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의 한국문화 교육 내용 분석

        유현정(Ryu Hyun-jung) 국어문학회 2017 국어문학 Vol.65 No.-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생활 적응 및 학업 수행 능력향상을 위해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에서 한국문화 교육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인식하고, 현재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한국문화 내용을 분석하여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과정에 필요한 문화 내용의 제시 현황 및 체계화 정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최근 정부의 적극적인 외국인 유학생 유치확대 정책으로 한국 대학(원)에 진학하기 위해 한국을 찾는 유학생이 급증하고 있으나 이들 중 많은 수가 학업을 중도 포기하는 등의 부작용도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유학생의 언어능력 향상과 함께 적극적인 문화 교육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문화 교육의 양상을 고찰하기 위하여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의 한국문화 교육 내용을 추출하여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최근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실제 자료의 분석을 토대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의 한국문화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앞으로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되는 학문 목적 학습자의 양적인 증가에 발맞추어 교육의 질적인 측면을 강화하기 위하여 한국문화의 구체적인 교육내용 선정 및 교육방안 구상에 관한 연구가 더욱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systematization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by sorting out and analyzing the Korean cultural contents in Korean textbooks for academic purpose, based on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need for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is increasing with the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the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in korean universities. Although this need is prevalent, it is still not enough to learn about Korean culture from current Korean textbooks for academic purpose because there is not an approved standard to select the essential cultural item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o present them in the textbooks. This study tries to examine how Korean cultural education is going by sorting out and analyzing comparatively the Korean cultural contents in Korean textbooks for advanced course and undergraduate course. The result suggests some points to be modified or improved in Korean cultural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and attempts to analyze the vast real-world data.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informations on anticipated future stud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for the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Another expectation is that there will be many other studies in Korean cultural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as how to present various Korean cultural contents and how to teach the detail contents for proficient communication in Korean language of the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국어교육,한국어교육 : 한국어 교재의 발음교육 방안 연구 -발음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중심으로-

        유현정 ( Hyun Jung Ryu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3 漢城語文學 Vol.32 No.-

        본 연구는 효과적인 한국어 발음교육 방안 마련을 위해 현행 한국어 교재의 발음교육 내용을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외국어 학습에서 발음은 가장 기초적이고 기본적인 단계인 동시에 고급단계의 학습자에게도 여전히 어렵게 느껴지는 부분이기도 하다. 따라서 초급 단계에서부터 효과적인 발음교육을 위한 체계적인 내용 선정 및 교육방법의 고안이 필요하며, 이것을 바탕으로 한국어 교재의 발음 부분의 교육내용 구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최근 한국어교육에 관련된 교재들은 주로 의사소통 중심의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기능이 통합된 교재로 발간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통합교재 중 발음교육을 위한 음운 변동 규칙 등의 구체적인 내용을 기술한 교재는 많지 않다. 대부분의 통합 교재는 초급 교재의 첫 부분에서 모음, 자음, 음절 구성 등 기본적인 발음과 음운에 대해 간략하게 제시하고 있을 뿐 본문에서 한국어 발음 및 음운현상 등에 대한 설명이 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 또한 이러한 통합 교재와 별도로 한국어 발음을 집중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한국어 발음 교재가 출간되어 있으나 일반적으로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선정한 통합교재를 통해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별도로 발음 교재를 학습하기는 쉽지 않다. 이런 이유로 실제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발음 교육은 주로 교사의 발음이나 교재의 녹음자료를 따라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교사의 입장에서도 부담이 높으며 학습자 또한 발음 부분 학습에서 어려움을 겪게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한국어 발음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한국어 교재의 발음교육 방안을 제안함에 있어, 먼저 기존 교재의 발음교육부분을 교육 내용과 교육 방식의 두 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한국어 교육에서 발음은 초급 단계에서 고급 단계에 이르기까지 단계적이며 지속적으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 각 단계별로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발음교육 내용과 발음교육 방법에 대한 일관성 있는 기준을 마련하고 그에 따른 교수요목을 구성하는 것에 관한 논의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effective method for teaching Korean pronunciation by analyzing the pronunciation parts of current Korean language textbooks. It`s needed to devise the effective method for teaching Korean pronunciation from the entry-level and then compose the pronunciation part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because the pronunciation is the most basic and fundamental step in studying a foreign language and is still felt to be difficult even for a student in an advanced level. Most of current Korean language textbooks aims integrated capability of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and doesn`t give the detail informations about Korean pronunciation as the phonological rules and phenomena . It makes both teachers and students feel difficult to teach and study with that and mainly dependent on just repeating the teacher`s pronunciation or recorded one. This study propose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on Korean pronunciation of Korean language textbook which can solve these problems by addressing the issues and proposing the improvements in 2 kind of areas : educational contents and teaching method. Teaching pronunciation needs a step-by-step and continued training program from an entry-level to an advanced level which can be made by establishing consistent standard about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the teaching method of pronunciation for each level and by composing the syllabus for the textbooks.

      • KCI등재후보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한국문화 교육의 목표와 방향 설정에 관한 고찰 - 미국, 유럽의 문화교육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유현정 ( Ryu Hyun-jung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21 漢城語文學 Vol.45 No.-

        최근 한국어교육 분야에서는 문화교육의 중요성에 관한 인식이 더욱 확대되면서, 학습자가 상호문화적 관점을 갖추는 방향으로 적극적이고 구체적인 문화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논의가 활발히 이어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한국문화 교육의 목표 및 방향 설정, 구체적인 방법론에 관한 논의의 기초를 마련해 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모형의 문화 영역을 미국의 ‘국가 외국어학습표준(NSFLL)’ 및 유럽의 ‘유럽 공통 참조 기준(CEFR)’과 비교하여 문화교육에 관한 인식 및 구체적인 교육 방향, 교육 내용 등을 검토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개선점과 보완점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어교육 분야의 문화교육을 서구의 외국어교육 분야와 비교하여 학습자에게 상호문화적 관점을 통한 진정한 의사소통능력을 갖추게 하도록 문화교육의 목표 설정과 방향 전환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고, 그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기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문화교육 목표 설정의 구체화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어져야 할 것이며,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실제 사용되고 있는 교재 내용을 다양한 시각에서 점검하고 분석하여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Korean culture education is going and find some improvements for future tasks of Korean culture education. This study tries to examine how Korean culture education is going by comparing the educational objective and the direction of Korean culture education of the National Standard Mode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those of NSFLL of USA and CEFR of Europe. The result shows that the Korean culture education still have tasks for the cultural education of the inter-cultural perspective and suggests some points to be modified or improved in Korean culture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informations on anticipated future studies in Korean culture education. Another expectation is that there will be many other studies in Korean culture education as how to set up a goal and the direction, and how to improve the details of cultural contents in present Korean textbook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을 위한 문화적 문식성 연구

        유현정 ( Ryu Hyun-jung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6 No.3

        KGP와 차별된 과정으로서의 KAP에서는 대학(원)에서의 학업 수행에 요구되는 한국어능력을 갖추게 하는 데 초점을 두어 왔으며, 이를 ‘학술적 문식성’으로 정의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KAP 학습자가 갖추어야 할 문화 능력을 ‘문화적 문식성’으로 재개념화 하고, 문화적 문식성의 하위 요소를 1) 학문적 배경지식으로서의 문화 지식, 2) 상호문화적 관점의 문화 인식, 3) 담화 맥락에 맞는 한국어 표현 능력, 4) 매체활용 능력 등의 네 가지 요소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어교육 전반에서 ‘의사소통 능력’ 중심으로 논의되었던 문화교육 목표를 ‘지식’ 중심으로 전환하고, KAP 학습자를 위한 문화적 문식성의 개념을 구체적으로 정의,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ceptualize the ‘cultural literacy’ as a part of the ‘academic literacy’ for KAP(Korean for Academic Purposes) learners. This study tries to examine and analyze the results of various studies and theories about KAP education and Korean cultural education and classifies the factors of cultural literacy as 1) the cultural knowledge as the academic background knowledge, 2) the intercultural point of view, 3) the expressive ability in accordance with a discourse situation and 4) media utiliz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informations on anticipated future stud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ultural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for the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Another expectation is that there will be many other studies in Korean cultural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as how to improve the ‘academic literacy’ and ‘cultural literacy’.

      • KCI등재후보

        국어교육,한국어교육 : 문화 교육으로서의 한국 문학 교육 방안 연구 -비교문화적 관점을 중심으로-

        유현정 ( Hyun Jung Ryu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5 漢城語文學 Vol.34 No.-

        이 연구는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 문화 교육에서 한국 문학을 활용하는 방안에 관해 논의한다. 최근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진정한 의사소통 능력향상을 위한 문화 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한국의 문화 및 한국인의 생각과 행동, 생활양식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한국문학 교육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그동안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문학과 관련된 연구는 주로 언어학습을 위한 문어(文語) 텍스트로서 그 활용 방안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최근 한국어교육을 포함한 외국어교육 분야에서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문화 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문학을 문화 교육의 측면에서 다루어보고자 하는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즉 문학을 단순한 실용적 차원의 언어 교육을 위한 제재로서가 아니라 문화 교육 차원에서 필수적이며 적극적으로 다루어져야 할 문화교육의 도구로 보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한국어 교재가 언어의 습득이라는 1차적 목표 아래 주로 대화문이나 설명문과 같은 실용적 텍스트 위주로 구성되고 있는 현실에서 학습자 수준에 맞는 문학 작품의 선정 및 교수요목 상의 주제, 기능등을 고려한 구체적인 수업활동의 고안에 대해서는 좀 더 구체적이고 다양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문화 교육으로서 문학 교육의 필요성 및 당위성이라는 전제를 바탕으로 현재 한국어교육에서 문화 교육 및 문학 교육에 관한 연구의 결과를 고찰하고 그 안에서 문학 교육의 위치를 파악하여, 그 문제점과 개선점을 중심으로 문화 교육으로서의 문학 교육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행 한국어 교재의 문학 교육 내용을 추출하여 그 항목과수업 활동을 분석하고, 최근에 이루어진 ‘한국어 확산 문화프로그램 연구’ 와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 개발’ 연구의 결과를 참고하여 문화교육을 위한 문학 작품 선정 기준 및 교육 내용 제시 방안을 고안하였다. 또한 학습자가 문학을 문화 지식의 대상으로 학습함에 있어 비교문화적관점에서 문화 내용을 주체적으로 이해하고 비판적 시각으로 받아들이는 과정을 통해 적극적인 문화 교육이 실현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 중심의 문화 교육이 이루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 teaching method of Korean literature as a cultural education within the confin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communicating in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tly. As the need for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increasing, the importance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s getting attention as the literal works contain many informations about Korean culture. This study examines various studies about cultural education and Korean literature education and analyze the literal contents in Korean textbooks to seek the way to use Korean literature as a method of teaching of Korean culture. This study attempts to offer a discriminatory method of teaching Korean culture by using Korean literature in the cross-cultural perspective which can make Korean language learners compare the cultural facts in Korean literature to their native culture.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 of literature and attempts to change the perspective on literature from simply being the "additional fact" for language learning to the important subject of language education and cultural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information on anticipated future studies in Korean literature education as a cultural education for proficient communi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Another expectation is that there will be many other studies in Korean literature education focused on various subjects such as how to set up the standard to select the Korean literal works which is useful for cultural education and how to use them in a Korean textbook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고급 단계 한국어 교재의 한국문화 교육 실태와 방향성 고찰 - 비교문화적 관점에서의 표현 활동 분석을 중심으로 -

        유현정 ( Ryu Hyun-jung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7 漢城語文學 Vol.36 No.-

        최근 한국어를 공부하기 위해 한국을 찾는 외국인 학습자의 수가 크게 증가하면서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습득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한국문화 교육 방안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언어교육에서 문화교육의 필요성 및 중요성에 관한 인식을 바탕으로 현행 한국어 고급 교재의 문화 내용 및 수업 활동의 제시 양상을 고찰하였다. 문화교육에 관한 선행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교재 분석 기준과 분석 대상 교재를 선정하고, 외국어교육 분야의 문화 수업 모형을 참고하여 문화 수업의 단계를 문화 이해, 문화 해석, 문화 비교, 문화 수용, 문화평가의 다섯 단계로 설정하였다. 표준 모형의 문화 항목 분류를 바탕으로 고급 단계 한국어 교재의 문화 교육 내용을 성취문화, 행동문화, 정보문화로 구분하여 각 교재별로 문화 항목별 교육 내용 제시 방식 및 학습자활동 구성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고급 단계 한국어 교재의 문화 교육 방식에 관한 개선점과 보완점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학문 목적 과정의 준비단계로서 고급 단계 한국어 학습자의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 습득을 위한 문화교육의 중요성 및 유용성을 인식하고 실제 자료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문화 교육의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앞으로 한국어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이며 체계적인 문화교육 방안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 development status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for the advanced and to suggest it`s development direction. The need for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increasing with the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Although this need is prevalent, it is still not enough to learn about Korean culture from current Korean textbooks. This study tries to examine how Korean cultural education is going by analyzing cultural contents and the task activities from Korean textbooks of advanced level on the basis of the stages of cultural studies from a crosscultural standpoint. The result suggests some points to be modified or improved in Korean cultural education for the advanced.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attempts to find an efficient way for Korean cultural education by analyzing the vast real data.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information on anticipated future studies in Korean cultural education for proficient communication in Korean language. Another expectation is that there will be many other studies in Korean cultural education focused on various subjects such as how to present effectively Korean culture in Korean textbooks and how to teach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