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래동화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윤미정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55

        This thesis is going to present the educational value and the application of Korean folk tales. This thesis regards that folk tales can be used as an effective source of educating language and culture in Korean Education. Chapter Ⅰ pres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on the premise that folk tales as an example of texts that can be used to teach Korean to foreigners, and sets the direction of this study by considering existing studies of Korean education and preceding researches of folk tales. Chapter II considered educational value which can be found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folk tales. In this study, the educational value of folk tales in Korean classes is considered in two different ways. First, folk tales are effective for educating phonetic sounds and letters as folk tales themselves are orally conveyed literature. Other types of literature are mainly used to educate letters. In contrast,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folk tales as orally conveyed literature allows a wide variety of phonetic sounds and expressions to be included. This, in turn, allows them to be an effective educational material for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Second, folk tales normally include abundant Korean cultural elements. In addition, they are widely spread all over the world. This shows that folk tales have cultural universality and distinctiveness. Therefore, using folk tales as educational material to educate Korean culture is possible through comparing Korean culture and the culture the learner may have been in Chapter Ⅲ considers that folk tales have educational values as a linguistic material and presents the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according to four different areas-listening, reading, speaking, and writing. And this thesis considers the approaches and methods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They are the Communicative Approach, Task-Based Approach, Cooperative Language Learning. It proposes to educate diverse and adaptable with these approaches and methods. Chapter Ⅳ searches the educational meaning that folk tales are valuable source of culture education. Folk tales have the cultural generality distributed throughout the world, so that this thesis suggests that comparing Korean folk tales with folk tales of other countries. This chapter also compares Korean folk tales,「Firewoodgatherer and fairy」, and foreign folk tales, 「Swan maiden tales」 , in detail to support the proposal. This thesis searches for the evidence that folk tales that have the phonetical expression factors and pan-cultural factors including Korean culture have effective educational valu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is thesis is going to show the educational possibility and the method. However, this thesis does not indicate more specific theoretical reasons or direction. Despite the limitations, the suggested pan-cultural factors of folk tales, and the presented possibility of comparative cultural study as a material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make this thesis meaningful. 한국어의 위상은 아시아권을 중심으로 한류 문화가 각광을 받으면서 높아지고 있다. 한국어를 배우고자하는 외국인 학습자의 증가와 함께 국내의 한국어 교육 연구는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목표로 정확하고 올바른 한국어 구사와 함께 한국 언어문화를 배려한 한국어 사용을 지향하고 있다. 한국 언어문화를 배려한 한국어 교육 방법 중 하나로 문학을 활용한 교육방법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그 뜻을 같이 하여 문학을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외국인 학습자에게 유의미한 한국어 학습 경험을 제시하기 위한 고민으로 시작되었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한국 문학 작품으로 전래동화를 선정하게 된 이유는 첫째, 현대 서사 문학에 비해 고전 서사 문학의 연구가 적다. 둘째, 고전소설에 비해 구비문학이 외국인 학습자에게 부담을 덜어 줄 것이다. 셋째, 구비문학 중에서도 전래동화는 민담의 한 갈래로 그 비슷한 유형이 전 세계적으로 분포한다는 점이 그 이유였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구비문학으로서 민담의 한 갈래인 전래동화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효과적인 언어 자료 및 문화 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보고 전래동화의 교육적 가치를 찾아, 그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Ⅰ장에서는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수업에서 활용될 수 있는 문학 텍스트의 하나로 전래동화가 효과적인 교육적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전제로 연구의 목적을 제시했다. 다음으로 한국어 교육과 관련한 기존의 연구들과 전래동화의 연구들을 검토하면서 본 연구의 전반적인 방향을 마련하였다. Ⅱ 장에서는 전래동화의 특성을 살펴보면서 한국어 수업에서 활용 될 수 있는 전래동화의 교육적 가치를 두 가지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첫 번째는 언어기능 교육 자료로서의 교육적 가치이다. 전래동화는 구비문학에서 문자로 기록된 문학이었기 때문에 음성 언어적 표현이 비교적 잘 살아있다. 대부분의 문학이 읽히기 위한 것이라는 점과 비교 했을 때 전래동화의 이러한 특성은 말하고 듣는 음성 언어교육에 효과적인 교육 자료가 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전래동화는 한문소설에 비해 문체가 비교적 어렵지 않은 점, 형식적으로 서두와 결말에 일정한 표현을 사용하고, 대립과 반복의 단순한 사건 구조를 지니고 있어 외국인 학습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점을 들었다. 두 번째는 문화교육 자료로서의 교육적 가치이다. 우리 조상들이 겪어 온 다양한 체험, 사상, 감정, 지혜 등이 전래동화 속에는 담겨 있다는 점을 들어 한국의 전통적인 문화 학습 자료로 활용 가능한 점을 들었다. 그리고 전래동화는 전 세계적으로 비슷한 유형의 이야기가 분포하고 있어 외국인 학습자가 모국의 이야기와 비교하면서 능동적인 학습자 중심의 한국어 수업을 이끌 수도 있다는 점에서도 교육적 가치가 높다는 점을 들었다. Ⅲ 장에서는 전래동화가 언어기능 교육 자료로서 교육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점을 중심으로 언어 기능 교육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4가지 언어기능, ‘듣기’, ‘읽기’, ‘말하기’, ‘쓰기’ 영역별 특성을 통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도달해야 할 목표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전래동화를 활용하여 적용할 수 있는 교육 접근방법 및 교수법을 살펴보았다. 본고에서는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사용 수준 및 수업 상황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여러 외국어 교육 접근방법을 적용하면서 융통성 있는 교육 방법을 마련할 것을 제안했다. 그 중에서 의사소통적 접근방법, 과제 중심 접근방법, 협력학습 접근방법을 중시할 것을 제안했다. 마지막으로 전래동화를 활용한 효율적인 한국어 언어기능 수업을 이끌기 위한 교사의 지도 전략을 제시했다. Ⅳ 장에서는 전래동화가 전 세계적인 분포를 가진 문화적 보편성을 강조하면서 이것이 외국인 학습자에게 흥미 있고, 유의미한 한국 문화교육을 이끌 수 있는 가능성을 보이고자 하였다. 그래서 한국의 전래동화와 외국의 전래동화의 비교를 통한 비교문화 연구를 제안해 보았다. 비교문화 연구는 두 집단 이상의 문화 요소 간 관계를 비교하면서 서로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비교하는 연구방법이다. 특정의 문화요소들을 비교하면서 문화의 특수성 및 보편성을 확인하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비교 문화 연구의 예로 한국의 전래동화「나무꾼과 선녀」와 줄거리가 비슷한 외국 전래동화「백조전설」과의 비교를 다루었다. 한국의 「나무꾼과 선녀」와 외국의 「백조처녀」는 공통적으로 비슷한 이야기 플롯을 지니고 있다. ‘지상의 평범한 남성이 천상의 혹은 비인간의 신비로운 여성을 우연히 만나게 된다. 남성이 여인의 옷을 움치고 아내가 되어 달라 강요한다. 아내가 된 여성은 몇 년이 지난 후 날개옷을 찾아 입고 날아가 버린다.’는 사건 전개 방식이 유사하다. 하지만 각 나라(민족)의 이야기 마다 그 나라의 사회·문화·지리적 배경 및 향유층, 즉 민족 공동체의 정서와 문화요소를 반영하고 있는 다양성을 찾을 수 있었다. 전래동화의 비교만으로 각 나라의 지리적 환경, 각 나라의 과거 중심 산업, 신성시 했던 동물, 역사적 배경, 가정관 등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전래동화를 활용한 문화 교육은 외국인 학습자가 모국의 전래동화와 비교하면서 능동적으로 한국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체득 할 수 있다는 점에 그 교육적 의의를 두었다. 다시 말하면 보통의 한국 문화 수업이 교사의 일방적인 설명, 혹은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 문화 체험 활동으로 이루어진다고 할 때, 전래동화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은 외국인 학습자가 모국의 이야기와 비교하면서 능동적으로 한국 문화를 체득하고 이해하며, 그 깊이를 심화시켜 줄 수 있다는 점에서 가장 큰 교육적 가치를 지닌다고 보았다. 이처럼 본 논문은 음성 언어적 표현 요소, 한국을 비롯한 범문화적 요소를 지니고 있는 전래동화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효과적인 교육 자료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점을 탐색하고 이를 활용할 방안에 대한 제안을 해 보고자 하였다. 하지만 좀 더 명확하고 구체적인 이론적 근거나 활동방향을 제시하지 못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가 전래동화가 가진 범문화성을 통해 한국 문화 교육 자료로 외국인 학습자 모국의 문화와 비교하는 비교문화 학습의 가능성을 모색했다는 점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앞으로 한국어 교육에서 효과적으로 전래동화를 활용하기 위한 -본 연구에서 이루지 못한- 구체적인 연구 결과가 더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나트륨 섭취태도 및 식행동과 대사증후군과의 관련성

        윤미정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8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health management program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metabolic syndrome through sodium management by analyzing the attitudes toward sodium intake 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eating behaviors in the medical examinees who had medical check-ups at the general medical examination center of S hospital in Seoul, and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health promotion of the subjects. People with metabolic syndrome had a lower level of sodium in the blood than those without metabolic syndrome. In the group of subjects with metabolic syndrome and diagnosed with disease, males had a low level of sodium in the blood, while all the subjects in the group and females showed a high level of sodium in the blood. On the other hand, when the daily intake levels of nutrients were compared, daily sodium intake was found to be higher in people with metabolic syndrome than in those without it. However, the sodium intake of people diagnosed with metabolic syndrome and diagnosed with disease was lower than that of those without any diseases. The score for sodium-related nutritional knowledge was higher in the subjects with metabolic syndrome and those with metabolic syndrome and diagnosed with disease than in those without metabolic syndrome and diagnosed with no disease, indicating that those with metabolic syndrome had a large amount of sodium-related nutrition knowledge needed for health care and health maintenance. However, the subjects with metabolic syndrome had a high score of eating attitudes about sodium, which showed that they tended to have undesirable sodium-related eating attitudes. Yet, their scores of sodium-related eating behaviors and taste preferences were low, indicating they had a tendency to try to maintain eating behaviors and taste preferences in a desirable direc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group of disease-diagnosed subjects with metabolic syndrome, the scores of eating attitudes about sodium were low, and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y had desirable attitudes. However, their scores of eating behaviors and taste preferences regarding sodium were actually found to be high, showing that they tended not to put into practice sodium-related nutrition knowledge, eating attitudes and taste preferences in their actual daily life. There was no direct correlation between the performance of health-promoting behaviors (smoking, drinking, exercise, and sleeping time) and metabolic syndrome. Ye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moking status and drinking statu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ho already had interest in health and visited the hospital to receive a medical checkup, had a tendency to try to maintain proper eating attitudes and eating behaviors through a lot of information and education about health, but their knowledge about health did not actually lead to desirable behaviors in their daily lif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further research to compare the sodium intake attitudes and eating behaviors of those who have regular medical checkups and those who do not, and furthermore,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Korean medical examination system on the public health.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health education programs so that our knowledge of health will lead to proper eating attitudes and eating behaviors.

      • 간경변증 환자의 자율성지지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자기결정성이론을 기반으로

        윤미정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간경변증 환자의 건강행위 실천을 통한 정신적, 신체적 건강증진을 목적으로 자기결정성이론을 기반으로 한 자율성지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임상적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프로그램 개발 단계에서는 자기결정성이론관련 문헌고찰과 간경변증 환자와의 개별면담, 간경변증의 관리와 치료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통해 프로그램 내용을 구성한 후 전문가 집단에게 내용 타당도 검증을 받고, 최종 자율성지지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임상적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설계를 적용한 유사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부산시 소재 D대학병원에서 간경변증으로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실험군 23명에게는 자기결정성이론을 기반으로 8주 동안 총 8회기로 구성된 자율성지지 프로그램을 제공하였고, 대조군 24명에게는 간센터에서 진행되는 통상적인 교육을 제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이용하여 동질성검증은 t-test, χ2-test, Fisher's Exact Test로 가설검정은 linear mixed model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임상적 적용 가능성의 가설검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율성지지 프로그램에 참여한 간경변증 환자는 통상적인 교육을 받은 환자와 기본심리요구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부분 지지되었다. 실험군은 자율성과 유능성에서 대조군에 비해 시간 경과와 집단 간의 교호작용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관계성에서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둘째, ‘자율성지지 프로그램에 참여한 간경변증 환자는 통상적인 교육을 받은 환자와 자가간호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부분 지지되었다. 자가간호수행에서 실험군은 영양, 안정 및 활동, 합병증 관리에서 대조군에 비해 시간 경과와 집단 간의 교호작용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병원검진과 투약에서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영양섭취량에서 실험군은 총칼로리, 탄수화물섭취량, 단백질섭취량, 지질섭취량에서 대조군에 비해 시간 경과와 집단 간의 교호작용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자율성지지 프로그램에 참여한 간경변증 환자는 통상적인 교육을 받은 환자와 정신적 건강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지지되지 않았다. 불안과 우울에서 두 군간에는 시간 경과와 집단 간의 교호작용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넷째, ‘자율성지지 프로그램에 참여한 간경변증 환자는 통상적인 교육을 받은 환자와 신체적 건강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지지되지 않았다. 영양상태, 간기능상태, 그리고 질병상태에서 두 군간에는 시간 경과와 집단 간의 교호작용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자율성지지 프로그램은 간경변증 환자의 자율성과 유능성을 증진시켰고, 이는 건강행위를 변화시켜 식이, 안정 및 활동, 합병증 관리영역에서의 자가간호수행과 영양섭취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자율성지지 프로그램은 간경변증 환자의 자가간호수행 증진을 위해 임상적용에서 효과적인 간호중재 방법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 신속대응팀이 병동 환자의 심폐소생술 임상 결과에 미치는 영향

        윤미정 아주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신속대응팀 운영에 따른 병동 환자의 심폐소생술 임상 결과의 차이를 파악하여 병원 내 신속대응팀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S시에 소재 A 병원 일반병동에 입원한 만 19세 이상의 환자 중 신속대응팀 운영시간(월요일부터 금요일, 법정공휴일 제외, 오전 8시부터 오후 8시까지) 동안 심정지로 인한 심폐소생술을 시행 받은 자로 2015년 7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기간 을 자료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전자의무기록과 원내 심폐소생술 데이터 레지스트리를 토대로 자료 수집하여 일반적 특성, 심폐소생술 특성과 임상 결과를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ANOVA, Chi-square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심폐소생술을 받은 대상자의 만성 폐 질환은 운영 전 시기에 7명(20.6%), 제 한적 운영 시기는 6명(13.3%), 확대 운영 시기에는 1명(2.3%)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6.47, p=.033). 2. 심정지 초기 대응자는 운영 전 시기에 간호사 14명(41.2%), 의사 20명 (58.8%)이고 제한적 운영 시기는 간호사가 19명(42.2%), 의사는 26명(57.8%) 이며 확대 운영 시기에는 간호사가 34명(79.1%), 의사는 9명(20.9%)으로 차 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5.65, p<.001). 3. 심폐소생술 임상 결과의 차이에서 20분 이상 자발 순환이 유지된 환자는 운 영 전 시기에 23명(67.6%), 제한적 운영 시기에 34명(75.6%), 확대 운영 시 기에는 29명(67.4%)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0.88, p=.644). 4. 24시간 이상 생존은 운영 전 시기에 10명(29.4%), 제한적 운영 시기는 21명 (46.7%), 확대 운영 시기에는 18명(41.9%)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2.48, p=.290). 5. 퇴원 시 생존 여부는 운영 전 시기에 4명(11.8%), 제한적 운영 시기는 11명 (24.4%), 확대 운영 시기에는 8명(18.6%)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 타났다(=6.29, p=.042). 6. 신속대응팀 운영에 따른 심폐소생술 대상자의 임상 결과 중 퇴원 시 신경학적 회복는 운영 전 시기의 좋은 신경학적 회복은 1명(25.0%), 불량한 신경학적 회복은 3명(75.0%), 제한적 운영 시기의 좋은 신경학적 회복은 4명 (36.4%), 불량한 신경학적 회복은 7명(63.6%), 확대 운영 시기의 좋은 신경학적 회복은 7명(87.5%), 불량한 신경학적 회복은 1명(12.5%)으로 집단 간 유 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6.29, p=.042). 본 연구를 통하여 신속대응팀이 운영됨에 따라 일반병동에서 심폐소생술을 받은 환자 중 만성 폐 질환이 있는 환자가 감소하고, 심정지 시 간호사의 초기대응이 신속대응팀 운영 시기에 이전보다 증가하였으며 심폐소생술 후 좋은 신경학적 회복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신속대응팀은 병동에서 심폐소생술을 받는 환자의 동반 질환과 관련된 악화되는 요인을 미리 발견하고 감시 시스템을 적용하여 환자의 상태를 관찰함으로써 이를 담당 의료진들과 공유하여 병원 내 심정지 수를 감소하고 심폐소생술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 전래동화를 활용한 어휘교재 단원 구성 개발 연구 : SKL 아동학습자 대상

        윤미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nd present the unit configuration of vocabulary textbook utilizing traditional fairy tales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language skills and lingual thinking skills as a part of solving the problem of a lack of communication skills and learning difficulties especially in KSL child learners among the children of school-aged multicultural families.  This study discovered structural problems in the current KSL school curriculum that cannot but lead to a lack of communication and learning difficulty of KSL child learners, and investigated their language acquisition, which is to adapt to South Korea and its school education, starting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thinking. This study regarded that they needed communication language skills and learning language skills to express their own intension and to understand other people's intension rather than simple survival language skills, therefore, this study should start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thinking, not mechanical language learning. Language is a way to exchange thinking. Developing language using skills leads to the development of thinking, and developing thinking enhances the language skills to effectively express and understand one’s own thoughts and feelings, which thereby forms a cycle structure.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vocabulary function that plays a key role in the cycl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thinking, and regarded that improving a learner's vocabulary skill might maint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ge of Korean language for living and the stage of Korean language for learning smooth so that it would rather contribute to improving the learner's verbal thinking skill without making him/her losing interest in learning. In other words, this study aimed to make KSL child learners understand and express the overall contents of the discourse logically and systematically by improving their vocabulary skill. Therefore, this study’s main subject was to design unit configuration, which is the basic unit for the vocabulary textbook using traditional fairy tales to improve the learner's vocabulary skill. Traditional fairy tales were used as literary texts for KSL child learners because they might, above all, induce child learners to become more interested in Korean, and sometimes make children feel empathy due to tension and humor of the stories made by the main characters and the people around them. This was possible because the learners did not just interpret the story of the fairy tale dryly, but rather felt the fun, and became interested and immersed in the contents so that thinking processes such as understanding various conflicts, dilemmas and complex plots in the story and interpreting the behaviors of the characters occurred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in this way, learners interact actively with the texts with their own experiences and imaginations in order to grasp hidden or implied meanings in the texts, and this interaction leads to everyday communication. Since the language used in traditional fairy tales is a language that is being used in actual situations, not in vague virtual situation, the learners may reconstruct the situation inside their heads while reading the traditional fairy tales, and judge the event and the person according to the context to grasp the flow of the writing and the composition of meaning naturally through predicting the events to be unfold. This is a natural way to bring positive results to the acquisition of organic vocabulary. This enables learners to enjoy the pleasure of learning through fun, therefore, this paper chose traditional fairy tales as effective vocabulary text materials to improve the vocabulary of KSL child learners. In addition, this study selected and analyzed Korean textbooks using traditional fairy tales before preparing a plan for designing vocabulary textbooks using traditional fairy tales. This study prepared a big frame of unit configuration of vocabulary textbook using traditional fairy tales in consideration of the results of analyzing these published Korean textbooks using traditional fairy tales, the principles of vocabulary textbook design from the existing studies, vocabulary to be selected as learning vocabulary, how to present selected vocabulary, and theoretical investigations on the learning strategies on how to learn the presented vocabulary. In addition, based on these large frameworks, this study constructed a model using Schmitt's vocabulary learning strategy for the vocabulary that is being introduced sporadically in order to systematically expand the vocabulary that is appropriate for each stage from to introduction -> exercises -> utilization and to naturally link it to lingual function. Furthermor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KSL child learners, this study selected the <Rabbit’s Liver> among traditional fairy tales based on a comparison between the traditional fairy tale lists of elementary Korean curriculum and the traditional fairy tale list for multi-cultural background learners published on the market. This study selected the verbs and adjectives as learning target vocabulary through story reconstruction in accordance with the learners' level and purpose. It is because if the basic unit that can express human thinking fully is a sentence, it is the predicates in Korean that decide the composition of the sentence, and, therefore, the predicate-based vocabulary education helps the learners to improve their thinking skill.  Therefore, this paper selected predicate vocabulary based on the texts of the <Rabbit’s Liver>, which had been constructed focusing on the vocabulary based on predicates, and designed the units of vocabulary textbooks that maximize the background knowledge of the KSL children using the vocabulary learning strategy associated with language functions, and through which help the learners acquire vocabulary through meaningful task performance in the context of actual Korean use and transfer it to expressive vocabulary. This study was thereby to help the KSL child learners solve a lack of communication skills and poor academic performance by achieving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language using skill and lingual thinking skill through improving vocabulary skill rather than through the existing simple improvement of the vocabulary knowledge. 본 연구는 학령기 다문화 가정의 자녀 중에서 특히 KSL 아동학습자들의 한국어 의사소통능력 부족과 학습부진을 해결하고자 하는 일환으로 언어사용 능력과 언어사고력 신장을 위한 어휘력 향상을 목적으로 전래동화를 활용한 어휘교재 단원 구성을 설계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행 KSL 학교교육과정에서 KSL 아동 학습자들이 의사소통부족과 학습부진으로 발전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를 발견하고, 그들이 한국에 적응하고 학교교육을 따라가기 위한 언어습득을 언어와 사고의 관계에서부터 출발하였다. 그들은 단순한 생존을 위한 언어가 아닌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의사를 이해하는 의사소통 언어 능력과 학습목적 언어능력을 필요하기 때문에 이는 기계적인 언어 학습이 아닌 언어와 사고의 관계에서 출발해야한다고 보았다. 언어는 사고를 교환하는 도구로 언어 사용 능력의 발달은 사고의 발달을 가져오고 사고발달은 다시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이해 가능하게 하는 언어능력을 발달시키는 순환구조이다. 연구자는 이러한 언어와 사고의 순환구조 관계에서 이들의 기조 역할을 하는 어휘기능에 주목하고, 학습자의 어휘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생활한국어 단계와 학습한국어 단계 사이를 완만하게 유지하여 학습자가 학습의 흥미를 잃어버리지 않고 학습자의 언어적 사고력 신장에 기여할 것이라고 보았다. 즉, KSL아동학습자로 하여금 어휘능력의 향상으로 전반적인 담화 내용을 논리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학습자의 어휘능력향상을 위하여 전래동화를 활용한 어휘교재에 기본 단위가 되는 단원구성 설계를 연구과제로 삼았다. KSL 아동학습자들에게 문학텍스트로서 전래동화를 활용하는 것은 우선 아동학습자로 하여금 한국어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고, 때로는 주인공과 그 주변 인물들이 만들어 나가는 이야기가 긴장감이나 박진감 또는 해학적인 여러 가지 등으로 감정이 이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학습자들이 전래동화의 이야기를 그냥 무미건조하게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내용에 재미를 느끼고 관심을 기울이고 몰입됨으로서 이야기 속의 다양한 갈등과 딜레마, 복잡한 플롯을 이해하고 인물들의 행위를 해석하는 사고의 과정이 동시에 일어나게 된다. 그리고 이로 인하여 학습자들은 텍스트 속에 숨겨진, 혹은 내포되어 있는 의미를 파악하기 위하여 자신의 경험과 상상력을 발휘하여 텍스트와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하게 되고 이것은 곧 일상적인 의사소통으로 이어지게 된다. 전래동화에 사용된 언어는 막연한 가상적인 상황이 아닌 실제 상황에서 사용되어지고 있는 언어이기 때문에 학습자는 전래동화를 읽으면서 머릿속에서 상황을 재구성하고 문맥에 따라 사건과 인물을 판단하며, 전개될 사건의 예측을 통해 글의 흐름과 의미의 구성을 자연스럽게 파악할 수 있다. 이것은 유기적인 어휘습득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자연스러운 방법으로 학습자로 하여금 재미를 통해서 즐거움을 맛볼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이러한 점들이 본고에서 KSL 아동학습자들의 어휘력 향상을 위하여 어휘교재의 텍스트로서 전래동화를 효율적인 제재로 선택한 이유이다. 그리고 전래동화를 활용한 어휘교재단원 구성 설계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전에 시중에 나와 있는 전래동화를 활용한 한국어 교재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자는 이러한 시중의 출판된 전래동화를 활용한 한국어 교재 분석 결과와 기존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어휘교재구성의 원리, 어휘교재에 학습어휘로 선정해야 할 어휘, 선정된 어휘를 어떻게 제시할 것인가 하는 제시방법, 그리고 제시된 어휘를 어떻게 학습할 것인가에 대한 학습전략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살펴보고, 전래동화를 활용한 어휘교재 단원구성의 큰 틀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큰 틀을 토대로 Schmitt. 어휘학습전략을 이용하여 산발적으로 등장하는 어휘에 대해 도입->어휘제시->연습-> 활용단계에 이르기까지 각 단계에 알맞은 체계적인 어휘 확장이 이루어지고 언어기능과 자연스럽게 연계되도록 모형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전래동화의 선정은 KSL 아동학습자 특성을 고려하여 초등국어교과과정의 전래동화 목록과 시중에 출판되는 다문화배경학습자대상의 전래동화목록을 비교하여 겹쳐지는 빈도수가 높은 전래동화 <토끼의 간>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전래동화를 학습자의 수준과 활용되는 목적에 맞게 이야기 재구성을 통하여 학습목표어휘로 동사와 형용사를 선정하였다. 그 이유는 인간의 사고를 온전하게 표현할 수 있는 기본 단위를 문장이라고 할 때, 한국어에서는 문장의 구성을 결정하는 것이 서술어이기 때문에 서술어중심의 어휘교육은 학습자들의 사고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서술어 중심으로 재구성된 <토끼의 간> 텍스트를 바탕으로 서술어 어휘를 선정하고 언어기능과 연계된 어휘학습전략으로 KSL 아동학습자가 학습자의 배경 지식을 최대한 활성화시키고 실제로 한국어 사용 맥락 안에서의 유의미한 과제수행을 통하여 이해어휘를 습득하고 표현어휘로 전이하도록 하는 어휘교재의 단원 구성을 설계하였다. 이는 기존의 단순한 어휘지식의 어휘력 향상이 아닌 어휘력 향상을 통한 언어사용능력, 언어적 사고력 신장이라는 목적을 달성하여 KSL아동학습자들이 의사소통능력 부족과 학습부진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함이다.

      •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음악교수내용지식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윤미정 인천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문초록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음악교수내용지식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교수창의성, 음악교수내용지식, 음악교수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고,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 음악교수내용지식, 음악교수효능감이 서로 어떤 관계가 있는지 또한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음악교수내용지식은 음악교수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의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교수창의성, 음악교수내용지식, 음악교수효능감의 차이가 있는가? 2.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 음악교수내용지식, 음악교수효능감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3.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 음악교수내용지식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목적을 실행하기 위하여 경기도와 인천 지역에 거주하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교사 3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중 315부의 설문지를 본 연구의 자료로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을 알아보기 위한 도구로는 백영숙, 김희태(2008)의 ‘유아교사 교수창의성 측정 검사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유아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윤지영(2014)이 개발한 ‘유아음악 교수내용지식 측정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유아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한 도구로는 방은영, 박찬옥(2005)의 ‘음악교수효능감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교수창의성, 음악교수내용지식, 음악교수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 교사의 학력이 높을수록, 공립유치원과 직장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의 경우, 또한 경력이 높을수록 교수창의성, 음악교수내용지식, 음악교수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 음악교수내용지식, 음악교수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음악교수내용지식은 음악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수창의성에 비해 음악교수내용지식이 미치는 영향이 조금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음악교수내용지식의 하위요인 중 음악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음악교수내용지식의 ‘교수학습’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은‘교육내용’이었고 교수창의성에서는 ‘개방성과 모호함의 허용’의 순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음악교수내용지식은 음악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특히 음악교수내용지식은 현직교사 연수나 예비교사교육을 통해 충분히 발현될 수 있는 요소이므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사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후속연구에서도 심도있는 자료를 토대로 한 분석이나 조사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아울러 예비교사 교육이나 현직교사를 위한 교수창의성, 음악교수내용지식의 교육프로그램을 다양하게 편성하여 지속적인 교사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주제어 : 유아교사, 교수창의성, 음악교수내용지식, 음악교수효능감 ABSTRACT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n Music Teaching Efficacy Yun, Mi Jeong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cheon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by their demographic variables and see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were associated with one another and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ffected their music teaching efficacy.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1. Do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differ by their demographic variables? 2. How are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correlated with one another? 3. How do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ffect their music teaching efficacy? To answer these questions, a survey was conducted in 324 teachers at kindergartens and nurseries in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and the data from 315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Scale developed by Baek and Kim (2008) was used to measure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the Early Childhood Mus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cale developed by Yun (2014) was used to measure early childhood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the Music Teaching Efficacy Scale developed by Bhang and Park (2005) was used to measure early childhood teachers’ music teaching efficac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an SPSS 2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difference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by their demographic variables, those who were more educated, who were employed at public kindergartens or at employer-supported nurseries, and who had longer career showed higher levels of teaching creativit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all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ffected their music teaching efficac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had a slightly greater impact than teaching creativity did. Third, as for the effects of the sub-factor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n their music teaching efficacy, the sub-factor fo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at had the greatest impact on music teaching efficacy was ‘teaching learning’, followed by ‘teaching contents’, and ‘permission of ambiguity and openness’ among the sub-factors for teaching creativity had the greatest impact. In conclusion,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ffect their music teaching efficacy. In particular, si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s the factor that can be developed fully through training for incumbent or preservice teachers, it is necessary to provide systematic, continuous teacher training. It is expected that further studies will make analysis or research based on in-depth data. It is also necessary to give preservice teacher training or provide incumbent teachers with a diversity of education programs regarding teaching creativit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in pursuit of continuous teacher training. Key words: Early childhood teacher, teaching creativit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music teaching efficacy

      • 의료서비스 종사자들의 감정노동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소진과 근속연수의 조절된 매개효과

        윤미정 건양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의료서비스 종사자들의 감정노동이 심리적 소진을 통해 직무몰입에 이르는 경로가 유의미한지 확인하고,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를 근속연수가 조절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충북, 충남 지역에 소재한 미용 관련 비급여 병의원에 근무하는 의료서비스 종사자 11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후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의료서비스 종사자들의 직무유형에 따른 감정노동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단변량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의료서비스 종사자들의 감정노동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심리적 소진을 매개변인으로, 근속연수를 조절변인으로 한 Hayes(2013)의 PROCESS Macro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료서비스 종사자들의 직종에 따라 감정노동과 심리적 소진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즉, 직종에 따른 변인의 평균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직무몰입에서는 의료 서비스 종사자들의 직종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감정노동은 심리적 소진과 정적인 상관을 가졌다. 한편, 감정노동과 심리적 소진은 직무몰입과 부적인 상관을 가졌다. 셋째, 의료서비스 종사자들의 심리적 소진은 감정노동과 직무몰입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근속연수가 심리적 소진과 직무몰입의 관계를 조절하며 전체 모형에서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ether the path of emotional labor to Job Engagement by the of psychological Burnout is significant and the mediation effect of psychological Burnout is controlled by the Length of service. A survey was conducted to people 114 live in Seoul, Gyeonggi, chungbuk, chungnam, to Beauty-Related non-benefit hospital Medical service Personnel to Province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Next, univariate analysis(ANOVA) was conducted to find out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emotional labor depending on job type of Medical service Personnel.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the Job Engagement, we conducted the PROCESS Macro of Hayes (2013) with Psychological Burnout as intervening variables and Length of service a moderator vari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emotional labor and psychological burnou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ther words, the average difference of the variables according to occupation did not appear.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Engagement according to occupation of Medical service Personnel. Second, emotional labor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Burnout. On the other hand, emotional labor and Psychological Burnout had negatively correlated with Job Engagement. Third, Psychological Burnout of Medical service Personnel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Engagement.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Length of serviced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burnout and Job Engagement, and showed mediating effects in the whole model.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n this thesis as well as the sugges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 수석교사제 운영에 관한 초등교사의 인식과 활성화 방안 연구

        윤미정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는 수석교사제의 운영에 관한 초등교원의 인식을 탐구하여 수석교사제가 활성화 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석교사제 시행에 대한 인식, 수석교사제의 기대효과에 대한 인식, 수석교사의 직무에 대한 인식, 수석교사제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인식을 질문지를 통해 조사․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배경변인에 따라 수석교사제 시행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배경변인에 따라 수석교사제의 기대효과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배경변인에 따라 수석교사의 직무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넷째, 배경변인에 따라 수석교사제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이 연구를 위해 질문지 방법을 활용하였고, 전라남도 교육청에 소속된 초등학교 교사 중 수석교사가 근무하고 있는 9곳의 학교와 수석교사가 근무하지 않는 4곳의 학교 교사 총 342명이 참여하였다. 이들로부터 얻어진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연구 대상자들의 변인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 분석, 5점 리커트 척도로 물어본 설문의 변인별 차이 검증을 위하여 t검증과 변량분석, 수석교사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인식을 살펴보기 위하여 명목척도로 물어본 설문의 각 항목에 대한 연구대상의 변인별 차이 검증을 위하여 카이제곱 검증(Pearson's chi-square test)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석교사제 시행에 있어서, 제도에 대한 이해 정도와 수석교사제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석교사제의 기대효과에 대한 인식은 대부분 높게 나타났으나 교직경력 중시의 풍토 약화와 관리직(교장 및 교감)과의 갈등에 대해서는 ‘보통이다’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셋째, 수석교사의 직무에 대한 인식은 모든 항목에서 높게 나타났다. 넷째, 수석교사제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수석교사의 수업지도를 가장 필요로 하였고, 수석교사제의 활성화 장애 요인으로는 수석교사의 직무가 명확하지 않음을 가장 많이 반응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석교사제 시행에 대해 수석교사와 근무기간이 1, 2년인 교사가 수석교사와 근무기간이 없는 교사보다 높게 인식하였다. 수석교사제에 대해 부장교사가 이해 정도를 높게 인식하였으며, 수석교사제의 필요성에 대해 남교사와 교직경력 15년 이하의 교사가 높게 인식하였다. 둘째, 수석교사제의 기대효과에 대한 인식은 대부분 높게 인식하였으나 교직경력 중시의 풍토 약화와 관리직(교장 및 교감)과의 갈등에 대해서는 보통 이하로 낮게 인식하였다. 대부분의 항목에서 수석교사와의 근무기간이 1, 2년인 교사가 수석교사와 근무한 경험이 없는 교사보다 높게 인식하였다. 셋째, 수석교사의 직무에 대해 수석교사와 근무한 기간이 1, 2년인 교사와 교직경력 8년 이상인 교사들이 높게 인식하는 경향이 높았다. 넷째, 이 연구를 통해 탐색된 수석교사제 활성화 방안은 ⅰ) 수업지도가 수석교사의 핵심 임무로 간주하고, ⅱ) 수석교사의 위치와 역할을 명확히 구분하고, ⅲ) 수석교사 평가 방법은 현행대로 교장․교육청에 의한 평가를 실시하고, ⅳ) 수석교사의 수업 시수는 50%이상 감축하되 학교 규모에 따라 차등 적용하고, ⅴ) 수석교사의 법률에 따른 인원배치를 엄수하고, ⅵ) 우수한 교사를 수석교사로 유치하기 위해 수석교사의 분명한 직무를 제시해야 하고, ⅶ) 현행 수석교사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석교사의 직무에 관한 모호함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 기업교육강사의 스피치 능력과 공신력이 교육생의 교육효과에 미치는 영향

        윤미정 경희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스피치'라고 하면 아나운서의 정확한 발음과 바르게 서 있는 곧은 자세의 이미지를 먼저 떠올리던 시절이 있었다. 하 지만 현대는 대인관계가 중요시 되면서 스피치 능력이 부각되고 있고, 사회인들에게는 갖추어야 할 역량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하루하루 생업의 현장에서 뛰어야 하는 사회인들에게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더욱 중요하다. 상사와 부하, 동료간의 관계에서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어떻게 이루어지느냐에 따라 조직에서 자기관리, 업무성과로 이어져 핵심인재가 될 수 있다. 이러한 핵심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기업해서 선택하는 방법이 바로 '교육'이다. 교육운영 시간동안 교육생이 어떻게 생각하고, 느끼고,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교육생들의 태도변화가 달라질 것이며 이러한 변화는 업무성과에 그대로 반영된다. 교육주제에 맞는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내용 구성은 중요하다. 하지만 잘 구성된 내용이 어떻게 느껴지고, 생각되고, 받아들여지는지는 강사가 전달하는 방법에 따라 다르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기업교육강사의 스피치능력과 공신력이 교육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구체적으로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내용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기업교육전문강사의 강의를 청강한 사회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312명 가운데 응답이 부실한 12부를 제외하고 300부가 통계분석에 사용되었다. 조사된 설문은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분석방법은 상관관계 분석, 다변인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연구문제를 검즘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도는 p< .05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사의 스피치 능려은 인지적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볼 때 시각적 비언어가 가장 높았고, 언어적 능력, 음성적 비언어 능력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강사의 스피치 능력 중 음성ㆍ시각적 비언어 요소는 정서적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강사의 언어적 능력과 음성ㆍ시각적 비언어 능력은 모두 만족감 효과에 정적인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넷째, 강사의 공신력은 인지적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볼 때 강사의 전문성이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고, 다음으로는 강사의 신뢰성, 역동성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강사의 전문성은 정서적 효과, 만족감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우선 사회인을 대상으로 교육효과를 측정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고, 기업에서는 조직의 성장과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육을 중요시하는 만큼 강사의 스피치 능력이 구성원들의 태도변화와 경쟁력을 높이는 데 실용적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Speech' first reminded me of image that announcers stand upright speaking with the accurate pronunciation. However, speech ability has been emphasized and became one of the capabilities that members of society must have as personal relationships are considered as important today. Communication ability is more important to the members of society who should work to get a living every day. Communication activiti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eniors and juniors and colleagues lead you to be able to be key persons of talent in organizations as they are connected to self-management and job performance. A method selected by companies to cultivate key persons of talent is 'education.' Changes in trainees' attitudes depend on how they think of, feel, and accept education during its hours of operation. These changes are reflected in job performance as it is. Systematic and logic composition of contents which are suitable for educational subjects is important. However, methods that instructors deliver well structured contents depend on how trainees feel, think of, and accept. Because of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effects of business training instructors' speech ability and public confidence on education effect concretely.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he members of society who listened to a lecture of a business training instructor to clarify these contents empirically. 300 copies were used in statistical analysis except the 12 copies that response was not sufficient among total 312 persons. For the investigated questionnaires,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For the analytical methods, subjects of inquiry were verified by conduction 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verified at a level of p< .05.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instructors' speech ability h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cognitive effects. A thorough examination of it has found that visual non-verbal language was highest, followed by linguistic ability, and phonetic non-verbal ability. Second, phonetic visual non-verbal elements of instructors' speech ability have found to have an effect of emotional effects. Third, the instructors' linguistic, phonetic, and visual non-verbal ability has found to have a positive high correlation with satisfaction effects. Fourth, the instructors' public confidence h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cognitive effects. A thorough examination of it has found that their expertise had a greatest influence on it, followed by their trustability and dynamic. Fifth, the instructors' expertise h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emotional effects and satisfaction effects.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education effects were first measured targeting members of society and a practical foundation was prepared to make instructors' speech ability change members' attitudes and increase their competitiveness as companies consider education as important to grow their organizations and improve their competitiv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