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 가정 부모의 진로관련 지지 행동 변화 유형에 따른 청소년의 학업성취, 삶의 만족도, 진로장벽 차이

        윤홍주(Hongju Yun),최효식(Hyo-Sik Choi)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11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청소년이 지각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진로관련 지지 행동의 변화 양상을 토대로 한 잠재계층을 탐색하고, 잠재계층에 따라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성취, 삶의 만족도 변화 양상 및 진로장벽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연구의 6차년도 자료(2016년, 중3)부터 8차년도(2018년, 고2) 자료까지 3개년도 923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성장혼합모형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중3-고2 시기 동안 다문화 청소년이 지각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진로관련 지지 행동의 변화 양상은 공통적으로 4개 잠재계층(상-증가형, 중상-무변화, 중-감소형, 중하-감소형)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공통적으로 진로관련 지지 행동 수준이 높은 잠재계층 순으로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성취 초깃값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잠재계층에 따라 변화 양상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공통적으로 진로관련 지지 행동 수준이 높은 잠재계층 순으로 다문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의 초깃값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체로 삶의 만족도가 감소하는 패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진로장벽 인식의 3개 하위 요인(진로 및 직업정보의 부족, 자기이해 부족, 경제적 어려움)에서 중상-무변화, 중-감소형, 중하-감소형 집단이 상-증가형 집단보다 진로장벽을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부모의 진로관련 지지 행동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청소년의 학업성취, 삶의 만족도, 진로 인식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latent group classification based on the changes in the career-related support behaviors of parents and examine any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life satisfaction, and career barriers depending on the classified groups using the data of 923 adolescents in the 6th to 8th-year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results of group classification that explored the growth type of changes in the career-related support behaviors indicated the following four main groups: high-increasing, upper middle-unchanged, middle decreasing, and below middle-decreasing. Second, when both the mother and father showed more career-related support behaviors, the initial value of their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was high,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nges in career-related support behaviors differed according to the latent groups. Third, similar pattern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career-related support behaviors, the initial value of academic achievement, and career-related support behaviors of parents led to a high initial value in life satisfaction of their children. However, the life satisfaction of children decreased gradually. Fourth, children in groups of the upper middle-unchanged, the middle decreasing, and the below middle-decreasing perceived more career barriers than children in the high-increasing group.

      • KCI등재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변화 양상에 따른 진로관련 행동 및 자녀의 심리사회적, 학업적 특성 차이

        윤홍주(Hongju Yun),최효식(Hyo-Sik Choi)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12

        본 연구에서는 자녀가 초등학생에서 중학생으로 성장하는 과정(초4-중3)에서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어떠한 형태로 변화하는지 확인하고, 확인된 잠재계층에 따라 고등학교 1학년 시기의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의 진로관련 행동, 자녀의 심리사회적, 학업적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연구 7개년도 자료(초4-고1, 2011년-2017년)를 활용하였으며, 잠재계층성장분석, BCH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자녀가 초등학생에서 중학생으로 성장하는 과정(초4-중3)에서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변화 양상은 4개 잠재계층(상수준 증가-감소형, 중상수준 증가-감소형, 중수준 무변화, 중하수준 무변화)으로 구분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확인된 잠재계층의 특징은 양육효능감 수준이 높은 집단의 경우 자녀가 초등학교 시기에는 양육효능감이 증가하지만, 중학교 시기에는 감소하는 반면, 양육효능감 수준이 낮은 집단의 경우 자녀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양육효능감의 변화가 거의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변화 양상에 따라 고등학교 1학년 시기의 진로관련 행동 및 자녀의 심리사회적, 학업적 특성에 차이가 있었으며, 대체로 상수준 증가-감소형 집단의 자녀가 지각한 진로관련 행동수준이 높으며, 심리사회적(자아존중감, 우울, 진로장벽인식), 학업적(성취동기, 학업성취) 특성 또한 긍정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자녀가 초등학생에서 중학생으로 성장하는 과정(초4-중3)에서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높여주는 것이 고등학교 1학년 시기의 진로관련 양육행동 및 자녀의 심리사회적, 학업적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parenting efficacy of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how these trajectories differentiate perceived mothers" career-related behaviors as well as the socio-psychological and academic characteristic of their children in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The latent class analysis (LCA) and BCH method were applied by using data drawn from the 4th to 10th graders in 2011-2017 from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Results showed that the latent profile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ased on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parenting efficacy of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y: "high level increasing-decreasing", "above average increasing-decreasing", "average unchanged", and "below average unchanged". As for demonstrated outcomes, the high parenting efficacy group increased when children were in elementary school but decreased when children were in middle school. At the same time, the low parenting efficacy group did not show much change during these periods. Next, parenting efficacy was a significant determinant of perceived mothers" career-related behaviors and socio-psychological and academic characteristic of their children who attend high school.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implies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developing policies to encourage parenting efficacy of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may result in positive socio-psychological and academic characteristics of their children in high school.

      • KCI등재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사교육비 지출 결정요인

        윤홍주(Yun Hong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특성과 배경이 사교육 참여 여부와 사교육비 지출 규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사교육 참여율과 사교육비 지출 규모가 상당함에도 그동안 이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소홀한 편이었다. 자료는 ‘2017년 특수교육 실태조사’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대상은 중학생 1,692명, 고등학생 1,778명 등 총 3,470명이다. 분석결과 장애학생의 사교육 참여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특수교육 배치유형, 졸업후 진로, 장애유형, 특수교육에 대한 만족도, 가족구성 형태였으며, 사교육비 지출 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역시 이와 동일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학생의 사교육 참여율과 사교육비 지출 수준이 상당히 높은 편인데, 장애학생이 비장애학생과 차별없이 동등하게 교육받을 권리를 실질적이고 완전하게 보장하기 위해 사교육비 경감을 포함하여 교육활동에 대한 지원수준을 보다 높일 필요가 있다. 둘째, 상급학교 진학 계획은 사교육 참여와 사교육비 지출을 증가시키는 주요한 원인이었으며, 장애학생에 대한 상급학교 교육기회 확대와 더불어 중·고등학교 단계의 학생들에게는 상급학교 진학을 위한 다양한 정보와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셋째, 장애유형별 교육비 차이도를 충분히 반영하여 특수교육에 대한 재정지원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participation and expenditure level of private education expense. Despite the high participation rat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large amount of spending on private education, attention and research have been neglected. The data used the ‘2017 A Nation-wide Survey on Special Education’, which included 1,692 middle school students and 1,778 high school stud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affect the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private education were the types of special education placement, career path after graduation, disability type, satisfaction level of special education, family composition, and variables that affect the amount of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were the sam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tion rat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private education and the level of spending on private education are quite high. In order to ensure practical and complete the right of disabled students to be equally educated with non-disabled students, the level of support for educational activities, including the reduction of private education expenses, needs to be raised. Second, the plan to go to higher schools has been a major cause of participation in private education and increased spending on private education, and in addition to expanding opportunities for higher schools for disabled students, students at the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should be given more information and support to enter higher schools. Third, financial support for special education needs to be made by fully reflecting the cost differentials by type of disabilities.

      • KCI등재

        다문화가정 부모의 유아교육기관 선택요인

        윤홍주(Yun Hong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3

        본 연구는 2015년 ‘전국다문화문화가족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다문화가정 부모의 유아교육기관 선택요인을 분석하였다. 유아교육기관 선택요인에 관련되는 독립변수는 크게 1) 사회경제적 변인, 2) 가정구조 변인, 3) 이민자 변인으로 구성하였 으며,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경제적 변인 중 가구소득은 유아교육 기관 선택에 유의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어린이집 대비 유치원에 다닐 확률은 높아지는 반면 부모 보육할 확률은 낮아졌다. 둘째, 자녀수, 출생 순서, 유아연령 등 가정구조 변인이 선택요인으로 유의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자녀수가 많을수록, 출생순서가 낮을수록 어린이집에 비해 유치원을 선택할 확률이 낮아졌다. 셋째, 이민자 변인 중 소득이 높은 미국․유럽 출신 이민자의 경우 어린이집보다는 유치원이나 부모 보육을 선택할 가능성이 유의하게 높았다. 다문화가정 유아교육 기관 선택과 지원을 위해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예비 및 현직 유아교사들에게 다문화에 대한 다양한 연수와 교육을 지원하고, 다문화가정 부모에 대한 한국어 교육 등 다양한 지원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child care institutes in multicultrual families by using the data from National Survey on Multicultural Families in 2015. The independent variables related to the choice factors of infant education institutions were composed largely of 1) socioeconomic variables, 2) family structure variables, and 3) immigration variables, and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hoice of the institute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family income. Second, sibling order and child age had positive effects on kindergarten preference. But the number of children increases, it was less likely to enroll in kindergarten. Third, Preschool-aged children whose parents are American or European, more affluent were more likely to be in kindergarten than to be in the child care center. Based on the results, the several recommendations were discussed to support the children and par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such like providing information of child care institutes, strengthening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making Korean languages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 needs of 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

        우리나라 교육재정의 공평성 분석

        윤홍주(Yun HongJu) 한국교육행정학회 2004 敎育行政學硏究 Vol.22 No.2

        본 연구에서는 공평성과 관련하여 최근 논의되는 적정성을 포함하여 공평성 개념체계를 새롭게 구성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교육재정의 공평성을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16개 시·도 교육청과 3,794개의 초·중·고등학교의 2001년 학교회계 결산자료를 활용하였다. <br/> 분석결과 수직적 공평성, 재정적 중립성, 교육비 확보의 적정성 문제는 심각하지 않았으나, 교육비 지출의 적정성과 수평적 공평성은 낮게 나타났다. 수평적공평성의 경우 시·도 교육청간의 불평등보다 시·도 교육청내 학교간의 교육비불평등이 휠씬 컸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 도 교육청별로 교육여건과실정에 맞는 교육재정 배분방식이 개발되어야 하며, 단위학교의 예산편성 참여자에게 적정교육비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new conceptual framework of equity including adequacy and to analysis equity in education finance especially focusing on the site schools. To achieve this purpose, accounting data were employed from 16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POE) and 3,794 schools. Gini coefficient, McLoone index,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dequacy index were adopted for<br/> analysing equity.<br/>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br/> 1. The criteria of adequacy doesn't meet the requirements of securing adequate level of education resource. Especially, Adequacy indice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re more lower than high schools.<br/> 2. As a result of analysing horizontal equity, inequality of education resource within POE are more serious than that of between POE. But problems of vertical equity are not founded.<br/> 3.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education finance system has met fiscal neutrality, there are no relations between expenditure per pupils and their fiscal capacity.<br/> The conclusions based o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vertical equity, fiscal neutrality, and adequacy of securing resource are desirable. But horizontal equity and adequacy of expenditure are low. Second, to improve horizontal equity, various POE-based methods of allocation should be developed. Third, though it is still plagued by disparities in resource and expenditure, the system needs to be move toward education adequacy.

      • KCI등재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초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 예측요인 탐색

        윤홍주(Yun, Hong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3

        목적 본 연구에서는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하여 초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 예측요인을 탐색하고, 예측의 중요도를 분석한 후 진로교육 관련 교육적,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초등학생 7,501명의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2019)를 이용하여 진로개발역량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35개 예측요인에 대한 랜덤 포레스트 분석을 하였다. 잠재프로파일 분류에는 정보지수(AIC, BIC, SABIC), 분류의 질(Entropy), 모형비교 검증(BLRT_p)을 활용하였고, 랜덤 포레스트에서는 MDA를 활용하여 중요도 지수를 분석하였다. 결과 초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은 수준에 따라 ‘최고역량’, ‘고역량’, ‘보통역량’, ‘저역량’으로 구분되었으며, 랜덤 포레스트 분석을 통한 예측요인에서는 배움의 즐거움, 학습방법과 계획에 대한 자기수정, 효과적인 학습방법에 대한 생각, 미래에 도움이 되는 공부의 지향, 다양한 방법을 사용한 문제해결 등 학습동기와 학습태도가 진로개발역량을 예측하는 중요한 요인이었다. 결론 진로개발역량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진로개발 활동이나 프로그램 운영과 더불어 학습동기와 학습태도와 같은 심리적, 정서적 요인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진로교육에 이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edictors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random forest, analyze the importance of prediction factors, and present educational and policy implications related to career education. Methods The analysis used the 2019 Career Education Status Survey data. 7,501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used to analyze Latent Profiles for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and Random Rorest analysis of 35 predictors. Information indices (AIC, BIC, SABIC), quality of classification (Entropy), and model comparison verification (BLRT_p) were used for Latent Profile classification, and importance indices were analyzed using MDA in Random Forest. Resul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best competency,” “high competency,” “normal competency,” and “low competency” according to their level. In Random Forest analysis,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attitude were important predictive factors i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such as learning enjoyment, self-modification of learning methods, thoughts on effective learning methods, future-helpful study orientation, and problem-solving. Conclusions In order to enhanc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psychological and emotional factors such as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attitude along with various career development activities or program operations and reflect them in career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다문화청소년의 최초 비행요인에 대한 비연속시간 생존분석

        윤홍주(Hongju 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청소년의 최초 지위비행 발생 시점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11~2020년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자료 7,509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지위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크게 개인요인, 가정요인, 학교요인으로 구분하였다. 최초 지위비행 시점과 이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비연속시간 생존분석 모형을 활용하였다. 결과 다문화청소년의 최초 지위비행은 초등학교 6학년 이후 중학교 때는 다소 감소하였다. 그러나 고등학교 1학년 때 다시 크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지위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요인은 성별, 다문화수용성이었으며, 가정요인은 다문화부모의 출신국적, 부모의 문화적응스트레스, 부모의 감독적 양육태도, 희망하는 자녀의 교육수준이었고, 학교요인은 학교성적, 학습활동에 대한 학교적응, 학업중단 위험요인 등이었다. 결론 다문화청소년의 지위비행을 낮추기 위해서는 최초 지위비행이 상대적으로 높은 초등학교 고학년 때부터 체계적인 개입이 필요하며, 부모의 양육태도, 문화적응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체계적인 정보와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하며, 학습 및 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교사의 지원이 중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timing of the first status deliquency of multicultral adolescents and the factors affecting it. Methods To this end, data from 7,509 multicultural youth panel survey data from 2011 to 2020 were used, and the factors affecting status delinquency were largely divided into individual factors, family factors, and school factors. The descrete-time survival analysis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first time of onset of status delinquency and and the factors influencing it. Results The first status delinquency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decreased somewhat in middle school after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However, in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it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again. The individual factors influencing status delinquency were gender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the family factors were multicultural parents' nationality, parents' cultural adaptation stress, parents' supervisory parenting attitude, and desired children's education level. Significant chool factors were school performance, school adaptation to learning activities, and risk factors for academic interruption. Conclusions In order to lower the status delinquency of multicultural youth, systematic intervention is required from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where the first status delinquency is relatively high, and systematic information and programs are needed to manage parents' parenting attitudes and cultural adaptation stress.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support teachers for multicultural youth to learn and adapt to school life.

      • KCI등재

        비연속시간 생존분석을 활용한 청소년의 최초 지위비행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윤홍주(Hongju Y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2

        본 연구는 청소년의 최초 지위비행 발생시점을 비연속 생존분석을 통해 규명하고, 최초 지위비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은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의 중1패널 5개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 대상 학생 수는 2,277명(남학생 1,126명, 여학생 1,151명)이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조 지위비행 발생에 대한 위험확률은 중2때 16.6%로 가장 높았으며, 중3때는 다소 감소하였으나 전반적으로 학년이 높아지면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둘째, 우울, 공격성과 같은 청소년의 심리, 정서 요인이 최초 지위비행 시점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셋째, 부모의 부정적 양육방식인 학대는 비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반면 방임은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청소년 주변의 비행친구는 최초 지위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었다. 다섯째, 학교요인중 학습활동 적응, 학교규칙 적응, 교우관계 적응은 지위비행에 영향을 미친 반면 교사관계 적응은 유의하지 않았다. 청소년의 최초 지위비행에 대한 발생시점과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청소년의 지위비행 예방을 위해 초기 개입이 중요하며, 따라서 이에 대한 적절한 교육과 지원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onset of adolescent delinquency through discrete-time survival analysis. Our analysis used data obtained from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and included 2,277 middle school students.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azard probability for the occurrence of delinquency was the highest at 16.6% in the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slightly decreased in the third year of middle school, but continued to increase as the overall grade increased. Second, adolescent psychological and emotional factors have significantly affected the onset of delinquency. Third, negative parenting method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delinquency, but neglect was not significant. Fourth, having delinquent friends wa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status of delinquency. Fifth, among the school factors, adjustment of learning activities, adjustment of school rules, and adjustment of friendship relations influenced the status of delinquency, while the adjustment of teacher relations was not significant. As early intervention is important to prevent juvenile delinquency, education and support for establishing healthy relationships are needed.

      • KCI등재

        다문화가정 초․중학생의 부모와의 관계, 자아존중감, 학교생활 적응 간의 구조

        윤홍주(Yun, Hong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structure between relationship with parents,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in multicultrual families. In addition, multi-group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coefficients connecting the latent constructs to the observed indicators are the same across groups. The study made use of data from the National Survey on Multicultural Families in 2015. A total of 4,091 students(2,496 elementary, 1,595 middle school students) was analyzed by mean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relationship with parents had positive impact on students’ school adjustment and relationship partially mediated by students’ self-esteem. Indirect effect of self-esteem to school adjustment was bigger than direct effect of relationship with parents. Second, in according to multi-group analysis, there was difference in coefficient by gender.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와의 관계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모형을 통해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다문화가정 초․중학생의 학교급, 성별에 따라 구조모형에서 변인 간 관계의 차이가 있는지 다집단분석을 통해 검정하였다. 분석은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의 초등학생 2,496명, 중학생 1,595명 등 총 4,091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부모와 관계는 자아존중감을 부분 매개로하여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쳤다. 부모와의 관계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는 직접 효과보다는 자아존중감을 통해 매개되는 간접 효과의 크기가 더 컸다. 둘째, 다집단분석 결과 부모와의 관계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학교급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성별의 경우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계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