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전통목가구 제작기법을 활용한 생활가구에 관한 연구

        유진경(Yoo, Jin Kyung),박유정(Park, Yu Jeong),최경란(Choi, Kyung Ra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5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1 No.-

        한국 전통목가구 제작 기법 중 특히 구조적 측면의 짜임기법에 치중하여 생활가구를 제작하는 것은 직선과 직선이 만나 이루는 면 이외에 다른 요소가 없기때문에, 선과 면의 조화와 어울러 선과 선의 구조적 결합구조, 즉 목재 접합의 결구 부분이 중요하다. 짜임기법을 활용한 현대 가구에서 구조적 측면의 견고성을 담보로 가구를 제작한다는 것은 목재의 성질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하고, 도구를 다루는 기술이 숙련되어 있어야 하며, 구조적 역학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잘 갖추어 졌다는 것을 뜻하며, 건습의 변화로 인해 목재가 늘거나 줄면 결합 부분이 빠지는 등의 결점이 바로 드러나기 때문에 가구 제작에 있어 짜임 기법의 활용은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새로운 전통목가구 연구로써 전통목가구 제작 기법 중 구조적 측면의 핵심요소인 짜임기법을 활용하여 제작 되어진 견고하고 실용적인 생활가구 사례에 대해 연구하고 여기서 보여지는 장점을 잘 활용하여 세계의 현대화 속에서 한국의 창의적인 현대생활가구를 디자인할 수 있는 방향성을 확보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 및 범위,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전통목가구의 제작기법에 대한 역사와 종류, 기술 등을 조사하여 기법에 대해 이해하고 짜임기법의 활용으로 구조적 측면의 견고성을 확보한 생활가구에 대해 연구하였다. 전통가구제작기법의 유형인 재료, 구조, 의장의 관점 제작기법에 대해 이해하고 전통목가구 제작기법의 유형 중 중요한 한국 짜임중심의 제작기법에 대해 이해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 및 향후의 과제는 다음과 같다. 한국 전통목가구 제작기법 중 짜임기법을 활용한 작업의 의의를 역사 속에서 찾아보며 이러한 작업이 가구의 견고성을 확보하는 조건인 짜임기법임을 확인하였으며, 추후 부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짜임기법이 구조적 견실성 이외에 시각적 효과를 더 좋게 하기 위해 필요한 디자인적 요소 도출과 그에 따른 기술과 그 적용범위, 그리고 한계점 등에 대한 연구가 가능하리라 기대한다. Among Korean traditional wooden furniture (Mokgagu) production techniques, the process of making living furniture shows tendency to especially stress woven technique in structural aspects of the scheme. It is because harmony of lines and planes and as well as structural bonding structure of lines, that is, framing part of wood bonding become important as there are no factors other than the surfaces formed by straight lines meeting each other. To produce furniture keeping the robustness of structural aspects as collateral means to have a good understanding in the nature of timbers, to be well trained in dealing with the technical tools, and to be well equipped with the knowledge and experience of structural dynamics. Actually it is most important to use woven technique on this part because a drawback such as loosening of bonding part can become obvious according to expanding or shrinking of wood under wet and dry condition. Thus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history, the type, and the techniques of traditional wooden furniture making, then derived the techniques to utilize them in production and searched how to apply the techniques to ensure the robustness in structural aspects. So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significance of utilizing weave production technique among Korean traditional technique of wooden furniture making and investigated mainly about the weave technique as a condition for ensuring the robustness of furniture making process. This study of conclusion might go as follows. It is expected in further additional studies possibly to investigate how weave technique can derive the design elements needed for a better visual effect in addition to the structural robustness, technology in accordance with it, and the scope of such application as well as limitation.

      • KCI등재

        물공급시스템 수질사고 확산제어를 위한 체류시간 기반 대응구역 구축 방법론 개발

        유진경(Jin Kyung Yu),이승연(Seung Yeon Lee),온병헌(Byeong Heon On),전태민(Tae Min Jeon),유도근(Do Guen Yoo) 한국방재학회 202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3 No.6

        상수관망시스템은 관로의 노후화에 따른 누수 및 파손으로 생긴 외부오염, 수리학적 유량 변경에 의한 관로 내 퇴적물질 부유 등의 원인으로 수질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공급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질문제는 대응이 늦어질 시 주민들의 건강 문제와 지역의 경제적인 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사고 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제어기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관망 내 수질사고 확산 양상을 체류시간 기반으로 사전에 파악해 산정하고, 사고확산을 실무적인 관점에서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구역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이렇게 제안된 방법론을 한국의 A시 구역의 관망시스템에 적용되었다. 새롭게 정의되는 구역의 결과를 수질사고 발생 시 실무적으로 관리, 제어하고자 하는 목표 체류시간에 따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제안된 방법론은 수질사고의 신속한 대응 측면에서 새로운 개념의 대응 구역구축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이는, 위기 대응에 핵심적으로 운용되어야 하는 밸브를 중심으로 작동되는 구역을 설계하여 목표에 맞는 대응시간 안에 명확한 수질사고 확산 제어 구역화가 가능하다. Water quality issues may arise within the water pipe network system due to external contamination from water leaks, aging pipes leading to damage, and the presence of suspended sediments resulting from changes in hydraulic direction. Promptly addressing these water quality problems during the supply process is crucial, as delays can swiftly escalate health risks for residents and cause economic damage to the region. Therefore, developing control techniques is imperative to minimize the rapid dissemination of accidents. This study aims to proactively identify and calculate the spread pattern of water quality incidents within the pipe network, utilizing residence time as a critical factor. A practical and efficient spread control zoning methodology was proposed to curtail the expansion of accidents. Applying the proposed methodology to the pipe network system in Cty A (Korea) involved quantitative analysis of newly defined areas based on the target residence time intended for practical management and control during water quality acciden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method offers the potential to establish a novel concept of a response area for rapid reactions to water quality incidents. This facilitates the design of a zone centered around valves essential for crisis response, thereby creating an area with precise control over the spread of water quality accidents within a target response time.

      • KCI등재

        물공급시스템의 수질중점관리구역 결정을 위한 군집분석

        문기훈(Gi Hoon Moon),이승연(Seung Yeon Lee),유진경(Jin Kyung Yu),강두선(Doosun Kang),유도근(Do Guen Yoo) 한국방재학회 202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3 No.6

        정상 및 비정상 상황에서 상수도관망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유지관리하기 위해 DMAs (District Metered Areas)와 같은 구역화 방법론이 적용되고 있다. 기존 DMAs에 의한 관리 및 평가의 목표는 일반적으로 수량과 수압의 안정적인 관리이다. 따라서, 잔류염소의 적정관리와 수질 민원 감소 등과 같은 물공급시스템의 수질요소에 대한 유지관리를 목적으로 한 방법론이라 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규모 상수도관망에서의 안정적인 수질관리 및 수질사고 대응을 위한 수질중심요소의 관리를 위한 구역화를 수행하고, 구역별 우선순위를 정하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다양한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기반 수질 관련 정형(수질 측정 데이터, 관로 데이터 등) 및 비정형(수질 민원 등) 자료를 활용하여 평가 인자를 도출하고, 클러스터링 분석 기반의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종합적 수질관리 중요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제안된 방법론을 실제로 우리나라 A 광역시에 적용하여 평가 결과를 도출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데이터 기반의 상수도망 우선 관리구역 지정방법론은 상수도사업자의 상수도관망 운영 및 관리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의사결정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Zoning methodologies, such as district metered areas (DMA), are commonly employed to robustly maintain water pipe network systems in both normal and abnormal situations. However, the management and evaluation typically associated with existing DMAs primarily focus on ensuring stable water volume and pressure. Consequently, these methods do not adequately address the maintenance of water quality elements within the water supply system, such as adequately managing residual chlorine and reducing water quality complaints. This study introduced a zoning tailored explicitly for managing water quality-oriented elements, facilitating stable water quality management, and enhancing responses to water quality incidents in large-scale domestic water supply networks. A method was proposed to establish priorities for each zone, using variou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based water quality-related structured data (such as water quality measurement data and pipe data) and unstructured data (such as water quality complaints). Comprehensive water quality management was achieved by apply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based on clustering analysis to derive evaluation factors. The proposed methodology was implemented in Metropolitan City A in Korea, leading to the derivation and analysis of evaluation results. This data-centric water supply network priority management area designation methodology, as presented in this study, is anticipated to serve as a valuable decision-making tool for enhancing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water supply network operation and the overall management of water supply opera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