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의 성년후견제도의 개선 논의에 대한 동향

        오호철(Ho-Cheol O) 한국비교사법학회 2006 比較私法 Vol.13 No.4

          Currently in Japan, there has been a need to introduce the adult guardianship laws, in order to cope with the situation of the low birth rate and the aging society. Even if the systems of incompetent and a quasi-incompetent persons have been effective under the previous civil law, actually they have been involved in few cases. Especially in case that the aged don"t have enough ability to judge, the systems have been hard to be effective. That is why Japan legislated a law to establish the new adult guardianship laws in December 1999 which was first enacted in April 2000.<BR>  This law was made to construct a system more flexible and easier to use for the welfare of the elderly, and mentally or intellectual retarded persons. It was also established to add new ideas to the existing protectional function, such as to protect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to use the remained ability, and to promote normalization.<BR>  However, some problems have been occurred in the process of enforcement of the laws. Accordingly, in May 2005, the Japan Federation of Bar Associations mad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the adult guardianship laws for the purpose of solving the problems. The suggestions include 12 provisions in the various areas.<BR>  There are the systems of incompetent and a quasi-incompetent persons as a part of the adult guardianship laws in Korea, too. However, the systems are not only difficult to be enacted but also uneffective, especially in case that the aged don"t have enough ability to judge. Therefore, the adult guardianship laws should be introduced in Korea as soon as possible. As long as the desirable examples are concerned, the existing Japanese laws and th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by the Japan Federation of Bar Associations would be good legislation materials to be consulted.<BR>  The present paper first outlined the adult guardianship laws of Japan and examined th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proposed by the Japan Federation of Bar Associations, and then investigated some helpful recommendations for the legislation of the laws in Korea.

      • KCI등재후보

        성년후견제도에 따른 현황과 개선과제

        오호철(O, Ho-Cheol)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16 법률실무연구 Vol.4 No.1

        우리나라에서 성년후견제도가 시행된지 2년여가 지나가고 있다. 성년후견제도가 시행되면서 제도 운영의 전반적 문제점이 여러 곳에서 지적되고 있다. 모든 제도가 아무리 심사숙고하여 만들어진다고 하여도 제도를 운영하면서 문제점을 발생되기 마련이다. 성년후견제도 역시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 만들었지만 막상 시행되면서 예상되지 못한 곳에서 내지 제도 운영 준비의 부족으로 문제점이 속출하고 있다. 본 논문은 성년후견제도가 시행되면서 발생된 문제점 중에서 그 일부를 중심으로 문제점에 대한 개선과제를 살펴보았다. 우선 지금까지 성년후견제도가 구제도인 금치산제도나 한정치산제도 보다 이용실적이 눈에 띄게 차이가 나지 않는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두 번째는 친족후견인이 선임되면서 발생되는 다양한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세 번째는 전문가 후견인의 활용에 있어서 장애가 되는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 번째로 이용실적이 저조한 이유는 홍보부족에 대한 부분이 지적되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시민단체와 관련 정부기관이 산별적으로 해온 홍보를 조금 더 체계적으로 홍보할 것을 제언하였다. 그리고 두 번째의 문제로 친족후견인의 선임에 따른 문제점으로 친족상도례가 가장 문제가 되었다. 이 문제는 특별법을 통해 친족이 후견인이 되는 경우 친족상도례가 적용되지 않도록 할 것을 제언하였으며, 특별법이 마련되기 전까지는 친족상도례가 배제되는 것으로 적극적 해석을 제언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문가 후견인의 활용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보수비용의 명확한 기준과 이를 이용하고 싶어도 비용의 부담을 느끼는 사람들에 대한 지원사업의 확대를 제언하였으면, 전문가 후견인의 후견업무에 의한 손해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가진 사람들을 위해 “후견인보증 보험”의 가입을 적극 권장하는 것을 제언하였다. 그리고 친족후견인이나 전문가 후견인이 저지를 수 있는 부정한 행위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일본에서 시행하고 있는 “후견제도지원신탁”제도의 도입의 고려를 제언하였다. Two years have passed since the adult guardianship law came into force in Korea. While the adult guardianship law came into force, the whole problems of system management were indicated. Even if all problems are considered before making it, problems can happen during the system management. Also we expended time and effort on the adult guardianship law, but unexpected problems are appearing because of a shortage of operational readiness while it has come into force. This article examined improvement issue for the problems, focusing on some problems that occurred during the adult guardianship law. First, we have compared the adult guardianship law with the old system, incompetency system or quasi-incompetence system for result of usage. Second, various problems were examined during designation of a relative guardian. Third, some problems were examined for professional guardian As the result, first, the reason why the result of usage was poor was that publicity was poor. For resolving the problem, we can say that civic group and authority have been publicizing unsystematically until now, so we suggested that the publicity should be done systematically. As the second problem, the biggest problem was relatives in criminal law depending on designation of relative guardianship law. For this problem, we suggested not applying relatives in criminal law when a relative becomes a guardian through a special law, and to interpret positively excluding relatives in criminal law until a special law is made up. Finally, we suggested that for expending to use a professional guardian, the government should clear up the standard for cost of repair and should expend to support the people who burdens with costs. In addition, we suggested that the government could recommend joining “guardian insurance” for the people who has negative opinion on loss by a professional guardian. We suggested considering introduction of “support trusteeship of guardianship system” that is being in Japan for preventing the potential irregularities by a relative guardian or a professional guardian.

      • KCI등재

        일본의 임의후견계약의 유형에 따른 문제점과 우리나라의 시사점

        오호철(O, Ho-Cheol) 한국법학회 2013 법학연구 Vol.52 No.-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이미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었고, 몇 년 내에 초고령화 사회에 접어들게 된다. 이는 65세 이상의 고령자가 사회 전체 인구의 20%를 넘어선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고령자가 장래에 치매 등으로 판단능력이 떨어지게 되는 경우 본인의 재산관리와 신상보호를 어떻게 할 것인가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우리 민법상 이러한 경우 위임계약을 통해 본인이 장래의 판단능력이 떨어지게 되는 경우를 대비할 수 있지만, 본인이 수임인을 관리·감독할 수 없기 때문에 실효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임의후견제도는 본인 스스로의 결정을 통해 장래에 자신의 판단능력이 저하되었을 때를 대비하여 자신의 재산관리와 신상보호의 계약을 체결하고 판단능력이 저하되었을 때 공적기관에 의해 수임인을 감독함으로써 본인 보호를 두텁게 하는 것이다. 그런데 사실 우리나라의 임의후견제도가 시행된 지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어떠한 문제가 발생하게 될 것이라 단언할 수 없지만, 우리나라보다 10여 년 앞서 임의후견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일본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문제점을 미리 예측하고 대처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일본의 임의후견계약의 유형에 따른 문제점을 살펴보면서 그 문제점을 어떻게 해결하려고 하는지를 비교법적으로 살펴보았다. According to the data by the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rea has got into an aging society, and it will enter the super high aged society within a couple of years. This means that the aged over 65years old will be more than 20% of whole population. If such aged ability of the logic of the situation will decline due to such Alzheimer’s disease, the problem of his property management and protection of his body will come up. On Korean Civil Law, if it is so, one could prepare for the situation in which one’s mental ability declines with delegation contract, however, it is useless as one couldn’t manage and control a nominee. Therefore, the voluntary guardianship system is to promote the protection for one, as one could make a contract for his property management and protection of his body for the situation when one’s mental ability will decline in the future and a nominee could be controled by a public institution when one’s mental ability declines. However, actually, we couldn’t say which problem will happen because Korea hasn’t been enforcing the voluntary guardianship system for very long. As we review the case of Japan where has been enforcing voluntary guardianship 10years earlier than Korea, we could predict a problem in advance and will handle. Therefore, this article examined a problem depending on the types of the voluntary guardianship system in Japan, and had comparative consideration of how they try to handle the problem.

      • KCI등재

        성년후견인의 제3자에 대한 책임

        오호철(O, Ho-Cheol) 한국법학회 2014 법학연구 Vol.56 No.-

        과거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로 말미암아 장애인을 정이나 자선의 대상 또는 일탈자로 보는 시각이 존재하고 있었다. 그러나 1960년 대 ?normalization?이라는 개념이 도입되면서 세계 각 국은 장애인 복지의 기본이념이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즉 신체적 · 정신적 어려움을 가진 이들이 사회활동을 할 때, 그들이 속한 사회공동체와 문화 내에 존재하고 있는 일상적인 환경 또는 정상적인 환경과 동일하게 행동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다. 이러한 영향으로 말미암아 우리나라에서도 ?normalization? 을 바탕으로 2013년 7월 1일부터 새로운 성년후견제도가 시행되었다. 새롭게 시행되는 성년후견제도는 과거 행위무능력제도와는 근본적인 차이가 발생한다. 성년후견제도 하에서는 성년후견인은 피성년후견인을 요양 및 감호할 의무를 부담하는 자가 아니라, 피성년후견인에게 의사능력 및 의사결정능력이 없을 때를 대비하여 그를 지원하고 그를 대신하여 의사결정을 하는 자가 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성년후견인의 성년후견인이라 하여 피성년후견인이 제3자에게 손해를 준 경우 행위무능력자제도에서와 같이 민법 제755조를 그대로 적용시킬 수 있는지에 관하여서는 의문이 발생한다. 최근 2013년 8월 9일 일본 나고야지방재판소(名古屋地方裁判所)에서 치매환자의 배회행위에 의한 열차사고에 있어 일본 민법714조(우리 민법 제755조와 같음)가 적용되는 판결이 있었고, 이 판결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어 다양한 비판과 논의가 발생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일본의 나고야지방재판소의 판결을 참고로 새로운 성년후견제도 하에서 우리 민법 제755조를 어떻게 해석하고 적용하여야 할 것인지를 살펴보았다. There was a point of view of considering the disabled as a subject for charity or a deviator due to the negative behavior to the disabled in the past. In every country of the world, however, the basic idea of welfare for the handicapped changed while the idea of normalization was introduced in the 1960s. In other words, the idea is that we make them act in the community that they belong, general environment that is in culture, or the normal environment, when physically or mentally challenged people work in society. With such effect, in Korea, a new adult guardian system has been entered from the 1st of July, 2013 based on the normalization. The new adult guardian system has a fundamental difference from past legal incompetence system. Under the adult guardian system, an adult guardian will help him and be a decision-maker on behalf of him when an adult ward doesnt have decision making ability or mental capacity, not having obligation burden and recuperation of an adult ward. Nevertheless, the question remains... whether he could be subject to Civil Code Section 755 like the past if an adult guardian of an adult ward afflicts the 3rd person. In Japan, a judgment in Nagoya district court on the 9th of August, 2013 became a serious social problem recently, so the application of Japan Civil Code Section 714 (Equate to Korea Civil Code Section 755) has been discussed. Therefore, this article reviewed that Korea Civil Code Section 755 could be applied to the new adult guardian system in the light of the judgment in Japan.

      • KCI등재

        보조생식술을 통해 태어난 자의 친자관계에 관한 소고

        오호철(O Ho-Cheol) 한국법학회 2009 법학연구 Vol.33 No.-

        최근 불임부부가 증가하면서 보조생식술을 통해 자를 갖기를 희망하는 부부가 늘어나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이를 통해 출생하는 자도 증가하고 있다. 보조생식술은 크게 인공수정과 체외수정이 있으며, 각각 배우자간의 인공수정(체외수정)과 비배우자간의 인공수정(체외수정)으로 나뉜다. 이외에 대리모를 통해서도 자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보조생식술을 통해 자를 얻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이를 직접적으로 규율하는 법률이 없기 때문에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현행 민법은 자연생식을 통해 자를 얻는 경우의 친자관계만을 규율하고 있기 때문에 보조생식술을 통해 태어난 자에게 이를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문제를 안고 있다. 다만, 보조생식술 중에서 배우자간의 인공수정(체외수정)의 경우는 자연생식에 의해 태어난 자와 차이가 없기 때문에 현행 민법의 규정을 적용해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논문은 비배우자간의 인공수정(체외수정)과 대리모의 경우 어떻게 친자관계를 정하는 것이 바람직한가를 외국의 입법례를 참고하여 살펴보았다. Recently, theres many couple who hope to have a child through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s increased sterile ones, and also many children who were born through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is highly divided in artificial insemination and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which is respectively divided in artificial insemination(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between couple and no couple. Besides, it is possible to have a child even through surrogate mother. However, the actual problem in Korea is that many problems have been occurred as theres no law which is regulating the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Specially, the current civil law is regulating only the rel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for who get their child through the natural reproduction and this is not applicable for who was born through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But, in case of artificial insemination(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between the spouses has no difference from the one who was born through the natural coitus, and this is not a problem though was applied by the current regulation of civil law. Therefore, this paper tried to observe on how to make the rel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desirably in case of artificial insemination(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between no couple and of surrogate mother, referring to the foreign legislative examples.

      • KCI등재

        건물 멸실의 판단 기준과 임대차계약관계에 관한 소고

        오호철(O, Ho-Cheol) 한국법학회 2012 법학연구 Vol.48 No.-

        최근 한반도의 기후환경이 매우 급속하게 온난화가 되면서 폭우나 폭설 및 태풍 등으로 인한 자연재해의 피해가 심해지고 있다. 또한 2011년 일본의 대규모 지진을 계기로 우리나라도 지진의 영향권에서 안심할 수 없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대규모 자연재해를 대비하는 법적 제도를 마련할 필요성을 주장하는 견해가 나타났고 이에 크게 공감하게 되었다. 자연재해로 인하여 건물이 흔적도 없이 사라진 모습이나 건물의 형체만이 있는 모습들을 보면서 건물에 임대차관계가 있는 경우는 어떻게 될 것인가? 즉, 임대차의 존속문제부터 임료관계 및 건물의 수선비용 등의 관계가 어떻게 해결되어야 할 것인지가 궁금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제가 되는 건물 멸실의 판단 기준이 학설에 의해 추상적으로 규정되어 있을 뿐 구체적인 내용이나 판례가 존재하지 않았다. 학설에서 주장하는 건물 멸실의 판단으로 물리적 요소 이외에 사용상의 효용성을 들고 있지만, 사용상의 효용이라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언급이 없었다. 그래서 건물 멸실을 어떻게 판단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 문헌을 조사하던 중 일본의 판례들이 집적되어 있음을 알았고 이들의 분석을 통해 학설상 추상적으로만 언급되어 있는 건물 멸실의 판단을 구체화할 수 있겠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비교법적으로 일본의 판례를 중심으로 건물 멸실의 판단의 기준을 고찰하고, 임대차관계가 어떻게 되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The damage in a natural disaster becomes heavier due to heavy rain, heavy snow and typhoon and so on, because the recent climate environment in the Korean Peninsula becomes rapidly warmer. After we saw the huge earthquake in Japan 2011 many scholars came to support view that Korea is no exception the influence of earthquake. So the views which we need to teke legal measures for protecting against such huge natural disasters appeare, and I am sympathized considerably with this view. For example, if one may face the empty space after his building disappeared without a trace due to a natural disaster, or face only the frame of a building, how the rental contract? In other words, we wonder how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retention of the rental contract, rental cost and repair costs would be solved. However, the criteria for the demolished building as a premise for solving such problems is just suggested abstractly, but there is no concrete content or a precedent of a case. While some theories have been insisting “the effectiveness for use” besides the physical factors as a criteria for the demolished building, they don’t explain specifically what “the effectiveness for use” is. While, I investigated the literature for a criteria for the demolished building, I found that the precedents were accumulated in Japan. Through the analysis of these cases, I thought that we can give shape to the criteria for the demolished building that was mentioned as an abstract theory. Therefore, this article aims at finding a new criteria for the demolished building in comparison with Japan’s precedents, and aims at looking at how the rental contract would be.

      • KCI등재후보

        장애인권리조약의 관점에서 본 일본성년후견제도의 과제

        오호철(O, Ho-Cheol)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15 법률실무연구 Vol.3 No.1

        일본에서는 총인구에 65세 이상의 인구의 비율이 2012년에 있어서 24.2%이고, UN의 정의에 의하면, 이미 초고령사회(super-aged society)에 들어서고 있다. 일본의 고령화율은 지금도 계속 증가하여, 2020년에 29.1%, 2030년에 31.6%, 2040년에 36.1%, 2050년에 38.8%, 2060년에는 39.9%로 된다고 한다. 이러한 사회의 고령화는 비단 일본만의 문제가 아니라 동아시아에 있어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대만, 중국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에 있어서의 일본, 대만, 중국 모두 고령화사회를 대비한 법정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하나로써 성년후견제도를 시행하고 있거나 시행하기 위해 제정을 준비하고 있기도 하다. 최근 일본에서는 UN 장애인권리협약의 비준을 하였기 때문에 장애인권리협약과 일본의 성년후견제도의 정합성을 도모하기 위한 논의가 진행 중에 있다. 특히 장애인권리협약 제12조의 규정이 일본의 성년후견제도의 개정논의를 이끌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일본의 성년후견제도와 장애인권리협약과의 정합성의 논의를 살펴보면서 우리나라의 성년후견제도의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The population ratio of aged 65 and over in the total population of Japan was 24.2% on 2012,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UN, Japan is getting into super-aged society. The aging percentage of Japan has been increasing continually, so it will be 29.1% on 2020, 31.6% on 2030, 36.1% on 2040, 38.8% on 2050 and 39.9% on 2060. Such aging of society is not only problem for Japan but also Taiwan and China including Korea in East Asia. Therefore, Japan, Taiwan and China including Korea in East Asia is improving law for aging society. One of them is that they are executing the adult guardian system or preparing to make a law for executing the adult guardian system. Recently, Japan has ratified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so they are discussion for designing the suitability betwee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Japanese adult guardian system. Especially, the regulation of Article 12 on Convention of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s taking the lead in revision discussion of the Japanese adult guardian system. Then, this article reviewed the implications of the Korean adult guardian system, while examining suitability between the adult guardian system and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 with disabilities in Japan.

      • KCI등재후보

        일본의 임의후견계약의 동향과 과제

        오호철(O Ho-Cheol) 한국재산법학회 2005 재산법연구 Vol.22 No.2

        According to the UN, Korea has already been an aging society. It is expected to be an aged society by 2019 and a super-aged society by 2026. Compared to the other countries, the aging speed of Korean society is tremendously fast. Consequently, the serious lawful problems related to this changing society will occur without doubt. Japan turned into an aging society at 30 years earlier than Korea, making the law to support the elders. Especially, the voluntaryguardianship contracts system was established and became effective in 1999. It basically replaced incompetent system which was previously effective in order to cope with the problems caused by the aging society and to respect and use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more flexibly. In case of Japan, the enhancement of the voluntary guardianship contracts resulted from the social demand of the nation. The main points ofthevoluntary guardianship contracts law are as follows. First one is the voluntary guardianship contract between a contractor and a voluntary guardian. Second one is public supervision system, which is a contract with a supervisor appointed by the family court. The family court was established to legally prevent the right misuse of voluntary guardian. The voluntary guardianship contracts system is able to diminish the anxiety of mandators by minimizing the public participation. In addition, the system is based on the contract to protect the contractors and to secure the freedom of them. Like the example of Japanese system, with the criticism about guardianship laws and incompetent system, a new legislation of adult guardianship law has been proposed in Korea. However, the amendment of civil law ended not to legislate the adult guardianship law. Regarding to the statistics on the future population of Korea, the problem of aging society should be considered to be personal and social at the same time. Even though it is a little bit late, the government established office for aged society and population policys under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o deal with the problems related to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society. Japan has operated the voluntary guardianship contracts system earlier than Korea as a method to support the elders. Korea comes into the aging society very rapidly. In this situation, this paper will analyze what the Japanese law system implies to Korean civil law.

      • KCI등재

        대리모에 관한 소고

        오호철(O Ho-Cheol) 한국법학회 2009 법학연구 Vol.34 No.-

        현재 우리나라에 있어 대리모를 규율하는 법률이 없어 이를 둘러싼 다양한 문제들의 해결은 학설과 민법의 해석에만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영리목적을 가지고 대리모를 알선하는 사람과 이를 의뢰하는 사람 및 이를 시술하는 의사 등이 발생하여도 이를 직접적으로 규제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더 이상 대리모를 방치하면 안 된다는 인식을 가지고 어떻게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가를 살펴보았다. 우선적으로 본 논문은 외국의 입법 동향에 대해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입법 동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가 대리모를 허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 사회에서 대리모의 허용에 대한 부정적 견해가 있지만, 이를 허용하여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왜냐하면, 대리모를 금지한다고 해서 불법적 대리모의 이용이 없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 실효성이 의문이다. 그리고 우리 사회에서 대리모를 통한 출산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에서 합법성을 무조건 부정하는 것은 사회 문제를 그대로 방치할 뿐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차라리 자를 갖기를 원하지만, 대리모를 이용하지 않으면 안 되는 불임부부에 한하여 법제도 내에서 양성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As of today, it is obvious fact that there is actually no clear regulation in law solution to diverse problems regarding surrogate mother depends on construction of theory and civil law. In accordance with this circumstances, the country have a limitation to restrict it directly when person recommends, requests or proceed surrogate mother illegally on profit pursuing purpose. Therefore this thesis is to find what would be the better way to solve this problem with the understandings that there should be no surrogate mother. Initially this thesis had to look at the movement of legislation in foreign country and our country. Also to find whether or not be possible to allow surrogate mother based on this fact. Our society has negative view of majority on allowing surrogate mother, however we have reached to the end finding surrogate mother must be allowed. Because, looking at the effective side, prohibiting surrogate mother does not mean usage of illegal surrogate mother would be disappeared forever. In actual circumstances child birth is generally by through surrogate mother in our society, denying lawfulness without any reason would only leave society issue. Thus it would be rather desirable to bring out into the open, within legislation, to use surrogate mother for infertile couples desire to have a baby. However surrogate mother for profit must be prohibited.

      • KCI등재

        임의후견제도 개선에 관한 고찰

        오호철(Ho-Cheol O) 한국비교사법학회 2013 비교사법 Vol.20 No.4

        2013년 7월 1일부터 우리나라도 성년후견제도가 시행하게 되었다. 그동안 제도의 도입에 대해 많은 논의 끝에 시행되는 것이라 제도에 대한 기대감은 높지만, 반면에 제도 시행에 앞서 많은 사전적 준비 없이 시행되는 것이라 제도가 안착될 수 있을지 걱정도 있다. 물론 모든 법제가 완벽할 수 없기 때문에 개정이라는 절차를 거쳐 다듬어져 가듯이 성년후견제도도 다듬어 질 것이라 생각한다. 이러한 점에 있어 본 논문도 성년후견제도가 다듬어 지는데 하나의 보탬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우리나라에 있어서 성년후견제도는 크게 법정후견과 임의후견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법정후견과 임의후견 중 본 논문에서 살펴보고자 한 부분은 임의후견제도를 중심으로 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보다 성년후견제도를 10여년 앞서 시행하고 있는 일본은 최근 임의후견제도를 둘러싼 학계와 실무계에서 제도개선에 대한 제언들을 하고 있다. 일본이 시행해 오면서 발생한 각종의 문제에 대한 제도 개선 제언이기 때문에 이제 걸음마를 하기 시작한 우리나라의 임의후견제도의 타산지석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일본의 임의후견제도가 그동안 시행해 오면서 발생한 문제점에 대한 제언들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임의후견제도가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이 무엇이 있는가를 비교법적으로 살펴보았다. The adult guardianship system took effect from the 1 of July, 2013. As it has been taken after discussing much about introduction of the system, there is much expectation of it; on the other hand, there is much consideration if it would reach stable condition because it has been taking without prior preparations before enforcing it. Of course, as all laws have to be articulated through an amendment because they couldn't be perfect, I think that the adult guardianship system would be articulated too. In this way, this author hopes that this article would contribute to articulate the adult guardianship system. The adult guardianship system can be primarily divided into a legal guardianship and an voluntary guardianship in Korea.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voluntary guardianship. There are many suggestions from the academic world and business circles surrounding the voluntary guardianship in Japan which launched established the adult guardianship system 10years than Korea. There are some suggestions to improve the system for every problems that has happened during the enforcement in Japan, and they would be a helpful lesson to korea's voluntary gurdianship system which has been starting now. Therefore, this paper comparatively examined which implications the voluntary guardianship in Korea could get, based on the suggestions the problems which happened during the enforcement of the voluntary guardianship in Jap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