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Fowler의 신앙발달단계 이론의 문화적 타당성 탐색 -국내 기독교인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오제은 한국상담학회 2009 상담학연구 Vol.10 No.2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pplication of Fowler's theory of faith development and validity of the theory in the light of cultural differences. In order to examine the distinction of each stage and theoretical validity of Fowler's theory the current study administered a measure based on Fowler's theory, Faith Development Assessment on 109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Moreover, Measure of Psychosocial Development, which is based on Erikson's theory of psychosocial development and is already validated, was administered for cross -examination of the distinction of developmental stages and applicability of theory of faith development.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in four stages. Firstly, descriptive analyses were performed in regards to the faith development (Stages 3, 4, and 5). Secondly, Chi-square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any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in regards to faith development. Thirdly, Fowler's proposition regards to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faith development was tested using ANOVA.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social development and faith development was examined using ANOVA and Chi-squar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 Firstly, 72% of the participants belonged to Stage 5 (Conjunctive Faith), 22% to Stage 3 (Synthetic-Conventional faith), and 9.2% to Stage 4 (Individual-Reflective faith). Second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ith development between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Thirdly,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faith developmental stage. In conclusion, the distribution of faith developmental stages among Korean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were different from that proposed in Fowler's model, and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faith development and age, or gender. Thus, the study suggests that cultural differences need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application of Fowler's theory.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기독교인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Fowler의 신앙발달이론을 적용하여 신앙발달수준을 살펴보고 이론의 문화적 타당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및 대학원생 중 기독교인 109명을 대상으로 Fowler 이론에 기초한 신앙발달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발달단계의 구분 및 적용 타당성에 대해 교차 검토를 하기 위해 이미 국내에 적용되어 이론적 타당성이 확보된 Erikson의 심리사회발달척도를 함께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하여 실시한 주요 분석은 다음과 같다. 우선,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의 (신앙발달에 속할 것으로 제안된) 단계별 분포(3, 4, 5 단계)에 대하여 기술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성별에 따른 신앙발달차이 및 심리사회적 발달 차이를 분석하였다. 셋째, Fowler 이론에서 제안한 발달수준을 기준으로 하여 연령별 분포를 살펴보기 위해 기술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령 간 분포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신앙발달에 따른 심리사회적 발달 단계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 중 72%가 Fowler의 신앙발달단계 중 5단계(결합적 신앙)에 속하였다. 22%는 3단계 (종합적-인습적 신앙), 그리고 가장 적은 수인 9.2%가 4단계(개별적-반성적 신앙)에 속하였다. 둘째, 성별에 따른 신앙발달단계 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앙발달단계와 나이 간에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연령대는 각 신앙발달단계마다 골고루 분포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심리사회발달단계에서 심리사회발달자원은 단계별로 남녀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심리사회발달과제의 경우는 남녀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연령과 전체적 심리사회발달의 연관성을 보았을 때 연령이 증가할수록 심리사회발달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신앙발달에 따라 심리사회적 발달 단계 간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신앙발달단계 구분의 경우, Fowler가 제안한 내용과 국내 대학생 및 대학원들에게 적용된 경우 간에 단계별 분포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차 및 연령에 따른 상관성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이론의 적용상 문화적 차이를 고려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에릭슨의 심리사회 발달 수준과 부부관계 적응

        오제은,최한나 한국상담학회 2009 상담학연구 Vol.10 No.2

        This study explored the releaionship between individual psychosocial development and marital adjustment. 298 adul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completed three instruments to measure his or her psychosocial development(Measures of Psychosocial Development, Hawley, 1988), marital adjustment(Marital Adjustment Test, Wallace, 1959), and marital status(Marital Status Inventory, Weiss-Cerreto, 1980). Data were analys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Mann-Whiteney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individual general psychosocial development was related to marital adjustment and marital stability. Among 8 psychosocial development stages, 3, 5, 6 stag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marital adjustment and state 7 was negatively related to marital stabil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에릭슨이 제시한 심리사회발달과 부부관계 적응 간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98명의 기혼 성인을 대상으로 심리사회발달수준, 부부관계적응 수준, 부부관계 불안정성 수준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하여 먼저 전반적인 심리사회발달 수준, 부부관계의 적응, 불안정성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심리사회발달의 각 단계의 발달 여부에 따라 자원집단과 과제집단으로 구분하여 각 단계의 자원집단과 과제집단이 부부관계 적응수준과 위기수준에서 차이를 보이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두 집단 간 비모수 차이검증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개인의 전반적 심리사회발달 수준은 부부관계 적응 수준과 정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부부관계 불안정성 수준과는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사회발달의 단계에서 자원집단과 과제집단의 부부관계 적응 및 불안정성 수준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3단계, 5단계, 6단계가 부부관계 적응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7단계는 부부관계 불안정성 수준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개인의 심리사회발달과 부부관계 적응 수준과 불안정성 수준과의 관계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내면아이 치료와 주요 인물들과의 관계 재구성 경험의 해석학적 연구: 실존주의적 관점에서의 논의

        오제은 한국상담학회 2009 상담학연구 Vol.10 No.3

        This research is a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study finding how the participants who had got over their childhood trauma through the Inner-child therapy have reconstructed their relationship with important people and the relationship within their inner-world. The study analyzes what kind of meanings it gives to the participants' life and to elucidate how they perceive it, from the perspective of existential psychotherapy. 6 people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data was gathered through the half-structured interviews and analyzed by using van Manens' and Colaizzi's analysis guideline. 117 significant units were extracted and integrated into 11 sub themes and 4 main themes. Heidegger's and Gadamer's interpretive philosophical frame and the existential psychotherapeutic view were used to understand the participants' experience and the meanings of it. 본 연구는 내면아이 치료 집단상담에 참가하여 과거 어린 시절의 상처를 극복한 참여자들이 어떻게 내적 관계와(자신과의 관계) 주변의 주요 인물들과의 관계를 재구성해 나가는지를 연구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의 주된 목적은 내면의 상처와 이를 극복하는 경험이 참여자들의 삶에 어떠한 의미로 인식되고 있는지를 알고자 함이었다. 정신역동적 심리치료와 실존주의 심리치료의 상반된 관점을 논쟁점으로 삼았으나 실존주의적 관점에서 연구결과의 해석을 시도 하였다. 모두 6명의 참여자들을 통해 연구 자료를 제공받았으며 반구조화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면담자료는 분석도구로서 van Manen의 해석학적 분석방법을 주요 분석 틀로, 그리고 Colaizzi의 분석방법을 보조 틀로, 두 방법을 통합 응용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과정에서의 권력적 해석의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교수급 전문 질적 연구자의 검증과정을 거쳤다. 분석과정을 통해 추출된 의미단위는 모두 117개이며 의미통합과정을 거쳐 11개의 하위 주제와 4개의 주요 주제로 재분류 되었다. 논의 부분에서는 Heidegger와 Gadamer의 해석학적 ‘4 영역의 체험된 세계’ 관점에서 해석을 시도하였으며 실존주의 심리치료에서의 의미를 논의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