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교 자유학기제를 위한 문화체험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사례 연구 -나주시 다시면 지역문화자원 연계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유명의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7 조형미디어학 Vol.20 No.4

        From 2016 onwards, the liberal semester is being implemented in all middle schools in Korea. The junior high school free semester system is a system in which the government improves the teaching methods and cultivates the curriculum in order to cultivate creative talents Middle school students can participate in a variety of programs outside the school so that they can have a happy school life in search of their own dreams and hits without having to take a midterm or final exam for one semes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ultural experience program that links local cultural resources in line with the implementation of free school system in middle school. Naju City, which can show the history of ancient Mahan,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Naju, and the life culture of the Chollanamdo, will focus on a differentiated cultural experience program that can be carried out around the Youngsan Ri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desirable that the middle school free semester system. Therefore, it is very urgent to develop various and in-depth programs for the students who come to the field through the full-time free semester system. Second, we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experiential activities programs as a group. More content will be required depending on whether you want to move to school, classroom units, or small groups. Third, it was recognized that professional planning was more required for the middle school free semester program. Fourth, it is considered that the interest and cooperation of the local government is very import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middle school free semester program in middle after 2016. 2016년도부터 우리나라의 모든 중학교에서 자유학기제가 전면적으로 실행되고 있다. 중학교 자유학기제는 정부가 창의적인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 수업 방법을 개선하고 교육과정을 다양하게 운영 하고자 하는 제도이다. 중학생들은 한 학기 동안 중간시험이나 기말시험을 보지 않고 자신 만의 꿈이나 끼를 찾아 행복한 학교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학교 밖에서도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교 자유학기제 실시에 발맞추어, 지역문화자원을 연계한 문화체험 프로그램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고대 마한의 역사와 나주의 지리적인 특성, 그리고 남도의 생활문화를 고스란히 보여줄 수 있는 나주시 다시면 영산강 주변을 연계하여 진행할 수 있는 차별화된 문화체험 프로그램에 중점을 두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교육부가 권장하듯이 현장 활동 중심의 중학교 자유학기제 프로그램 운영은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자유학기제 전면실시로 찾아오는 학생들을 위한 다양하고도 깊이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매우 절실하다고 보았다. 둘째, 그룹 단위의 체험활동 프로그램들이 다양하게 개발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학교 단위로 움직일 것인지, 학급단위인지, 또는 소규모의 다양한 그룹인지에 따라 더욱 다양한 콘텐츠들이 요구될 것이다. 셋째, 중학교 자유학기제 운영 프로그램에는 전문적인 기획이 더욱 요구된다고 파악되었다. 넷째, 지자체의 관심과 협조도 매우 중요하다고 보아진다. 본 연구의 결과는 2016년 이후 전면 실시된 중학교 자유학기제 프로그램 개발과 활용에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혁신도시 이주민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사례 연구 -광주 전남공동혁신도시 나주를 사례로-

        유명의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9 조형미디어학 Vol.22 No.2

        The ongoing construction of an innovative city is still going on. However, questions still exist regarding the construction of an innovative city that was originally planned with a stable settlement by moving to the provinces with families. Thus, the need for customized cultural and arts programs for migrants in innovative cities is being raised to enhance the conditions for the settlement of innovative cities.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Bricoleur" conducted at Nana Center in Naju from April to December 2018.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ing : First of all, The response of classes to the program, which has learned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newly established area and also consisted of the main material of "Bricoleur" program, has been very positive. Next, we need to talk about programs that focus on design education. The students' satisfaction level was also very high. Finally, the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Bricoleur" to the end of the curriculum also increased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It is believed that materials such as natural dyeing fabric were allowed to proceed with their own work through creative combination with various craftsmanship techniques, and were more effective in conducting individual customized trai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of reference to experts and community officials who need the planning or development of future cultural and arts education programs. 혁신도시 건설은 현재까지도 계속 진행되고 있는 중이다. 그러나 가족들과 함께 지방으로 이주하여 안정적인 정착생활과 처음 계획되었던 혁신도시구축에 대하여는 아직도 의문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혁신도시의 정주 여건을 높이기 위해서는 혁신도시 이주민들을 위한 맞춤형 문화예술 프로그램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18년 4월부터 12월까지 나주시 나나센터에서 진행되었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브리꼴레르’를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로서 프로그램의 기획과 진행 및 평가 등을 연구내용에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새로이 정착하게 된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학습하고 또 프로그램의 주요 소재로 구성하였던‘브리꼴레르’프로그램에 대한 수강생들의 반응이 매우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디자인 교육에 중점을 둔 프로그램에 대한 수강생들의 만족도도 매우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브리꼴레르’개념을 교육과정 내내 적용하였던 점도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 천연염색 원단 등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소재를 다양한 공예기법과의 창의적인 결합으로 자신만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 것과 개별적인 맞춤형 교육을 진행하면서 더욱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아진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기획이나 개발이 필요한 전문가 및 지역사회 관계자들에게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지역문화축제행사로서의 패션쇼 기획에 관한 사례 연구

        유명의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08 조형미디어학 Vol.11 No.2

        This study is to research and present cases about successful and unique fashion show planning which has been frequently a part of recent local festivals to promote development of the regions according to revitalization of local culture festivals. In general this study is about planning on new styles of fashion show at local culture festivals, which cultivates new ideas based on regional history. Indigenous products and cultural items as a whole, draws residents' participation and develops unique stories suited for characteristics of local culture festivals. Accordingly, this study looks into festivals, dress and ornaments at festivals and literatures concerning local culture festivals and fashion shows. Based on these findings, it presents fashion show planning as a local culture event. In other words, the study includes research and development of overall cultural aspects related with fashion show planning. It also provides participation plans for people involved such as residents, event participants, audience and experts. To this end, researchers took an empirical study centered on Fashion Show at Youngsan River Festival in Naju City. This study discusses the following major points. First, fashion show planning for local culture events should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festivals by adopting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region and indigenous products, and raising values and artistry of them. Second, fashion show planning should reflect current trends and make the most use of mass media. In addition, it should take stories which contain historical facts as well as cultural aspects with creativity. Third, fashion show should be planned to offer high quality cultural experiences to every participant at local culture festival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sources for all people concerned in local culture festivals, experts on fashion show as a local culture event, professionals on fashion show planning and ordinary people who have an interest in this subjec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Well-being Trend에 따른 천연색 패션코디 디자인 개발

        유명의,문소이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09 조형미디어학 Vol.12 No.1

        21세기 첨단과학의 시대를 살고 있는 오늘의 현대인들은 고도의 과학화, 산업화에 대한 폐해에 대하여 고민하기 시작하였고 이는 자연과 환경에 대한 많은 관심으로 이어지고 있다. 또 현대 사회 문화 전반에 흐르는 Well-being Trend의 영향은 패션에도 반영되어 의상이나 주얼리 등을 선택하고 착용할 때 천연의 재료로 이루어진 패션상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현대인들의 요구에 부응하여 천연염색과 천연보석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색을 천연색이라고 보고 이러한 천연색을 중심으로 의상과 주얼리를 함께 개발하되 이들 의상과 주얼리가 잘 어우러져 조화로운 패션코디 스타일이 될 수 있는 디자인 개발에 중점을 두었다. 디자인의 여러 가지 요소 중에서 색의 역할을 중요하게 생각 하고 Well-being Trend를 고려하여 자연으로부터 얻은 천연염색과 천연보석을 디자인의 기본이자 주요 요소로 보고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천연 염색과 천연 보석으로부터 얻은 색을 비슷한 이미지의 색상별로 분류할 수 있었다. 분류된 색상 이미지를 바탕으로 유사색상 코디네이션 및 대조색상 코디네이션의 방법으로 의상과 주얼리를 저자들의 논의를 통해 각각 디자인 개발하였다. 선과 면의 분할을 통해 천연색을 강조한 현대적이고 심플한 의상과 주얼리 디자인을 개발하고 동시에 이들의 코디네이션을 제안하였다. 천연색의 특징을 이해하고 웰빙트랜드에 따른 패션스타일을 반영하여 의상 및 주얼리를 각각 디자인하되, 의상과 주얼리 디자인을 하나의 공통된 컨셉으로 전개함으로써 창조적이면서도 차별화된 패션 코디네이션 디자인의 기본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Modern people of today who live in an age of high-technology in the 21st century started having considerations on a high level of science and industrialization, which have been followed by many interests in the nature and environment. In addition, the impacts from the well-being trend overwhelming over the modern society and culture were adopted by fashion with increasing concerns on the fashion products made from natural materials when they select and wear clothes or jewelry. This study focused on the design development making it possible to become the fashion coordination style with balance while having harmony for both clothes and jewelry although such clothes and jewelry are developed around natural colors, which are deemed as colors that can be obtained from natural dyeing and natural gem stones to comply with the needs of modern people as such.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earch on natural dyeing and natural gem stones as the basic materials for both clothes and jewelry along with natural colors that can be obtained from nature in consideration of the well-being trend while regarding roles of colors as being important among many elements in the design. As a result of this study, colors obtained from natural dyeing and natural gen stones could be classified into color in similar images. Clothes and jewelry were designed and developed respectively with methods for the similar color coordination and contrasting color coordination based on the classified color image. A variety of coordinations were suggested at the same time with each development of modern but simple clothes and jewelry designing with strengths of natural colors through divisions of lines and planes. This study tried to suggest the basic directions of both creative and differentiated fashion coordination design by advancing designs for both clothes and jewelry designs into one joint concept while designing clothes and jewelry respectively with reflecting the trends in the modern fashion as well as with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colors.

      • KCI등재

        'Art to Wear'전시에 나타난 국내외 의상의 유형별 분석 연구 -광주비엔날레 국제미술 의상전시회를 중심으로-

        유명의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0 조형미디어학 Vol.13 No.2

        The costume has to developing with the infinite possibilities of expression as representing to aesthetic consciousness and psychology of our contemporaries. It become more important in the culture. Especially, aesthetic movement create various forms of costume and continue to grow in the early 20th century which art included the costume. Since the mid-19th century, 'Aesthetic Movement' propose a new concept of art including costume. people are interested in the phenomenon of ‘Art to Wear Movement' from the late 1960s to 1970s with America as the center. 'The international art to wear' exhibited in the Gwangju biennale for 5 times over the last decade. The interest of 'Art to wear' spread into many related organizations and exhibition was rapidly grow. I was faithful to continuing role in Gwangju biennale 'The international art to wear ' and feel the need to research for the 'The international art to wear' which was representing to movement of the 'Art to wear' on the international stage. In this study, I analyzed into types for the meaning and art works. The exhibition consisted of art work which was emphasized central aspect of the theme and divided in to two types which were wearable and unwearable. The concept of 'Art to wear' was in the main theme of the biennale exhibition. In this research, I found out the relation with development of American or Europe and change of the aesthetic value of a sculpture, symbolism and image by exhibitions. The costume as an art, 'Art to wear' is the art work which take position near human body. It is basically identical with paintings or sculpture to display on the wall and appreciate art. Follow advanced cultural country, costume is one of important product display both in the showcase and art gallery or museum. In Korea, it is our expectation that costume related exhibition will held in the museum and gallery frequently. From this research, I look forward to massive development in field of 'Art to Wear' and to create with specialist and interest for 'Art to Wear'. 현대인들의 미의식과 심리를 반영하는 다양한 표현수단으로서, 문화적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는 의상은 무한한 표현의 가능성을 가지고 발전하고 있다. 특히 20세기 초 의상을 포함시켜 이루어졌던 예술분야의 많은 움직임들이 의상을 다양한 형태로 계속 발전시켜왔다고 할 수 있다. 19세기 중반 영국에서 시작된 'Aesthetic Movement'는 의상을 포함한 예술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였고, 196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에는 미국을 중심으로 ‘Art to Wear Movement'현상이 관심을 받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순수미술의상행사인 광주비엔날레(1995-현재)에서 ’국제미술의상전시회‘가 10년 동안 5회에 걸쳐 개최된 바 있다. 이를 계기로 예술 의상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어 관련단체와 전시회가 급속하게 늘어나게 되었다. 광주비엔날레 ’국제미술의상전시회‘에서 지속적인 역할을 담당해온 본 연구자는 한국에서의 ’Art to Wear'에 대한 관심의 시발점이자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다른 지역, 또 국제무대에서 한국의 ’Art to Wear'의 움직임을 보여준 광주비엔날레 국제미술의상전시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그 의미와 출품작품들에 대한 유형별 분석을 하였다. 광주비엔날레 ‘국제미술의상전시회’는 미술행사인 본전시의 주제에 맞추어 의상의 예술적인 측면을 강조한 작품들이 주류를 이루며 Wearable과 Unwearable의상이 함께 전시되었다. Art to Wear의 Item이나, Silhouette, Material은 비엔날레 전시주제와 그 맥락을 같이 하였고 출품된 Art to wear작품의 조형성, 상징성 및 Image에서도 전시 차수에 따른 변화는 물론, 유럽 또는 미국의 예술 의상의 발달과 서로 관련성이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예술로서의 의상, 'Art to wear'는 벽에 걸어놓고 감상하는 회화나 조각 작품처럼 인체와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예술품의 하나로도 볼 수 있었다. 의상도 상품의 진열장에서 뿐 아니라 미술관 또는 박물관에서 전시되는 중요한 예술품의 하나인 문화선진국의 예처럼, 우리나라에서도 앞으로 많이 확충이 될 박물관과 및 갤러리에서 예술의상 관련 전시회가 빈번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예견된다. 따라서 이 연구를 계기로 ‘Art to Wear’에 대한 많은 관심과 전문가의 탄생으로 ‘Art to Wear’분야의 더욱 큰 발전을 기대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