common in places closely related to public life. This study focused on the neighborhood, i.e., the space where our daily lives take place, and sought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ighborhood affecting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This study targeted Busan. Busan is highly likely to be vulnerable to safety concerns, as it has the highest proportion and increase rate of the elderly among large cities in Korea. Accordingly, this study classified neighborhood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and observed the differences in safety accidents by place. Then, the causes of housing safety accidents (the most common type of safety accident) were identified from the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demonstrated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safety accidents by place according to the neighborhood type. In most neighborhoods, safety accidents in houses were the most common. In addition, the residents under the age of 14 and over 65, single-person households, housing types, and housing deterioration in a neighborhood were identified as statistically valid factors affecting the occurrence of housing safety acci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