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근부 결절종 개방절제술 후 잔존통증의 원인

        김준엽(Joon Yub Kim),김주학(Joo Hak Kim),유정현(Jeong Hyun Yoo),유병찬(Byung Chan Yoo),권기범(Ki Bum Kwon),최정수(Jung Su Cho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2 No.3

        목적: 수근부 결절종의 개방절제술 후 잔존통증과 술 전 수근관절의 불안정성 및 전신이완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후향적 연구는 수근부 결절종으로 개방절제술을 시행한 64명을 대상으로 수술 후 잔존통증 및 기능과 술 전 수근부 불안정성 및 전신이완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수근부 불안정성은 수부의 단순 방사선 검사(후방 개재 분절 불안정성[dorsal intercalated segment instability], 전방 개재 분절 불안정성[volar intercalated segment instability])와 신체검사(Watson scaphoid shift test)를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전신이완은 Beighton 과운동성 지표를 통해 평가하였다. 단순 방사선 검사 및 신체검사에서 동시에 양성 소견인 경우에 한해 수근부 불안정증이 있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결과: 수술 전에 비해 수술 후 시각 통증 점수와 quick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quick-DASH)는 유의하게 호전되었다. 수술 후 잔존통증은 수근부 불안정증이 있는 경우(n=6)가 2.50±1.76점, 없는 경우(n=58)가 1.18±1.24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22). 술 후 quick-DASH의 경우 술 전 수근부 불안정증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신이완증(n=18)은 잔존통증 및 quick-DASH와 연관성이 없었다. 결론: 수근부 결절종의 개방적 절제술에서 수술 후 잔존통증 점수는 수술 전 수근부 불안정증이 있었던 군에서 없었던 군보다 높았으며, 전신이완증과는 연관관계가 없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idual pain and preoperative carpal instability, as well as the generalized laxity after open excision of wrist ganglion. Materials and Methods: Sixty-four patients, who received open excision of wrist ganglion, were retrospectively enrolled. The relationships between residual pain (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postoperative function (quick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quick-DASH), between residual pain and preoperative carpal instability, as well as generalized laxity were evaluated. The carpal instability was assessed from radiologic carpal instability (dorsal intercalated segment instability and volar intercalated segment instability) and Watson scaphoid shift test. The generalized laxity was assessed by the Beighton hypermobility score. Results: Pain VAS and quick-DASH were significantly improved postoperative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toperative residual pain between those with (n=6) and without carpal instability (n=58) (+: 2.50±1.76 vs. -: 1.18±1.24; p=0.022),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carpal instability and postoperative quick-DASH. Both postoperative residual pain and quick-DASH had no correlation with generalized laxity (n=18). Conclusion: Patients with preoperative carpal instability had greater residual pain after excision of wrist ganglion than those withou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