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요추 척추관 협착증에서 선택적 척추 신경근 차단술의 치료 효과

        이기행(Kee-Heang Lee),정창훈(Chang-Whoon Chung),문찬웅(Chan-Woong Moon),유종민(Jong-Min Yoo),최정근(Jung-Keun Choi),김윤수(Youn Soo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3

        목적: 수술적 치료가 적응이 되는 요추 척추관 협착증 환자에서 선택적 척추 신경근 차단술의 효과를 판정하기 위하여 이 연구를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4월부터 2002년 10월 사이에 전산화 단충 촬영을 이용한 선택적 척추 신경근 차단술을 시행했던 환자 중 수술의 적응증이 되었으나 마취 및 수술의 위험성이 높아 수술을 하지 못한 21명의 요추 척추관 협착증 환자를 대상으로 평균 19.5개월간(최소 12개월, 최장 60개월) 추시하였다. 남자 9명, 여자 12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66.4세(58-78세)였다. 의무 기록, 방사선학적 검사 소견을 조사하였고 필요시에 전화 면담을 시행하였다. 마취 및 수술의 위험성은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 (ASA) physical status classification을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선택적 척추 신경근 차단술 후 9개월과 최종 추시 시의 Kirkaldy-Willis의 기준에 의거한 결과와, 선택적 척추 신경근 차단술 후 2주, 1개월, 3개월, 5개월, 9개월 그리고 최종 추시 시에 증상의 재발을 결과 판정에 이용하였다. 결과: 총 21예 중 ASA 기준으로 3급이 8예, 4급이 13예였다. 수술을 하지 못한 주된 원인은 심장 질환이 17예(81%), 신장 질환이 2예(9.5%), 내분비 질환이 2예(9.5%)였다. 증상의 발현부터 선택적 척추 신경근 차단술 사이의 기간은 1개월에서 30년(평균 41.6개월)이었다. 3예를 제외한 18예에서 평균 1.9개월(최소 1일, 최장 9개월)에 차단술 시행 전과 같은 정도의 동통이 재발하였다. Kirkaldy-Willis의 기준에 의한 결과는 9개월에는 우수는 없었고, 양호 1예(4.8%), 보통 2예(9.5%), 불량 18예(85.7%)였다. 최종 추시 시에 4예를 제외한 전 예에서 결과가 변화는 없었으나, 4예에서는 특별한 치료 없이 호전 되었다(불량에서 양호 2예, 불량에서 보통 2예). 결론: 선택적 척추 신경근 차단술 후 요추 척추관 협착증의 증상의 호전은 단기간(평균 1.9개월)이었다. 이 같은 결과로 보아 선택적 척추 신경근 차단술은 수술의 적응이 되는 척추관 협착증 환자에서는 추천이 되지 않는다.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a selective nerve root block (SNRB) for a lumbar spinal stenosis (LSS) that indicated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Twenty-one LSS patients, who were indicated for surgery but could not be operated on due to a high anesthetic risk,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an evaluated on average of 19.5 months (range, 12 to 60 months) following the SNRB from April 1998 to October 2002. There were 9 males and 12 females with a mean age of 66.4 years (range, 59 to 78 years). The medical records and radiologic studies were reviewed, and a telephone interview was carried out where needed. The anesthetic risk was evaluated by the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ASA) physical status classification. The Kirkaldy-Willis criteria (at 9 months after SNRB and last FU) and the recurrence of symptoms (at 2 weeks, 1 month, 3 months, 5 months, 9 months after the SNRB, and the last FU) were analyzed. Results: Among the 21 patients, 8 patients were in the ASA class 3, 13 in class 4. The major physical conditions that indicated a high anesthetic risk was cardiac problems in 17 patients, renal problems in 2, and endocrine problem in 2. The interval between the onset of symptom and the SNRB ranged from one month to 30 years (average, 41.6 months). All but 3 patients had a recurrence of their symptoms at an average 1.9 months (range, 1 day to 9 months) after the SNRB. According to the Kirkardy-Wills criteria, 9 months after SNRB, the results were good in 1 patient, fair in 2, and poor in 18. At the last follow-up, all but 4 patients did not show a chang in their status according to the Kirkardy-Wills criteria, and 4 patients improved (poor to good in 2, poor to fair in 2) without treatment. Conclusion: The symptoms of LSS improved for a very short period (average, 1.9 month) by SNRB. These results suggest that SNRB suitable for the LSS patients who require need surgery.

      • KCI등재

        소아의 대퇴골 간부 폐쇄성 골절에서 속발한 급성 화농성 골수염

        정창훈(Changhoon Jeong),김형민(Hyoung-Min Kim),이기행(Kee-Heang Lee),문찬웅(Chan-Woong Moon),박일중(Il-Jung Park),김찬규(Chan-Kyu Kim),김윤수(Youn Soo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5

        폐쇄성 골절의 합병증으로 발생하는 급성 골수염은 매우 드물며 국내에서는 연부 조직 손상(좌상) 후 합병증으로 골수염이 발생한 증례 보고가 있을 뿐이다. 저자들은 소아에서 대퇴골 간부의 폐쇄성 골절 후 발생한 동측 대퇴골 간부의 골수염을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cute osteomyelitis following a closed fracture is very rare. Only one case has been reported that trivial trauma (contusion) may be associated with the subsequent development of acute osteomyelitis in Korea. Authors report an acute osteomyelitis in the shaft of the femur after closed fracture in a chi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