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해(東海)의 출구’를 둘러싼 다국적 경쟁과 협력의 구조: 중국과 북한의 ‘두만강 초국경 지역개발’ 사례

        우양호(Woo YangHo),정문수(Jeong MoonSoo),김상구(Kim SangGoo) 한국지방정부학회 2016 지방정부연구 Vol.2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과 북한의 접경지역인 ‘창지투(長吉圖)선도구’와 ‘나선특구’ 지역의 초국경 연계개발을 사례로 하여 최근까지의 경과와 주변국들의 입장을 살펴보고, 동북아시아에서 지방정부와 지역간 초국경 개발이 갖는 현대적 중요성과 그 의미를 재발견하는 것이다. 나아가 동해를 영해(領海)로 관장하고 있는 우리나라가 취해야 할 자세와 올바른 명제를 초국경 지역의 광역화와 국제질서의 관점에서 규명하고자 한다. 최근 해역과 바닷길을 둘러 싼 동북아시아의 정세와 국제질서는 많은 변화와 부침을 겪고 있다. 한반도를 사이에 두고 중국, 러시아, 미국, 일 본 등은 서로 이해관계가 종종 상충되고 있으며, 특정한 사안에 대한 국제적 민감도 역시 적지 않은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2009년 중국은 두만강 주변 북・중 접경지역에 여러 개의 지방정부를 연결한 ‘창지투(長吉圖)선도구’ 개발을 선언하였고, 북한은 ‘나선특구(나진・선봉)’개발을 연계시켜 발표하였다. 지금 중국의 동해 출해권을 손에 쥐고 있는 북한과 러시아는 중국의 창지투 개발계획의 궁극적인 목표를 관심 있게 주시하고 있다. 반대로 중국이 생각하는 동북지방과 접경지역의 발전은 동해로의 출항을 필요조건으로 하는데. 여기에 러시아, 일본, 미국, 우리나라 등 도 참여와 문제개입의 기회를 엿보고 있다. 따라서 중국이 러시아, 북한과 함께 이 출구를 더 크게 확장시키는 순간 전개될 한반도와 동해의 상황에 대비하여, 이 연구는 가장 최근의 상황을 토대로 동북아시아 환동해 네트워크 및 접경지역 개발, 초국경 지방정부 공동체 전략의 차원에서 몇 가지 가능성과 함의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During the last ten-year period, cross border cooperation and development has an important meaning in the Korean peninsula due to specific, political and economic situation in Northeast Asia. The implementation of cross border cooperation requires not the high open and close economic ties of the cross border region's major economies, but the formation of harmonious political relations of cross border regional economies. In consequence, the goal of the Changjitu and Nasun Project in Tumen river were to develop the economically stagnant Northeastern region in China and North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rough primary source the facts about the true essence of Tumen river area development - the Changjitu project in China and Nasun special economic zone in North Korea. This study examines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which enters into a new phase by Tumen river area development. In addition, this study discussed the intentions of both China and North Korea in their cross border development and multinational structure of competition and cooperation for securing the exit of the East Sea Rim. Analysis of the Tumen river area development shows that it is very complicated and sensitive in that it cannot help but be related with China, North Korea, Russia, Japan, USA and South Korea. Therefore, Tumen river area development is very important in respect to its future success and its influence on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nditions.

      • KCI등재

        동북아 해역 도시교류와 지역협력의 제도화 평가 : 한.중.일 3국 협력을 중심으로

        우양호(Woo Yangho)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동북아 해역을 사이에 두고 있는 한국, 중국, 일본 3국 사이의 지역 및 도시교류가 실제로 얼마나 제도화, 공식화되었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또한 제도권에서 동북아 해역 간 지역 및 도시교류가 얼마나 성과를 내고 있으며,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는가를 심층적으로 진단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배경과 질문은 다음과 같다. 동북아 한・중・일 도시교류와 지역협력은 진정한 상생을 위한 것인가, 아니면 불가피한 선택의 결과인가? 한・중・일 사이에서 도시교류와 지역협력은 제도적으로 어디까지 와있으며, 내실을 얼마나 다져왔는가?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 평가 기준을 교류의 다양성, 교류의 지속성, 정부의 의지와 투자 등의 세 가지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현존하는 유일한 제도적 기구인 ‘한・중・일 3국협력사무국’을 중심으로 정치・행정교류, 경제교류, 문화교류의 제도화 수준을 고찰하였다. 현재까지 성공적으로 운영된 제도적 기구로는 한・중・일 지방정부 교류회의, 한・중・일 공무원 협력 워크숍, 동아시아경제교류추진기구, 환황해 경제・기술교류회의, 동아시아 지방정부 3농 포럼, 동아시아문화도시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양적 기준으로 제시된 교류도시의 다양성에서는 양자교류에서 삼각교류로 진화된 성과가 있었다. 한・중・일 지역간 다자협력 사례는 총 18개 네트워크였으며, 그 제도적 동기는 한・중・일자매・우호도시 체결과 동아시아문화도시 선정으로 나타났다. 셋째, 질적 기준으로 제시 된 교류활동의 지속성에서는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 약 30개 이상의 사업들이 해당되었다. 마지막으로 환경적 기준으로 한・중・일 3국협력사무국에 대한 각 정부의 의지와 투자는 여러 근거를 통해 확인이 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앞으로 동북아에서 큰 국가 외교 보다는 작은 도시외교 및 지역협력이 효과적이며, 이에 대한 높은 수준의 제도화 방법과 실천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evel of institutionalization of regional cooperation and urban exchanges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in Northeast Asia. The study also analyzed the performance of regional cooperation and urban exchanges on an institutional basis, and proposed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The background and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re urban exchanges or regional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really for mutual benefit, or inevitable choices? What is the institutional level of urban exchanges and regional cooperation among Korea, China and Japa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level of institutionalization of exchanges and cooperation in political, administrative, economic and cultural sectors through the trilateral cooperation secretariat of Korea, China and Japan.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institutional organizations include the Korea-China-Japan Local Government Exchange Conference, the Korea-China-Japan Government Officials Cooperation Workshop, the Organization for East Asian Economic Development, the Yellow Sea Rim Economy and Technology Conference, the Three Agricultural Forum of East Asian Local Governments. Second, there were achievements in the evolution of the system from bilateral to triangular exchange in the diversity of exchange cities. The cases of triangular exchange were 18 networks, and the causes were the selection of sister and friendship cities and East Asian cultural cities. Third, the continuity of exchange project s has been covered by about 30 projects from the 1990s to the present.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urban diplomacy and regional exchanges were effective in Northeast Asia, and proposed a direction to increase institutionalization. There are many limitations and challenges in the future, but exchanges and cooperation between regions and cities in Korea-China-Japan relation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lan of the Northeast Asian community.

      • KCI등재

        연안크루즈 해양관광을 통한 부산 블루투어리즘 구상

        우양호(Yangho Woo)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 해양관광도시를 지향하는 부산을 대상으로 새로운 연안크루즈 운영방식을 통한 블루투어리즘 활성화 구상을 해보는 것이다. 본 연구가 정의하는 블루투어리즘은 바다와 사람을 중심으로 한 해양관광의 고도화를 뜻한다. 기존의 해양관광이 육지적 관점과 땅위에서 바다 쪽을 바라보는 관광이었다면, 블루투어리즘은 해양의 관점에 따라 바다 위에 서서 육지 쪽을 바라본다. 이것은 바다와 수변공간에 관련된 능동적이고 인간적인 관점의 활력과 체험을 중시하는 해양관광의 속성이다. 본 연구는 부산의 연안크루즈 운영 환경, 항구와 수변공간의 강점과 약점, 항구와 수변공간의 개선과 변화, 연안크루즈 업계의 개선과 변화 등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부산을 대상으로 한 블루투어리즘 구상은 연안크루즈 업계의 협업과 통합, 육상관광과의 통합적 연계, 해상 대중교통의 역할 분담, 기타 제도적 개선과 지원책 등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연구의 결과, 부산에서 연안크루즈와 블루투어리즘의 성공을 위해 우선시해야 할 방향은 명확했다. 그것은 부산이 가진 크고 작은 항구 및 연안의 특색에 맞는 콘텐츠를 연결하는 것이다. 즉 부산 연안의 다양한 콘텐츠를 연안크루즈 항로로 전부 연계하고, 동쪽과 서쪽으로 분절된 해안을 결합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했다. 본 연구는 부산의 다양한 장소를 육지가 아니라 바닷길로 누비는 연안크루즈의 연결과 통합, 협력의 활성화는 해양관광의 핵심적 사안이 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이것은 부산이 가진 해양관광 인프라의 분절성을 극복하게 만들고, 시너지 효과와 상생을 실현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정책적으로는 지역이 가진 해양관광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대한 다양한 방식의 지원책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부산이 새로 구상되는 연안크루즈를 세계적인 관광명물로 만들어, 우리나라 최대의 해양관광 플랫폼으로 올라서야 함을 주장하였다. 나아가 이런 새로운 구상은 해양관광 국제도시를 지향하는 부산의 이미지 혁신 및 글로벌 해양도시로 발전하려는 맥락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ise the introduction of blue tourism through the improvement of coastal cruise operation for Busan, the largest marine city in Korea. Blue tourism defined by this study is an attribute of marine tourism that values diversity of interest and experience from an active and human perspective. In the past, the meaning of marine tourism was a concept in which tourists saw the sea on land. On the other hand, the new blue tourism looks at land from the sea. In addition, blue tourism means the advancement of marine tourism in terms of hardware and software. In the case of Busan, this is related to the problem of activation and diversification of marine tourism through coastal cruise. Busan is the largest marine city in Korea and the second city. The advantages of Busan are the largest and oldest ports in Korea and various waterfront spaces along the long coast. Therefore, this study argued that coastal cruise should become a representative marine tourism contents in Busan. The detail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is study examined the operating environment of the Busan coastal cruise,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Busan port and waterfront, the improvement and change of the Busan port and waterfront, and the conditions of the Busan coastal cruise industry. The Blue Tourism Initiative was discussed by integrating and cooperating with the Busan coastal cruise industry, expanding connectivity with land tourism, sharing the role of coastal public transportation, institutional improvement and policy support. In practice, it was most important to connect the separated characteristics around the east and west coasts of Busan. In other words, it was in the direction of linking various contents through coastal cruise routes and combining segmented coastal tourism. In the future, Busan will prepare to welcome visitors from all over the world as a global marine tourism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expected to help Busan's development direction toward a world-class marine tourism city. In conclusion, this study argued that Busan's coastal cruise should be made a world-class tourist attraction. Furthermore, there was a need for Busan to develop into Korea's largest marine tourism platform based on coastal cruises.

      • KCI등재

        섬[島] 지역 어촌사회의 구조적 특성과 해양문화적 정체성

        우양호(Woo, Yangho)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14 島嶼文化 Vol.0 No.44

        이 연구의 목적은 海港都市 부산의 섬 지역 마을들을 대상으로 공유자원을 둘러싼 지역사회의 공동체적 특징과 문화정체성을 인문사회학적 관점에서 규명해 보는 것이다. 지리적으로 섬[島]은 육지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고, 섬사람들은 나름의 제한된 생태계 속에서 한정된 자원을 이용해야만 하는 상황에 직면한다. 사람들의 삶의 양식에 있어서 육지나 대도시의 메마른 교환관계와는 달리, 섬 지역만의 독특한 相生文化的 가치는 제한된 자연환경과 맞물려 가변적이며 유동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각각의 공동체에 따라서도 외부의 환경과 사람에 대한 포용성, 자율적 제도에 대한 창의성, 결코 평이하거나 균질적이지 않은 海域世界만의 고유한 海洋文化的 특성을 보여준다. 특히 예로부터 섬사람들은 생계유지를 위한 자연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치로서, 공동체적 자율통치에 관한 독특한 제도와 문화를 오랫동안 발전시켜왔다. 섬 지역에서 각각의 어촌마을은 연안어장이나 마을의 공유자원에 대해 다양한 사회․문화적 장치를 운용하고 있는데, 여기서 주목되는 것은 개인의 사익보다는 상대적으로 이웃과 집단의 공익의 가치가 우선되는 그러한 공동체적 문화와 제도가 발전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해항도시 부산의 가장 큰 육지섬인 가덕도를 사례로 하여, 어촌마을에서 주민들의 공동자원인 마을어장에 대한 공동체적 제도와 문화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그 성공적인 관리의 요소가 무엇인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론적으로는 공유자원 이론과 집합적 선택이론을 접목하여, 어촌마을 공동체의 성공과 실패 과정을 선행연구와 장기간의 현장조사를 통해 그려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는 섬이라는 제한된 공간에서 어촌공동체가 가지는 문화적 정체성을 규명해 주는 동시에, 공유자원에 대한 자율관리제도 운영의 난맥상과 성공가능성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ishing communities in islands in relation to surrounding villages with a focus on community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identity from a humanities and sociological perspective. Geographically, islands are distant from the mainland and island people are faced with a situation in which they have to use the limited resources available in their local ecosystems. Unlike the mainland or large cities where people often only have social relationships that are shallow, islands typically exhibit unique cultures of coexistence that, coupled with the limitations of the natural environment, give their communities a variable and flexible character. Each such community shows unique characteristics of marine culture based on how it perceives and interacts with the environment and people outside the community as well as how it establishes institutional regulations, giving marine culture a heterogeneous overall look. Island communities can be used as an example of the sustainable and efficient use of natural resources, as they have developed a unique system and culture of communal self-government over a long time. Fishing villages on islands apply a variety of social and cultural approaches to the sharing of resources, where it is to be noted that the relation to neighboring communities and the public value of these approaches gets priority over private interests. A case study was conducted of three fishing communities on Gadeok Island, the biggest island in the seaport city of Busan, to examine the communal system and the change in culture of the inhabitants who successfully share village fishery resources and to identify the elements needed for successful management. To achieve this, the study combined theory on shared resources with collective choice theory, included a review of findings about the successes and failures in fishing village communities in earlier studies, and involved a long-term field research. The results will help to identify the cultural identity of fishing communities in the limited space of an island and to formulate important suggestions to develop a successful self-management system for shared resourc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