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면역세포화학적 방법을 이용한 쥐의 뇌손상 후 출현하는 항원제공세포에 관한 연구

        홍수영(Su Young Hong),유기수(Ki Soo Yoo),황규근(Kyu Geun Hwang) 대한소아신경학회 2008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6 No.1

        목 적 : 외상성 뇌손상은 직접적인 기계적 손상, 실질내출혈 및 거미막하출혈, 혈액뇌장벽 파괴, 흥분독성, 그리고 허혈 등을 일으키는 종합적인 손상이다. 지금까지 다양한 동물모델을 이용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뇌 외상 후 면역세포들의 활동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새로운 소작손상법을 이용하여 흰쥐 뇌에 외상을 유발시킨 후 항원제공세포의 출현 양상을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하였다. 방 법 : 실험동물로는 생후 2개월(평균 300 g)된 웅성 흰쥐(Sprague-Dawley)를 사용하였다. 흰쥐를 3.5% chloral hydrate(1 mL/100 g)로 복강내주사하여 마취시킨 후 두피를 절개하여 머리뼈를 노출시켰다. 정수리점과 시옷점 사이에서 머리뼈 절제를 시행하여 왼쪽 전두엽을 노출시킨 뒤 배터리 소작기를 이용하여 전두엽을 소작손상시켰다. 실험군은 소작손상 후 경과시간에 따라 6시간군, 1일군, 4일군, 7일군 및 14일군으로 분류하였고, 정상군을 실험군에 대한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뇌조직을 연속동결절편으로 제작한 다음 수상세포에 대한 단세포군항체인 mouse anti-rat MHC class II 항체와 대식세포에 대한 mouse anti-rat ED2항체를 각각 적용시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다. 이어서 H-E 염색을 시행한 다음 검경 및 계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 과 : 1) MHC class II 양성반응 수상세포는 정상적인 전두엽 대뇌피질의 뇌실질에서는 관찰되지않았지만, 소작손상 후 7일째에는 소작손상 부위에서 정상대조군보다 28배 이상 증가하였다. 2) ED2 양성반응 대식세포는 정상적인 전두엽 대뇌피질의 뇌실질에서 관찰되지 않았지만, 소작손상 후 7일째에는 소작손상 부위에서 정상대조군보다 16배 이상 증가하였다. 3) MHC class II 양성반응 수상세포는 소작손상 후 4일 이전에는 ED2 양성반응 대식세포보다 세포수가 적었으나 4일 이후에는 많았다. 4) 혈관주위나 손상부위 가장자리에서는 MHC class II 양성반응 수상세포가 ED2 양성반응 대식세포보다 더 많았다. 5) MHC class II 양성반응 수상세포는 무리를 이루는 경우가 많았다. 결 론 : 위와 같은 실험결과로 미루어 보아 두 종류의 항원제공세포는 소작손상을 받으면 정상부위에서 손상부위로 이동하여 세포의존성 면역반응과 포식작용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raumatic brain injury is a multifaceted injury that involves direct mechanical damage, intraparenchymal and subarachnoid hemorrhage, breakdown of the bloodbrain barrier, excitotoxicity, and ischemia. Despite the dozens of previous investigations, the information about its pathogenic mechanism is still limit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appearance of antigen presenting cells in the cerebral cortex of rats after cauterization. Methods : A total of 18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300 g and 2 months old on the average were used throughout the experiment. The frontal bones were exposed by elevating the skin and craniectomies were performed adjacent to the central suture, midway between lambda and bregma. Cauterizing injury was then created by battery-operated small vessel cauterizers to the left frontal cortex. The rats were sacrificed on the 1st, 4th, 7th and 14th days after the surgery(n=3, each time), and three rats were sacrificed as normal controls. Serial brain cryosections were made by cryostat. For immunohistochemistry, brain tissue sections were allowed to react with mouse anti-rat MHC class II antibody(1:500) and mouse anti-rat ED2 antibody(1:200). Also, brain tissues were routinely stained by H-E, and then microscopic observation and cell counts were performed. Results : 1) MHC class II positive dendritic cells were absent in normal cerebral cortex parenchyme, but were found 28 times more in number in injured rats on the 7th day after cauterization. 2) ED2 positive macrophages were absent in normal cerebral cortex parenchyme, and were found 16 times more in number in injured rats on the 7th day after cauterization. 3) The number of MHC class II positive dendritic cells were smaller in number than that of ED2 positive macrophages 6 hours and 1st day later after cauterization, but it was higher in number on the 4th, 7th and 14th days. 4) The number of MHC class II positive dendritic cells were higher in number than that of ED2 positive macrophages around blood vessels and peripheral regions in the injured brain. 5) MHC class II positive dendritic cells were usually aggregated. Conclusion :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increase in number of two kinds of antigenpresenting cells affect cell-mediated immune responses and phagocytosis.

      • KCI등재
      • KCI등재

        Orotic Acid - 유발 지방간에 미치는 Capsaicin의 개선효과

        전방실(Bang-Sil Jun),차재영(Jae-Young Cha),유기수(Ki-Soo Yoo),조영수(Young-Su Ch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3 No.5

        Orotic acid(OA)-유발 지방간 흰쥐의 혈청 및 간장의 지질 농도, 임상생화학적 및 조직형태학적 변화에 미치는 capsaicin(CS) 성분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기본식이에 OA 1%, CS 0.02% 및 OA와 CS를 각각 1%와 0.02% 수준으로 첨가하여 4주간 섭취시켰다. 간장 중성지방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약 4.7배 현저히 증가하여 지방간이 유발되었으나, OA+CS 동시투여에 의해서는 간장 중성지방 농도가 OA군에 비해 38% 감소하여 지방간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OA 식이에 의해 간장 콜레스테롤 농도가 증가하였으나, capsaicin 동시투여에 의해 감소하였다. Capsaicin 단독 투여는 간장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 농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Capsaicin 투여에 의한 혈청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 농도의 감소는 OA 첨가 또는 무첨가 식이군에서 모두 관찰되었다. 간기능 지표 효소인 혈청 GOT 및 GPT 활성은 각 실험군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간조직의 형태학적 관찰 결과, 대조군과 CS군은 정상적인 간소견을 보였으나 OA군의 간세포에는 소포성 지방 변성이 소엽 중심대로 주로 나타나 있고, 크고 많은 지방세포들이 균일하게 배열되어 있었다. 그러나 OA+CS군의 간세포들은 손상된 세포가 재생될 뿐 아니라 소포성 지방세포들의 크기와 수가 줄어들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에서, capsaicin 0.02% 농도는 OA-유발 지방간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The effect of capsaicin (0.02%) on the concentrations of liver and serum lipids, GOT and GPT activities, and hepatocyte morphology in male Sprague Dawley rats fed diets with or without orotic acid (1.0%) for 28 days was studied. Liver triglyceride concentration was increased by approximately 4.7-fold after orotic acid-feeding, wherease simultaneous feeding of capsaicin and orotic acid reduced its concentration by 38%. Orotic acid-feeding elevated liver cholesterol concentration, but an addition of capsaicin to the orotic acid diet resulted in the significant decrease in liver cholesterol. Capsaicin alone did not affect the liver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concentrations. Reduction of the serum concentrations of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by capsaicin was also observed in rats fed diets with orotic acid. The serum GOT and GPT activiti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Liver tissue morphology showed that the hepatocytes of orotic acid-feeding rats were a typical fatty liver with numerous fat droplets, whereas simultaneous feeding of capsaicin with orotic acid reduced the size and numbers of fat droplets.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the diet containing 0.02% capsaicin can prevent the orotic acid-induced fatty liv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