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소형 위성의 추진기관 서브시스템 설계

        오승협,O, Seung-Hyeop 한국방위산업진흥회 1992 國防과 技術 Vol.- No.164

        산.학.연의 기술협력 활성화와 연구기반 확대를 모색하기 위한 제2차 유도무기 학술대회(추진기관분야)가 8월 20일과 21일에 국과연 국제회의실에서 열렸습니다. 여러 사정상 내용을 접할수 없었던 분들을 위해 본 지에서는 지난호(92/9월호)에 일부(5편)를 수정 (요약) 게재한데이어, 이번호에도 5편을 발췌.개작하여 소개합니다

      • 제주도 감귤원에서 채집된 귤응애들의 살비제에 대한 감수성 정도

        오승협,이평호,황록연,현재욱 한국응용곤충학회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10

        제주도 17개 감귤원에서 귤응애 (Panonychus citri MCGREGOR)를 채집하여 9 종의 살비제에 대한 저항성 수준을 leaf spray 방법으로 검정하였다. 지효성 또는 지속기간이긴 살비제인 spirodiclofen, dicofol, spiromesifen, etoxazole, propargite, cyhexatin, fenothiocarb은 약제처리 7일후에 살아남은 개체수가 전체개체수의 5% 이상일 경우 감수성이 저하한 것으로 보았으며 속효성 살비제인 bifenazate, dimethoate는 약제처리 5일후에 살아남은 개체수가 5%가 넘는 경우 감수성이 저 하한 것으로 보았다. spirodiclofen은 모든 지역에서 높은 감수성을 보여 이들 지역 에 대한 귤응애의 효과적인 방제가 기대되어진다. dicofol은 노지 감귤원 한 곳에 서 7.57%의 개체가 살아남아 감수성의 저하가 관찰되었다. spiromesifen은 상대 적으로 살비제의 사용이 많은 하우스 감귤원 두 곳에서 각각 6.74% 그리고 20%의 개체가 살아남아 감수성의 저하를 보였으며 etoxazole은 하우스 감귤원 한 곳과 노 지감귤원 한 곳에서 각각 6.06% 그리고 8.33%의 개체가 살아남아 감수성의 저하 를 보였다. propargite는 모든 지역에서 높은 감수성을 보였다. cyhexatin은 노지 감귤원 한 곳과 하우스 감귤원 한 곳에서 살아남은 개체가 각각 6.25% 그리고 15.37%로 감수성의 저하를 보였다. bifenazate는 모든 지역에서 높은 감수성을 보 였다. dimethoate는 노지 감귤원 한 곳에서 11.96%의 개체가 살아남아 감수성의 저하를 보였다. fenothiocarb는 모든 지역에서 높은 감수성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spirodiclofen, propargite, bifenazate, fenothicarb가 귤응애에 대하여 약제감수성 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알을 포함한 모든 생육단계에 걸쳐 효과가 있는 spirodiclofen, bifenazate, fenothicarb가 이후 제주도 감귤원에서 귤응애 방제에 효과적이라 생각된다. spirodiclofen은 유용 동물 및 천적에 비교적 안전한 약제이 므로 병해충종합관리 (IPM)에도 적합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bifenazate, fenothicarb는 spirodiclofen과는 다르게 속효성으로 귤응애에 대한 빠른 약효를 원하는 농가에게 적합하리라 생각된다.

      • 감귤 응애류에 대한 친환경자재 시험 및 유기인계살충제 저항성 계통 선별

        오승협,이평호,황록연,현재욱,김광식 한국응용곤충학회 2011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05

        귤응애의 친환경자재 3종에 대한 약제감수성을 조사한 결과 허브 규, 파라포린 스, HES에 대한 약제처리 3일후의 생충율은 0%로 방제가 100%를 보였다. 귤녹응 애의 살비제 7종 및 친환경자재 2종에 대한 약제감수성을 약제처리 3일, 5일, 7일 후에 조사하였다. 그 결과 친환경자재인 기계유유제와 파라포핀스 HES합제가 높 은 살충율을 보였으며, 살비제인 spirodiclofen, dicofol, spiromesifen, propargite, cyhexatin에 대해서도 높은 살충율을 보였다. 한편, mancozeb에 대한 귤녹응애의 살충율은 8일후 45%, 10일후 56%를 나타냈다. 귤응애의 유기인계살충제 dimethoate에 대한 저항성 계통과 감수성 계통을 선 별하기 위해서 제주도 감귤원 17농가 중 dimethoate에 대하여 낮은 감수성을 나타 낸 3개 농가 (S-9, J-4, S-8 계통)와 높은 감수성을 나타낸 1개 농가 (S-3 계통)에서 귤응애를 채집하여 감수성을 검정하였다. 또한, 친환경 농가 5곳 (S-2', S-3', J-1', J-2', J-3' 계통)을 대상으로 귤응애를 채집하여 상기의 약제에 대한 감수성을 검정 하였다. 그 결과 J-4, S-8계통은 dimethoate에 대한 LC50가 905ppm, 323ppm를 나타냈다. S-3, S-2', S-3', J-1', J-2', J-3' 계통의 dimethoate에 대한 LC50는 564ppm, 140ppm, 186ppm, 97ppm, 341ppm, 206ppm으로 J-4 계통에 대한 저항성비는 각 각 1.60, 6.46, 4.86, 9.32, 2.65, 4.39를 나타냈다. leaf spray 방법을 사용하여 S-9, J-4, S-8 계통을 기준사용량의 dimethoate로 처리 후 살아남은 개체를 저항성 계통 으로 보고 사육하였으며 LC50가 140ppm, 97ppm으로 가장 낮은 S-2', J-1' 계통을 감수성 계통으로 보고 이를 사육하였다. 접종 3개월 후의 2차도태시 이들에 대한 LC50를 측정한 결과 J-4, S-8 계통의 LC50는 1220ppm, 635ppm으로 1차도태시 측정값과 비교하여 각각 1.34, 1.96배 증가를 보였다. 감수성 계통으로 생각된 S-2', J-1' 계통은 443ppm, 199ppm으로 이전 측정값에 비교하여 감수성이 낮아졌 다. dimethoate에 대한 순수 절대 감수성 계통을 얻기 위해서는 이들 계통을 대상 으로 역도태 과정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한편, 감수성 점박이응애를 사용한 dimethoate의 LC50는 738ppm으로 J-4 계통에 대하여 1.22의 저항성비를 얻었다.

      • 감귤에서 귤응애의 생태 및 방제에 관한 연구

        오승협,이평호,황록연,현재욱 한국응용곤충학회 2011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10

        귤응애의 시기별 발생량 조사는 감귤 재배지인 서귀포시 남원읍 의귀리에 소재한 농가의 병해충 무방제 포장에서 2011년의 1년 동안 감귤나무 1주를 선정하여 생육기인 6월부터 10월까지 7일 간격으로 년 17회 조사하였다. 그 결과 6월 상순 1차 조사 시부터 감귤엽에 귤응애의 알, 유충, 약충, 성충이 존재하였으며 점유율은 알>약충, 성충>유충 순으로 조사되었다. 장마기 이후 모든 태의 귤응애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비가림재배 감귤에서 귤응애의 약충과 성충에 대한 약제방제 시험을 실시한 결과 약제처리 10일후, 15일후의 기계유유제 (100배), Paraffinic oil (100배, 200배, 500배), Paraffinic oil (500배)와 HES (1000배) 합제는 살비율이 95%이상으로 높은 방제가를 보였다. 귤응애의 알에 대한 leaf spray 방법을 사용한 약제시험에서 기계유유제 (100배)와 석회유황합제 (100배)는 1% 이하의 부화율을 보였으며 Herb extract (1000배)는 31.2%의 부화율을 보였다. 대조구와 비교하여 약제처리구의 부화유충은 약충으로 성장하지 못하고 죽는 것이 관찰되었다. 한편, 온도 25±1℃, 상대습도 60±10%, 광주기16:8 (L:D)에서의 귤응애 암컷성충의 일평균산란수는 4.2개였고 부화율은 77.9%를 보였다.

      • 시설재배 감귤의 응애류 방제 기술 개발

        오승협,이평호,황록연,현재욱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10

        시설재배의 감귤에 대한 농자재의 약효와 약해를 검증하였다. 포장시험 (수관분무살포)을 통한 친환경농자재별 귤응애 방제 효과를 시험한 결과 파라포핀스 500배, 기계유유제 120배, 석회유황합제 120배는 약제처리 15일후에 방제가가 84.6, 100, 78.9%였다. 세토카 (비가림재배, 7년생), 부지화 (비가림재배, 13년생)를 대상으로 신초, 유과기, 장마기, 여름순, 고온기에서의 파라포핀스 등을 사용한 약해유무를 조사한 결과 신초와 과실에서는 약해가 관찰되지 않았다.

      • IMPATT 다이오드를 이용한 밀리미터波 發振器의 安定化에 관한 硏究

        오승협,宋明善,金信基 忠南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1986 산업기술연구논문집 Vol.1 No.1

        A Ka-band oscillator is realized by use of a packaged Si DDR IMPATT diode and a waveguide mounting structure. The diode is positioned in a radial disk cavity that is housed in a Ka-band waveguide. The equivalent circuit for radial transmission lines is studied following Khan's approach. The circuit can be used to obtain theoretically oscillating frequencies of the realized oscillator together with the antenna analysis at the disk edge which is not included in this work. The oscillation frequency of the realized oscillator lies between 31GHz and 42GHz. The maximum output power is observed to be 305mW at 35.5 GHz, where the power efficiency is 4.3%. The shift of the oscillation frequency is in the range of 3MHz per hour.

      • 제주도내 작물 재배지에서의 볼록 총채벌레 월동 양상

        황록연,이평호,오승협,현재욱 한국응용곤충학회 2011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05

        제주도내에서 점차 문제가 되고 있는 볼록총채벌레의 주요 월동처와 월동 양상 을 조사 하였다. 볼록총채벌레의 월동처는 잎, 가지, 식물의 잔재물, 흙 등으로 감 귤과 키위 등 그 기주 식물과 온도, 습도 등의 환경에 따라 다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주도에서 조사한 결과 겨울철 볼록총채벌레가 기주 식물의 가지와 잎에서 는 관찰되지 않아 식물의 잔재물과 흙을 일정량 채취하여 35×45×8cm 의 검은종 묘상자에 넣은 후 같은 크기의 밑판을 자른 종묘상자를 뒤집어 위에 덮고 끈끈이 트랩이 부착된 미세한 크기의 구멍이 난 필름을 덮었다. 이상자를 온도 25℃, 습도 30%의 생육실에 놓고 상자안의 트랩에 붙는 볼록총채벌레의 수를 조사하였다. 식 물잔재물과 흙을 채취한 곳은 비가림 시설내의 키위포장 1곳, 노지 녹차밭 1곳, 가 온시설내의 한라봉 포장 1곳, 가온시설내의 천혜향 포장 1곳, 노지온주밀감 포장 2 곳 총 6곳의 식물잔재물 1kg 1반복과 흙3kg 3반복을 조사하였다. 12월 20일부터 1 개월 간격으로 3월 20일까지 4차례에 걸쳐 식물잔재물과 흙을 채취 하고 2~5일 간 격으로 성충이 더 이상 나오지 않는 시기까지 조사 하였다. 그 결과 비가림 시설내 의 키위포장에서 총 471마리로 다른포장(시설 한라봉 82마리, 노지온주밀감(상신 례리) 73마리, 녹차밭 19마리, 시설 천혜향 5마리, 노지온주밀감(위미리) 4마리)에 비해 많은 볼록총채벌레를 관찰 할 수 있었다. 12월에 채취한 것에서 227마리, 1월 184마리, 2월 238마리, 3월 5마리가 관찰 되었다. 볼록총채벌레가 가장 많이 채집 된 키위포장에서 볼록총채벌레의 발생비율은 식물잔재물 95%와 흙 5%로 나타났 다. 키위포장에서 보면 12월에 채취된 식물잔재물과 흙에서는 생육실에 넣은후 10 일후에 1월에 채취된 것에서는 8일후 그리고 2월에 채취된 것에서는 5일, 3월에 채취된 것에서는 3일후에 가장 높은 밀도를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