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Effect of Seedlings Density in Nursery on Biomass Production and Growth Characteristic of Styrax obassia

        Jeong Ho Choi(최정호),Se Kuel Yoo(유세걸),Soo Won Lee(이수원),Seok Gui Oh(오석귀)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7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6 No.3

        다양한 활엽수 자원의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쪽동백나무 유묘의 생육밀도에 따른 물질생산량과 생장특성 등 최적의 생장조건을 조사하였다. 묘목의 생육밀도는 수고생장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으며, 본 실험 결과 쪽동백나무의 1m²당 생육 밀도에 따른 묘목의 생장은 49본구에서 간장과 근원직경이 우수한 생장량을 보인반면 생육밀도가 낮은 처리구는 근원직경 생장이 증가하면서 간장생장은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물질생산량 또한 생장 특성과 마찬가지로 1m²당 49본구 처리구에서 전체 물질생산량이 통계족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면서 3.12±0.80g로 다른 처리구보다 높은 물질생산량을 보였고, T/R율에서도 1.59로 나타났다. 생리적 특성으로 광합성률 또한 쪽동백나무의 경우 1m²당 49/m² 본구와 64/m² 본구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광합성률을 보였고 밀도가 높아질수록 광합성효율이 떨어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이는 생육 환경조건에서 적절한 공간 확보가 궁극적으로 최종 물질대사 작용인 광합성률 변화에서 최적의 상태를 보이면서 생리적으로 안정된 생장형태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되며, 적정 공간의 장애가 실질적인 생장저하를 발생시키고, 궁긍적으로 물질대사의 최고 단계인 광합성효율 또한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To provide the basic data essential for developing varieties of broad-leavede tree, the study investigated the utmost growth requirement for the growth characteristic and biomass production in accordance with planting density of Styrax obassia. The planting density of seedling can be a significant factor in contributing growth of seedling for tree growing in general. While growth of tree according to 1 ㎡ planting density of Styrax obassia showed an excellent growth in tree height and the root collar diameter from 49 no./㎡, those low planting density showed decreased tendency with tree height growth while increasing the root collar diameter growth. As similar to the growth characteristic, the biomass production showed significant and statistic difference in 49 no./㎡ showing high volume of biomass production which is 3.l2±0.80 g compare to other processing section and high figure with T/R ratio which is 1.59. The special trait of photosynthetic also showed relatively high photosynthetic rate in 49 no./㎡ and 64 no./㎡ of Styrax obassia and as the density increase, photosynthetic efficiency decreased. The plant showed stable and physiological planting pattern, displaying the best photosynthetic rate, which was the final metabolism through reserving proper space in the growth and development environment condition. This obstacle of required space essential for growth substantially deteriorated planting and ultimately, it demonstrated lower tendency of photosynthetic rate, which is the highest level of metabolism.

      • Study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Platanus Orientalis by Growth Density Control

        Soo-Won Lee(이수원),Jeong-Ho Choi(최정호),Se-Kuel Yoo(유세걸) 한국산림바이오에너지학회 2008 산림바이오에너지 Vol.27 No.1

        버즘나무의 1 ㎡당 생육 밀도에 따른 묘목의 생장은 49본구에서 묘고(tree height)와 근원직경이 우수한 생장량을 보인반면 생육밀도가 높은 처리구는 근원직경과 간장생장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생육밀도가 묘목의 생 장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엽록소함량에서도 생장이 우수한 49본구가 4.3 ㎎/gㆍw.t로 생장이 떨어지는 90본구의 2.9 mg/gㆍw.t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물질생산량은 생장 특성과 마찬가지로 49본구 처리구에서 전체 물질생산량이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면서 3.12±0.80 g로 다른 처리구보다 높은 물질생산량을 보였다. 수목은 생육 환경조건에서 적절한 공간의 확보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높은 물질생산량을 보이면서 생리적으로 안정된 생장형태를 보였다. 이는 생육에 필요한 적정 공간의 장애가 실질적인 생장저하를 가져오며, 궁극적으로 물질대사의 최고 단계인 엽록소 특성이나 생장 또한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Unlike the seedling growth according to growth density per 1 ㎡ on Platanus orientalis demonstrated excellent increment in diameter at root collar and tree height from 49 trees/㎡, the treatment of higher growth density in diameter at root collar and tree height growth demonstrated decline tendency. This would be an important factor determining that a growth density largely affects on seedling growth and 49 trees/㎡ that has excellent growth in chlorophyll contents at 4.3 mg/gㆍwt displayed higher level of contents compare to 90 trees/㎡ at 2.9 ㎎/gㆍwt which decline in growth. Biomass, in the same manner to the growth feature als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49 trees/㎡ treatment, showing higher biomass compare to other treated sections at 3.12±0.80 g. The tree showed a physiologically stable pattern of growth while demonstrating ultimately higher biomass through retaining appropriate space under the growth environment condition. We suggested that an obstacle in the appropriate space lower the actual growth and showed decrease tendency in growth and chlorophyll content feature which was the optimum stage of metabolism.

      • KCI등재

        Effects of artificial water treatment on the growth and leaf characteristics of Fraxinus rhynchophylla and Fraxinus mandshurica

        Jin Chul Chung(정진철),Jeong Ho Choi(최정호),Kyong Woo Park(박경우),Se Kuel Yoo(유세걸),Soo Won Lee(이수원),Jong Hyang Bae(배종향)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7 시설원예‧식물공장 Vol.16 No.2

        인위적인 수분처리에 대한 묘고생장 결과 물푸레나무는 수분처리의 영향을 크게 받지는 않았으나, 토양수분이 감소할수록 생장이 감소하였고, 들메나무는 상대적으로 토양수분이 높은 처리구(78~90%)에서 높은 생장을 보였다. 물푸레나무와 들메나무의 큰원직경 또한 토양수분이 감소할수록 생장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물질생산량의 변화는 물푸레나무의 경우 잎, 줄기, 뿌리 등 건중량이 각 처리구별로 토양내 수분이 낮아질수록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이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토양수분이 78~90%(A)인 처리구에서는 상대적으로 18~30%(D)처리구에 비해 약 2배 이상 높은 물질 생산량을 나타냈다. 들메나무도 각 처리구간에 차이를 보이면서 A처리구와 D의 처리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였다. 이는 토양수분이 묘목의 수세 약화 및 잎을 포함한 조직의 연화 등 생리적인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물푸레나무와 들메나무의 엽 특성중 SLA는 토양수분처리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이진 않았지만 처리구간 수분함량이 적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LAR과 LWR의 경우에는 각 처리구간 토양내 수분함량이 적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지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Although the result of the tree height growth after water treatment, Fraxinus rhynchophylla has little affection by the artificial water treatment, the growth showed decreased tendency as the soil moisture decreased, and F. mandshurica showed high growth in relatively high soil moist 78~90% treated area, The growth of root collar diameter of F. rhynchophylla and F. mandshurica also showed decreased tendency as soil moisture decreased. The changes of biomass according to dry weight of root, stem, leaves of F. rhynchophylla demonstrating statistical significance as moisture contents of soil is lower showing decreased biomass tendency and in the treatment of 78%~90%(A) moisture content showed more than double the higher biomass compare to the treated area of 18~30%(D) moisture contents. Also F. mandshurica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A and D treatment demonstrating differences among each treatment. This can be purported to have physiological effects like weakening of seedling and softening of tissues including leaves as soil moisture decreased. Ultimately it is regarded to the main reason of unsatisfactory growth for F. rhynchophylla and F. mandshurica that are weak to drought resistance. SLA, which is one of the special traits of leaf area of F. rhynchophylla, didn'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moisture process, it demonstrated decreased tendency as the moisture content interval is minimal. LAR and LWR showed increased tendency while moisture content didn'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reatments as they are minimal.

      • KCI등재
      • KCI등재

        상토 조성이 활엽수 용기묘의 생장특성에 미치는 영향

        이수원(Soo Won Lee),최정호(Jeong Ho Choi),유세걸(Se Kuel Yoo),김석권(Suk Kuwon Kim),배종향(Jong Hyang Bae),한석교(Han Suk Kyo)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6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5 No.3

        본 연구는 활엽수 대상 용기묘의 적정 상토를 개발하기 위해 상토의 원료 조성에 따른 노각나무, 찰피나무, 이팝나무 등 활엽수 용기묘의 생장 특성을 4개월간 시설온실에서 실시하였다. 사용된 상토중 코코피드나 피트모스 등이 상대적으로 많은 상토에서 노각나무, 찰피나무, 이팝나무 등 활엽수 용기묘의 수고생장과 근원경 생장이 높게 나타났으며 지상부와 지하부의 건물 생산량 또한 뚜렷하게 증가한 경향을 보였다. 또한 생리적 특성에 있어서도 활엽수 용기묘의 광합성률이 상토내 코코피드와 피트모스가 많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활엽수 용기묘의 생장에 대한 상토의 영향은 생장특성과 물질생산량 및 광합성과 같은 생리적 특성과 함께 관수 및 시비 체계도 지속적으로 연구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broad-leaved container seedlings of Stewartia pseudocamellia, Tilia manshurica and Chionanthus retusus in relation to the raw material properties of the container medium in a green house for 4 months in order to develop optimum container medium for broad-leaved container seedlings. Among the container media used, the high level of the height growth and root collar diameter growth of broad-leaved container seedlings of Stewartia pseudocarnellia, Tilia manshurica, Chionanthus retusus was found in the container media with relatively more cocopeat or peatmoss, and the dry matter production of the aerial part and the subterranean part. Also, concerning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the photosynthetic rate of broad-leaved container seedling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volume of cocopeat and peatmoss in the container media. The effect of container media on the growth of broad-leaved container seedlings needs continuous study on the irrigation and fertilization programs along with the study on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growth characteristics, biomass production and photosynthe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