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애니메이션〈이웃집 토토로〉에 나타난 공간에 대한 융합과정

        우진옥(Woo, jin-ok) 서사와문학치료연구소 2012 영화와문학치료 Vol.7 No.-

        이 연구는 애니메이션 <이웃집 토토로>에 나타난 공간의 이동과 그 공간과의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주인공들이 공간에 대해 객관적 거리에서 동화되고 융합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영화를 이해하기 위해서 줄거리를 제시하였고 주인공과 공간의 관계를 통하여 주인공들이 공간을 어떻게 고찰하고 모색, 탐색하는지 숲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먼저 1장에서는 공간을 트럭과 이사 온 집, 집을 둘러싸고 있는 숲, 이렇게 세 개의 공간으로 보았다. 그 공간들은 아이들이 일정한 단계들이 서로 동화되고 융합되면서 대상에 대한 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엄마가 안 계신 가족이 낯선 곳으로 이사하면서 멀게만 느껴졌던 숲에서 잠시 탔던 트럭과 이사 온 집, 그 과정을 통해 더욱 확대된 숲이라는 공간이동의 과정을 통해 고찰하고 모색, 탐색하면서 주인공들이 성장하는 과정에 주목해 보았다. 특히, 사츠키와 메이라는 두 주인공을 통해서 작품의 공간이 주는 역할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2장에서는 두 주인공이 멀게만 느껴지고 동경의 대상이었던 숲과 점점 친숙해지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처음 숲에 대해 가졌던 두려움과 거리감을 극복하고 동화되어 숲에 있는 토토로와 문제를 해결하는 모습까지 나아가는 것을 보여 주었다. 결국, 작품의 공간이동 과정은 주인공들과 관객들에게 일치감을 형성하게 해주며 흥미를 갖게 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숲은 처음에 두 주인공에게 객관적인 관계로 보이다가 점층적으로 좁혀지고 서로 융합의 공간으로서 나타난다. 어릴 적 추억을 지니고 사는 어른이나 어린이들에게 이 영화가 주는 시사점은 주인공과 일치감을 주어 함께 자연과 숲을 탐색하면서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해준다. 주인공과 공간은 중요한 관계를 형성해주고 고찰과 모색, 탐색하면서 이것들은 서로 융합하면서 성장하는 것을 알 수 있다. Through the movement of space and the series of process with space, the assimilation and the fusion process was studied with an objectivity in the animation <Theneighbor Totoro> .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movie a plot was proposed, and the method to contemplate, seek and explore the relationship of the main character and space was proposed pivoting the forest. First, in chapter one, the space was categorizedinto three: truck, new house, and the forest surrounding the house. With the three spaces it can be known that the conversion of the object is taking place through the children’s assimilation and fusion in regular phases. The truck that the main character was in for a short while to arrive at the unfamiliar new house which was seemingly far where the mother was absent, through this process the change in the role of the main character and the maturation process was paid attention to through contemplating, seeking, and exploring the forest which was stretch further wide in terms of movement of space. In particular, the roles of the two characters Saskiand Meithat the space, in this work, gives were investigated. In chapter two, the two charactersportrayed their increase of intimacy with the forest which at first seemed far and was a subject of yearning. The characters in the beginning showed the process of overcoming and assimilating the fear and the distance towards the forest, and moreover, shows the characters solving problems by collaborating with Totoro. Finally the process of space movement of this work stirs the characters and the audience to gives them consentience and arouses interest. At first the forest the forest seems to be depicted with an objective relationship with the two main characters but, then gradually the relationship deepens and the characters show the fusion of of space. The implication that this work gives, to whoever has a memory of childhood, whether young or old, lets the audience feel catharsis through consentience with the main character and by exploring the nature and forest. The main character and space forms an important relationship and by the fusion of the contemplation, seeking, and exploration, we can see the development.

      • KCI등재

        지적장애 대학생의 글쓰기 수업 흥미 증진을 위한 노트, 사진, 영상 매체를 활용한 글쓰기 수업 사례

        장영창 ( Jang Young-chang ),노영윤 ( Noh Young-yun ),우진옥 ( Woo Jin-ok ) 겨레어문학회 2018 겨레어문학 Vol.60 No.-

        지적장애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은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에 다소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그 학생에게 맞는 수업방식이 요구되지 않을 수 없다. 즉 지적장애 대학생이 일반 대학생처럼 특정 작품이나 특정 교재를 활용해 한 학기 동안 순차적으로 학습하는 것은 적극적인 참여나 흥미를 불러일으키기 어려울 것이다. 이에 3인의 교수자가 각기 다른 매체를 활용하여 글쓰기를 구상하여 노트, 사진, 영상 매체를 활용한 글쓰기 수업을 구안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정적인 방식인 노트 쓰기, 동적인 방식을 도입해 사진 찍기, 영상화한 단편작품 감상하기를 기본설계로 하였다. 즉 노트 글쓰기는 내 삶 돌아보기, 사진 글쓰기는 내 삶 인지하기, 영상 글쓰기는 타인의 삶에 접속하는 방법을 통하여 글쓰기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고 쉽고 재미있게 글을 쓸 수 있도록 구안 한 방법이다. 이 수업은 충정도 N대학의 교양 수업시간에 총 13명의 지적장애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행하였고, 그중에 2명 학습자를 모델로 제시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들은 세 매체 글쓰기를 무난하게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지적장애 대학생이 매체 활용 글쓰기 수업을 통해 글쓰기 수업에 흥미를 일으켰으며, 수업 참여에 성공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이 수업의 수행 결과, 각 학습자의 특징도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어 수업 참여뿐만 아니라 학교생활지도의 가능성도 기대한다. 또한, 글쓰기를 통한 말하기, 듣기, 읽기의 능력 향상 방안을 모색하거나 지적장애가 있는 만큼 일상에서 겪은 상처의 치유 글쓰기로도 나아갈 수 있길 기대한다. There are a lot of difficulty in university literacy writing classe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classes aimed at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require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for students. General college students use a specific work or a specific textbook to learn sequentially for one semester. However, it is almost impossible to educate intellectual disability college students in this way. Three professors designed writing lessons using three different teaching strategies, notes, photographs, and visual media. They are ‘How to write a note after I look back on my life’, ‘How to take pictures and write, after I recognize my life’, ‘How to watch video and write, after I appreciate the life of others.’ These strategies are developed to lead students’ interests in writing and enables them to write easily. The lectures were carried out for a total of thirteen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during the liberal arts classes at Chungjeongdo N University. Two of the 13 learners were presented as models. The learners performed the medium writing smoothly. Colleg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howed significant interests in writing lessons.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articipated actively in class. In addition, the instructors were able to grasp some of the learners' tendencies. They thought that they could provide some important life-related guidance to the learners using these writing strate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