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Effects of Issue Leadership on Creative Behavior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ollective Intelligence Moderated by Collective Leadership

        Ho-June Oh(오호준),Je-Goo Shin(신제구) 대한리더십학회 2017 리더십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이슈 리더십이 창의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와 집단지성을 통하여 영향 을 미치는 간접효과에서 집합적 리더십의 조절효과와 조건부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이슈 리더십과 집합적 리더십의 상호작용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밝히고 효과적인 리더십 발휘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 보고형 설문방식의 측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동일방법편의(common method bias)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직무상황에서 정서상태를 표현해주는 정서성(affectivity)을 직급 등과 함께 통제변수로 채택하였고, 국내 500인 이상 규모의 다양한 업종에 근무하는 직장인들로부터 획득한 설문지 319부 중 부적절한 자료(univariate outlier) 8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311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이슈 리더십과 창의적 행동간 직접효과와 집단지성을 통한 간접효과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슈 리더십과 창의적 행동 간 관계에서 집합적 리더십의 단순 조절효과(강화효과)와 조건부 직접효과가 모두 확인되었으며, 이슈 리더십과 집단지성간 관계에서 집합적 리더십의 단순 조절효과(강화효과)와 이슈 리더십이 집단지성을 경유하여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집합적 리더십에 의해 조절되는 조건부 간접효과 역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이슈 리더십이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서 리더십과 조직행동 분야에서 비교적 연구가 부족했던 집단지성의 매개효과와 집합적 리더십의 조절효과 및 조건부 효과의 영향관계를 밝힘으로써 이슈 리더십과 집합적 리더십의 상호작용 효과성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With the goal to present an effective leadership strategy in the organizational context,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s the direct effect of issue leadership on creative behavior and how this effect via collective intelligence is assisted by collective leadership to reveal the interaction between issue leadership and collective leadership. To resolve potential common method bias from the self-report survey method employed for data collection, affectivity was set as one of the control variables. A 311 out of 319 responses from employees at firms with more than 500 employees in various industries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excluding eight univariate outliers. Our analysis results confirmed that issue leadership has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creative behavior and that this relationship is mediated by collective intelligence. Also, we identified the simple moderating effect(synergistic effect) and conditional direct effect of collective leadership between issue leadership and creative behavior, as well as that the indirect effect of issue leadership on creative behavior through collective intelligence is moderated(conditional indirect effect) by collective leadership. This study expands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behavior research by examining issue leadership’s positive effect on creative behavior and the role of collective intelligence and collective leadership and verifying the interaction between issue leadership and collective leadership.

      • KCI등재후보

        집합적 리더십이 구성원 민첩성에 미치는 영향 : 결과 기대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오호준(Oh, Ho-june),신제구(Shin, Je-goo)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20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공군 간부를 대상으로 리더(대대장급 지휘관)의 집합적 리더십이 구성원 민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와 집합적 리더십이 결과 기대감을 경유하여 구성원 민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방법편의(common method bias)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서성(affectivity)을 팀 사이즈, 권력거리와 함께 통제변수로 채택하였으며, 공군 대대장급 지휘관과 함께 근무하는 간부를 대상으로 획득한 176부 중 168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집합적 리더십이 구성원 민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와 집합적 리더십이 결과 기대감을 경유하여 구성원 민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관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고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verifies the mechanism for which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EO) of CEOs at small-and-medium enterprises(SMEs) affects directly business performance and indirectly through the mediation of innovative behavior of organizational members. A survey was executed to the employees of various SMEs, and the samples were analyzed by PROCESS macro(Hayes, 2013). Prior to conducting the survey, a preliminary survey was reviewed by 9 HR experts, which improv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s. The common method bias was minimized by executing the survey in two separate parts with an one week interval; the first part of the survey measuring the all variables except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second part, only the dependent variable. Firm size, firm industry, and firm age were selected as control variables. The findings verified the positive direct effect of CEO’s EO on business performa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innovative behavior of organizational members between EO and business performance was verified. These findings empirically verify the mechanism that the EO of CEOs at SMEs positively affects on business performance, mediated by innovative behavior of organizational members. The present study expands existing leadership research about sustainable business performance, and presents interest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ith the limitation of this research and suggestion for further studies.

      • KCI등재

        집합적 리더십이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오호준(Ho-June Oh),신제구(Je-Goo Shin)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1

        본 연구는 집합적 리더십(collective leadership)의 유효성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집합적 리더십이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집합적 리더십과 창의적 행동간 조직기반 자긍심의 간접효과를 검증하고, 이러한 간접효과의 메커니즘이 심리적 안전감에 의해 조절되는 조건부 간접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동일방법편의(common method bias)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해 직급과 함께 직무상황에서의 정서성(affectivity)을 통제변수로 사용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319부 중 부적절한 자료(univariate outliers) 10부를 제외한 309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집합적 리더십은 구성원들의 창의적 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조직기반 자긍심은 집합적 리더십과 창의적 행동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다. 또한, 심리적 안전감의 조건부 간접효과는 ‘매우 낮음’, ‘낮음’, ‘중간’의 세 단계를 제외한 ‘높음’, ‘매우 높음’의 두 단계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가 함의하는 바는, 조직의 리더들이 집합적 리더십을 통해 구성원의 조직기반 자긍심과 창의적 행동을 촉진하는데 있어 심리적 안전감이 높아야 그 효과성이 커진다는 것이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collective leadership. Specifically, we examine the direct effect of collective leadership on creative behavior and how this relationship is affected indirectly by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Further, we identify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 psychological safety has in moderating this mechanism. To minimize the common method bias, job rank and the affectivity in work situations were set as control variables. After excluding ten univariate outliers from 319 responses that were collected, a total of 309 samples were used for analysis. Our findings showed that collective leade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reative behavior of organization members, and that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played the role as partial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ctive leadership and creative behavior. Also,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 of psychological safet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high’ and ‘very high’ percentile levels, but not in the ‘very low,’ ‘low,’ and ‘middle’ levels. Together, the findings imply that when leaders at organizations promote members’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and creative behavior through collective leadership, it can be more effective when members feel high psychological safety in the organization.

      • 참여적 리더십과 창의적 행동의 관계

        탁제운(Tak Je Woon),오호준(Oh Ho June),신제구(Shin Je Goo)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18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참여적 리더십(participative leadership)과 조직 구성원들의 창의적 행동(creative behavior) 간의 관계에서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종업원 300인 이상의 국내 기업에 종사하는 직장인 중 상사를 둔 구성원 309명을 대상으로 SPSS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참여적 리더십은 조직 구성원들의 창의적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적 리더십과 구성원들의 창의적 행동 간 집단지성을 매개로 하는 간접적인 영향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참여적 리더십과 창의적 행동 간 집단지성의 완전매개효과가 입증되었다. 연구 결과에 대한 함의가 논의되었으며 이론적·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ticipative leadership an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collective intellig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ve leadership and creative behavior of subordinates. The research model and the hypothesis were verified by using the SPSS PROCESS macro for 309 employees among the employees who work in domestic companies with more than 300 employees. As a result of the study, participative leadership has positive direct effects on the creative behaviors of subordinates, and indirect positive influence through collective intelligence has been confirmed. This proved the complete mediating effects of collective intelligence between participative leadership and creative behavior.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