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재독한인 2세대의 한국방문과 정체성 재구성 양상

        윤서옥 ( Yoon Seo-ok )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18 次世代 人文社會硏究 Vol.14 No.-

        재독한인 2세대에 대한 기존 연구는 성장기의 사회화 문제와 정체성에 대한 논의가 중심이 되었다. 이들 정체성 논의는 한국 출신 부모님의 가정교육과 독일 사회의 일상생활을 통해 학습한 한국과 독일 문화의 격차에 따른 불일치가 중심이 되었다. 그러나 2세대의 정체성은 독일 사회 내부뿐 아니라 부모의 고국인 한국 사회의 방문을 통해 재구성되는데, 일부 연구에서는 이를 간략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정보·통신의 발달과 한인 사회 네트워크의 외연 확대로 재외한인과 한국 사회가 초국가적으로 연결되면서 한국방문은 재외한인의 정체성 재구성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한 것으로 보인다. 그에 따라 본 연구는 재독한인 2세대의 한국방문의 사례를 독일 함부르크 지역 2세대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정체성이 재구성되는 양상을 파악하였다. 재독한인 2세대는 개인으로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한국을 방문하지만, 이들의 방문 과정에는 부모의 혈연, 즉 1세대 또는 1.5세대의 이주자 네트워크 중 가족이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 한편 한국 사회의 구성원들에 의한 배제의 경험은 2세대들이 상정해 온 ‘한국인’의 의미를 재인식하게 하고 ‘한국인’ 또는 ‘독일인’이라는 이분법적인 정체성 귀속에서 벗어나 자신들의 정체성이 가지는 구성적인 속성을 이해하도록 하였다. 또한 독일 한인 디아스포라 내 한인 2세대로서 국한된 정체성이 아닌 독일과 한국 사회 구성원들과는 다른 생애 경험을 공유하는 확장된 의미의 재독한인 2세대의 정체성이라는 특수한 정체성을 형성하게 하였다. The previous studies on the second-generation Koreans in Germany were focused on the socialization problem and identity issue. Discussions about their identity were centered on the discrepancy between Korean and German culture learned through education from their korean parent(s) and everyday life in German society. However, the identities of them are reconstructed not only within German society but also through the Korea, the homeland of their parent(s), visits. And this aspect was slightly dealt with only a few studies. But as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nd the expansion of the social networks of Korean diaspora in Germany have led to the transnational connection of Koreans in Germany and Korean society, it seems that Korean visit has become an essential element in reconstructing their identity.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Korea visits of the second-generation Korean in Germany in detail via the second-generation of Hamburg, Germany and identifies the aspect of identity reconstitution. They visit Korea with a variety of purposes as individuals, but in their visits the ties of kinship in Korea of their parent(s), i.e, the family among the migrant networks of the first-generation or 1.5-generation, plays a central role commonly. On the other hand, the experience of exclusion by members of Korean society leads to re-understand the meaning of ‘Korean’ that they used to assume and know the constitutional attributes of their identity by moving away from the dichotomous identity choice of ‘Korean’ or ‘German’ respectively. Also they form not a limited identity as the second-generation in Korean diaspora in Germany but an expanded identity by belonging to the second-generation group members sharing the different life experiences with members in Korea and German society.

      • KCI등재

        경기도 거북놀이의 전승과 새로운 계승양상

        김종대(Kim, Jong-dae),윤서옥(Yoon, Seo-ok) 중앙어문학회 2014 語文論集 Vol.60 No.-

        경기도와 충청도의 내륙지방에서는 추석의 민속놀이로서 거북놀이가 전승되어 왔다. 흥미롭게도 이들 놀이는 주로 청소년이 전승시켜 왔다는 점과 모의 동물로 거북이를 수수 잎으로 만들어서 활용하였다는 점이다. 거북놀이의 기록은 현재까지 역사시대의 문헌에는 찾기가 어려운데, 문헌상으로는 일제침략기의 朝鮮の鄕土娛樂에서부터 찾아볼 수 있다. 일제침략기의 기록에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아마도 조선시대에는 널리 행해졌던 민속놀이로 추정되기는 하나, 현재까지 명확한 기록이 보이지 않아서 언제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고증하기란 쉽지 않은 실정이다. 거북놀이의 주체에 대한 논의도 이런 사정 때문인지 여러 가지의 설이 있으나 이들도 확실성이 떨어진다. 하지만 朝鮮の鄕土娛樂을 보면 주로 어린이나 청소년이 주동이 되었다고 하며, 어른이나 성년으로 기록된 사례는 많지 않다. 예컨대 경기도의 경우 용인은 농민, 안성은 남자로 표현되었으며, 충청도의 홍성은 청년, 예산은 어린이와 부인 등으로 되어 있다. 이들 외의 다른 지역은 모두 어린이가 행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결국 이들 놀이는 용인이나 안성, 수원 등 대개 다른 지역의 거북놀이와 유사하게 행해졌다고 하는 것으로 보아 어린이들이 주동이 되었음은 쉽사리 짐작된다. 이러한 거북놀이는 일제침략기를 거치면서 한동안 전승이 단절되다가 해방이후 1970년대에 와서 다시 복원하는 운동이 일어난다. 예컨대 음성의 윤병준 선생과 이천의 김종민 선생이 대표적인 예이다. 문제는 이들 복원과정에서 판굿과 농악의 개입이 이루어졌다는 사실이다. 즉 거북놀이의 주도적인 계층이 풍물패로 이전되는 과정에 의해서 과거의 주도층이었던 어린이들이 입지를 잃어버리게 되었다는 점이다. 이런 변화과정은 거북놀이를 민속경연대회나 민속예술축제 등에 출품하려는 시도와 밀접한 관계에 있다. 어린이가 주동이 된 거북놀이의 경우에는 놀이판의 형식화가 없었지만, 이들과 결합하면서 제의과정과 판굿의 연행방식을 갖추게 된다는 점이다. 현재의 연행방식은 대개 이런 틀로 고정화되는 과정을 겪고 있다. 특히 연행의 변화양상은 이들 놀이를 농촌체험 프로그램으로 참여하여 지역 민속문화의 특징을 보여주려는 방식으로 탈바꿈하고 있음은 주목할 만하다. 동시에 단순히 연희되는 것 뿐만 아니라, 거북이 만들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과거의 정형성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려는 시도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전통 민속놀이의 계승 발전에 유의미한 면을 보여주고 있다. Geobuk-nori, the Turtle Play, is performed during Chuseok (a Korean harvest holiday) in Gyeonggi and Chungcheong provinces. During The Turtle Play, young people wear turtle costumes made out of sorghum leaves and go about the village giving their wishes for a good harvest and good luck in the coming year. While there is no historical record of the origin of the play, interestingly, it appeared in Indigenous Entertainment of Joseon, writte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Because of the book, it is assumed the play was performed during the Joseon dynasty; however, its origin has not been confirmed. Several theories regarding Turtle Play and Joseon need further research. According to Indigenous Entertainment of Joseon, the play was mainly performed by children. It was rare to see adults performing it, and there are only a few cases of adult involvement: farmers in Yongin, Gyeonggi Province; men in Anseong; young people in Hongseong, Chungcheong Province, and children and married women in Yeosan. Apart from these cases, the play was performed solely by children. Performances of The Turtle Play stopp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however, there was a movement to revitalize it in the 1970s. Mr. Byeongjun Yoon from Eumseong and Mr. Jong-min Kim from Icheon are representatives of this revitalization movement. In the process of revitalization, some changes were made, such as the inclusion of shamanic rituals and children lost their roles as the main performers of the play. This change is closely related to participation of the play in competitions such as the National Folk Arts Contest and the National Folk Art Festival. When the play was performed by children, it did not have a specific formality. However, it changed into a combination of ritual and shamanic ceremony, and there are new ways of performing the play. Additionally, The Turtle Play is often used to introduce regional folk culture to tourists. In relation to this,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such as a class for making turtles, were developed. In terms of production, these kinds of programs might have a positive effect in that they may help people understand more about the play and have more interest in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