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원 박람회 출품작 분석을 통한 정원 유형 구분 연구

        염혜리 ( Yum Hae Lee ),주신하 ( Joo Shin-ha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7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36 No.-

        2010년 경기정원문화박람회를 시작으로 서울정원박람회,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한평정원페스티벌, 코리아가든쇼 등 다양한 정원박람회의 개최가 증가하면서 일반인들에게도 정원박람회에 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렇듯 정원문화 확산을 통해 정원디자인의 개발과 소비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정원 스타일의 유형화를 통해 소비자의 선호 취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직접적인 자료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정원박람회 작품들을 대상으로 분석함으로써 정원박람회출품 구분틀을 제시하고 정원스타일 유형을 구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진행된 2014, 코리아가든쇼, 2015 서울정원박람회, 2015 경기정원박람회, 2016 코리아가든쇼에 출품된 20개의 작품들을 대상으로 14개 형용사쌍을 이용하여 118명에게 5점 척도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해 정원스타일을 설명하는 4가지 요인인 현대-도시성, 쾌적성, 단순성, 사실성을 도출하였으며, 군집분석과 요인분석 결과를 통해 아티션 스타일, 캐주얼스타일, 한국적 스타일, 미니멀 스타일, 모던 스타일, 리빙가든 스타일 등으로 정원스타일을 구분하였다. 본 연구는 정원에 대한 일반인들의 반응을 기반으로 실증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정원 스타일을 유형화한 연구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으며, 또한 작가 및 전문가의 의견뿐만 아니라 일반인 입장에서도 수용 가능한 커뮤니케이션 어휘를 도출하여 추후 세부적인 정원 분석틀로 연구에 활용될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반면 정원박람회 출품작만을 선별하여 분석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 결과를 전체 정원에 적용하기에는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다. Starting from Gyeonggi Garden Culture Expo in 2010, the increase of Garden Expo triggered the spread of garden culture to the public. It is expected that data for gardens should be selected according to consumer`s preference tastes through classification of garden styles. Firstly, this study aims to suggest communication vocabulary between designers and consumers as the increase of the social interest and demands for gardens. Secondly, this study suggests criteria for the classification of the garden expo entries, and lastly attempts categorizing garden styles. This study has done survey of 20 Korean Garden Expo Entries to 118 people using 14 adjective pairs.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categorize gardens. From the factor analysis, 14 pairs of adjectives were helped to interpret the whole gardens by four componets `modernity-urbanity(현대-도시성)`, `amenity (쾌적성)`, `simplicity(단순성)`, `reality(사실성)`. Then, from both data of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gardens were categorized into 6 styles : Artisan Garden Style, Casual Garden Style, Korean Garden Style, Minimal Garden Style, Modern Style, Living Garden Style. The study has meaning of having done the research of using quantitative method on classification of garden styles, and the result can act as an acceptable communication vocabulary for both garden designers and consumers.

      • KCI등재

        안구회선에서 맹점지도검사의 진단적 유용성

        이재훈(Jae Hoon Lee),염혜리(Hae Ri Yum),이세엽(Se Youp Lee),이영춘(Young Chun Lee)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6

        목적: 이차하사근기능항진을 보이는 환자에서 수술 전후 안저사진검사와 맹점지도검사로 회선의 변화를 관찰하여, 맹점지도검사의 회선 측정이 진단적 유용성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이차하사근기능항진으로 진단된 11명(12안)을 환자군으로, 안운동 이상이 없는 10명(20안)을 대조군으로 하여 안구운동 검사, 안저사진검사와 험프리 자동시야검사를 시행하였다. 안구운동검사로 하사근기능항진 정도를 평가하였으며, 안저사진검사와 험프리 자동시야검사로 회선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환자군에서 수술은 하사근절제술 혹은 후전술을 시행하였고 수평사시가 동반된 경우에는 수평사시수술을 동시에 시행하였으며, 수술 1달 후 하사근기능항진 정도와 회선량을 측정하여 수술 전과 비교하였다. 결과: 환자군에서 하사근기능항진은 수술 전 +2.42 ± 0.63에서 수술 후 +0.50 ± 0.52로 감소되었으며 회선량은 환자군의 안저사진검사에서 수술 전 +14.15 ± 3.60°에서 수술 후 +7.47 ± 1.65° (p<0.001)로, 맹점지도검사에서 수술 전 +12.19 ± 1.62°에서 수술 후 +9.69 ± 1.75°(p=0.061)로 각각 감소되었다. 대조군에서 측정된 회선량은 안저사진검사에서 평균 +7.44 ± 1.62°, 맹점지도검사에 서 +7.24 ± 1.28°로 각각 측정되었다. 결론: 하사근기능항진 정도와 맹점지도검사에서 측정된 안구회선량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수술 전후 회선량 또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임상적 유용성은 적을 것으로 생각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6;57(6):957-962> Purpose: To evaluate diagnostic the usefulness of blind spot mapping in measuring ocular torsion changes an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of inferior oblique muscle overaction (IOOA) and excyclotorsion measurements using fundus photographs and blind spot mapping in patients with secondary IOOA. Methods: Eleven patients (12 eyes; IOOA group) diagnosed with secondary IOOA were evaluated for ocular movement, fundus photograph and Humphrey standard automated perimetry, and 10 patients (20 eyes; control group) were subjected to the same tests. An ocular movement examination was performed to evaluate IOOA, and fundus photograph and Humphrey standard automated perimetry were used to measure the ocular torsion. Inferior oblique myectomy or recession was performed along with horizontal strabismus surgery, and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IOOA and ocular torsion measurements were compared between the groups. Results: In the IOOA group after surgery, the IOOA decreased from +2.42 ± 0.63 to +0.50 ± 0.52, the ocular torsion decreased from +14.15 ± 3.60° to +7.47 ± 1.65° (p < 0.001) on fundus photographs, and from +12.19 ± 1.62° to +9.69 ± 1.75° (p = 0.061) in Humphrey standard automated perimetry. The control group showed a mean ocular torsion of 7.44 ± 1.62° on fundus photographs and +7.24 ± 1.28° on Humphrey standard automated perimetry. Conclusions: The usefulness of blind spot mapping when the ocular torsion was measured in IOOA patients was considered low, due to the weak correlation between IOOA and extorsio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ocular torsion amount valu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J Korean Ophthalmol Soc 2016;57(6):957-96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