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국적 이동성과 일 경험: 한국 청년들의 싱가포르 해외취업 사례 연구

        육주원 ( Yuk Joowon ) 한국동남아학회 2018 동남아시아연구 Vol.28 No.3

        최근 정부 및 교육기관 차원의 해외취업/인턴십 프로그램이 증가하면서 싱가포르의 저숙련·저임금 서비스 직종에서 일하는 한인 청년들이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처럼 싱가포르 내 새로운 유형의 한인 이주자로 등장하고 있는 이 청년들과 싱가포르, 한국에서 진행한 심층면접조사를 바탕으로, 이들의 해외 취업 동기와 기대, 취업 이주 경로, 싱가포르에서의 일 경험, 귀국 후 생활을 살펴본다. 싱가포르 해외취업 경험이 있는 청년 중 다수는 싱가포르 취업 사증 중 가장 낮은 등급의 저숙련 사증인 WP(Work Permit)를 소지하고 서비스직에서 근무하며 탈숙련화를 경험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들이 취업 이주를 통해 자신들의 기대와 목표를 충족하고 있는지, 아니라면 어떻게 대응하며, 자신의 이주 경험을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최근 증가하고 있는 청년단기 해외취업 현상에 대해 만족도·효용 평가, 프로그램·정책 평가 및 제언 등을 담은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이를 이주 연구(migration studies)의 맥락에서 살펴보고, 청년들의 구체적인 경험들과 그에 대한 본인들의 해석에 집중하는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는 이들의 경험을 면밀히 살피고, 이를 탈숙련화와 이동성 자본(mobility capital) 개념을 통해 해석해 봄으로써, 청년 해외취업의 구조적인 문제를 드러냄과 동시에 이들의 행위자성에 주목한다.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recent increase of young Koreans working in the low-skilled service sector in Singapore. Such rapid increase largely results from the Korean government’s initiatives to promote labour migration of young people and the concurrent proliferation of migration agencies, against the background of growing youth unemployment in South Korea. By exploring the motivations and trajectories of young people’s labour migration to Singapore, this study examines to what extent they think their expectations have been met and how they interpret their migration and work experiences.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that examines the actual voices of young migrants as part of migration studies, whilst the majority of previous research focuses on the evaluation of government support programmes based on job matching rates, surveys of participant satisfaction and etc. Young people who went to Singapore to improve their English language skills and qualifications for future employment in Korea have become frustrated due to low-skilled service jobs that consist of low pay and high labour intensity. Their credentials are devalued and they experience deskilling through this migration process. Most of them were discontent with the Korean migration agencies they used and critical about programmes offered by government institutions and universities /colleges. Despite being subject to deskilling, they did try to actively cope or resist this situ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various ways these migrants attempted to manage the gap between their initial expectations and reality. It also demonstrates how these migrants interpreted their work experiences after returning to Korea: whilst most of them did not cash off their Singapore work experience for a decent job after returning to Korea, they did not define their experience as a complete failure. Adding to cultural, social capital they gained through this experience, they acquired ‘mobility capital’ which includes confidence, the desire to move, and capacity to control one’s own movement.

      • KCI등재

        반다문화 담론의 타자 만들기를 통해 본 다문화-반다문화 담론의 협력적 경쟁관계

        육주원(Joo Won Yuk) 한국사회학회 2016 韓國社會學 Vol.50 No.4

        이 논문은 최근 온라인을 통해 활성화되고 있는 반다문화 담론의 타자 만들기 동학을 고찰한다. 특히 계급화/인종화/젠더화된 담론으로서의 반다문화 담론의 성격에 주목하면서, 반다문화 담론안에서 민족/국민의 경계가 구축되는 방식과 이주자가 ‘우리’에게 위협적이고 동화 불가능하며, 발전을 저해하는 존재로서 타자화되는 방식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통상적으로 반다문화 담론은 이민, 이주민 통합을 둘러싼 다문화 담론에 대립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다문화 사회의 발전을 저해하는 인종주의적인 선동으로 기각되었다. 그러나 이 논문은 주류 다문화 담론과 반다문화 담론이 ‘차이’를 활용하고 수용하는 방식에서는 분명 상이한 점들이 있음에도, ‘차이’를 이해하고 생산해내는 틀은 공유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주류 다문화 담론이 체제에 위협이 되지 않는 ‘차이’들을 긍정하고, 국가의 존속과 경제 발전을 매개하는 존재로서의 이주자상, 사회문화적 발전을 위한 다양성의 원천으로서의 이주자상을 만들어 낸다면, 반다문화주의자들은 ‘우리’와 ‘그들’ 사이의 ‘공존 불가능한 차이’에 집중해 위해가 되는 존재로서의 이주자상을 주조한다. 그러나 차이의 ‘유용성’과 차이의 수용 태도와 관련해 나타나는 이러한 표면상의 대립에도 불구하고 다문화-반다문화 담론은 인종/문화화된 경계들을 따라 공히 ‘차이’를 생산하고, 이러한 경계를 젠더를 매개로 구축해내며, 차이들 내의 위계와 그 유용성의 정도를 신자유주의적 논리로 구성해 낸다는 점에서 상동성을 보인다. 본 논문은 양자의 관계를 다문화 담론이 열어 놓은 차이와 다양성의 위계를 둘러싸고 일어나는 협력적 경쟁관계로 분석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rise of anti-multicultural, anti-immigrant discourse and the ways in which it engages in the construction of migrants as the ‘Other’. In particular, it focuses on analyzing the gendered, classed, and racialized nature of this boundary-making practice. Since the mid-2000s, South Korea has been witnessing a proliferation of multicultural discourses and policy development. Whilst multicultural policies have largely been policies for the social inclusion of female marriage migrants and their ‘multicultural families’, multiculturalism indeed has emerged as a ‘discursive space’ within which migrant incorporation and racial/cultural diversity are discussed. In response to such policies, anti-multiculturalists who engage in anti-immigrant activism and strongly oppose the government’s multicultural policies have asserted their presence mainly via online forums. As the epithet ‘anti-multiculturalist’ was taken up by these people, it became synonymous with xenophobe or racist, although anti-multiculturalists themselves obdurately denied such associations. However, the seeming antagonism between anti-multiculturalists and multicultural discourse cannot be, in fact, explained as opposing views on racism; for example, as of racism of the former and anti-racism of the latter. Rather, the seemingly antagonistic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and anti-multicultural discourses is best described as a not-so-much-inimical rivalry, in that they compete with each other, but also work together in drawing racialized boundaries between the self and the ‘Other’ while constructing the ‘Other’ in a gendered and classed way. In this sense, this paper argues that anti-multiculturalists play the role of keeping ‘too much’ or ‘bad’ diversity at bay while appropriating the logic of differentiation and hierarchization, embedded in the dominant multicultural discourse.

      • KCI등재

        한국인의 사회적 관용과 다문화수용성

        육주원(Yuk, Joowon),신형진(Shin, Hyoung-jin) 한국인구학회 2021 한국인구학 Vol.44 No.4

        본 연구는 ‘2018 일반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를 분석하여 한국인의 다문화수용성을 예측하는 다양한 변인들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특히,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와 이론적으로 밀접한 관련이 있는 사회적 관용(social tolerance)을 세계가치조사(WVS: World Value Survey)의 설문 항목으로 측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적 관용을 측정하는 9개의 더미 변수만으로 종속변수인 다문화수용성의 변량을 약 20%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가 다른 사람’, ‘결혼하지 않고 동거하는 사람’, ‘술을 많이 마시는 사람’에 대한 관용은 종속변수에 영향을 끼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지만, 외국인혐오(xenophobia)와 관련된 ‘다른 인종’, ‘외국인 노동자’, ‘국제난민’에 대한 관용을 포함하여 동성애혐오(homophobia)와 연결된 ‘동성애자’와 ‘에이즈 환자’에 대한 사회적 관용까지 다문화수용성을 예측하는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인종차별과 성소수자에 대한 편견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불관용(intolerance)이 상호연관되어 있다는 이론을 지지하는 한편, 한국사회가 다양성이 제대로 존중받는 사회로 순조롭게 나아가기 위해서는 외국인이나 다른 문화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차원의 차이를 존중하는 태도를 배양할 수 있도록 법·제도적 정비와 함께 시민교육을 재구성하고 정책적으로 시행하여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various predictors of multicultural acceptance among Korean adults utilizing the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the 2018 National Multicultural Acceptance Survey.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social tolerance as a main predictor, which was measured by the following World Value Survey question: ‘On this list are various groups of people. Could you please mention any that you would not like to have as neighbors?’ The result of the multi-variate regressions indicated that social tolerance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affecting multicultural acceptance. Although social tolerance on ‘People of a different religion’, ‘Heavy drinkers’, and ‘Unmarried couples living together’ had no significant effect to multicultural acceptance, social tolerance on other minorities found to be important predictors of multicultural acceptance. It was no surprise that social tolerance on ‘People of a different race’, ‘Immigrants/Foreign workers’ and ‘International refugees’ would affect multicultural acceptance since they are closely related to racism and xenophobia. However, social tolerance on ‘Homosexuals’ and ‘People who have AIDS’ were also revealed to be influential in predicting multicultural acceptance. This result supports the idea that multiple intolerances such as sexism and racism are interconnected. Furthermore, th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the legislation of the ‘comprehensive anti-discrimination act’ and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cultivates positive attitudes towards not only ethnic minorities but also various other minorities, in order for Korean society to advance towards a multicultural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