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문(漢文)1에 실린 한시(漢詩)텍스트 수록 양상 분석 -제6차~2009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엄선용 ( Sun Yong Eum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4 한문교육논집 Vol.42 No.-

        이 글은 제6차부터 2009개정 교육과정까지 고등학교 ‘한문Ⅰ’에 실린 漢詩텍스트를 분석하여 그 현황을 형식별, 시대 및 작자별, 그리고 주제별로 분석하여 실태를 알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제6차~2009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한문Ⅰ’ 한시 텍스트에 수록된 한시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현황과 시사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첫째, 韓·中漢詩의 수는 197首가 총 273회가 실려 있다. 漢詩를 형식별로 그빈도수를 살펴보면 七言絶句는 72수가 110회로 가장 많고, 五言絶句는 69수가91회이다. 이 둘을 합하면 절구가 총 141수가 201회로 총 빈도수 가운데 73.6%나 차지해 지나치게 절구에 편중되어 실려 있음을 알 수 있다. 비록 작품수가 많은 것은 인정하나 한문Ⅰ 텍스트에 다양한 한시의 형식들이 제시되어 학생들이 여러가지 한시 형식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마땅할 것이다. 둘째, 한시 형식별로 많이 실린 작품은 다음과 같다. 古詩는 도잠의 「四時」(3회) 이고, 五言絶句는 정몽주의 「春(興)」(12회), 맹호연의 「春曉」(7회)이고, 七言絶句의 정지상의 「送人(大同江)」(20회), 이옥봉의 「自述」(9회), 왕유의 「送元二使安西」(7회)이고, 五言律詩는 이이의 「花石亭」(10회), 두보의 「春夜喜雨」(7회)이고, 七言律詩는 두보의 「江村」(5회)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시들은 문학적인 향취가 깊은 시들로 한시 교육에서 학습의 효율성을 높여 줄 수 있는 시이다. 한문교사는 이러한 형식별 작품들을 잘 알고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꼭 가르쳐야할 시 가운데 하나로 알아야할 것이다. 셋째, 한시 텍스트 속에서 한국의 경우 朝鮮時代의 작품 빈도수가 113회(63.5%)로 가장 많이 다루어지고 있다. 중국의 경우 唐代의 작품 빈도수가 82회(86.3%)로 두 時代에 너무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무리 특정시대에 뛰어난 한시가 많다고 하더라도 교과서에서 작품을 실을 경우 시대별 안배가 고려되어야 한다. 넷째, 한국의 작가 중에 가장 많은 작품이 실린 사람은 정지상(21회)이고, 그 다음이 정몽주(16회), 이옥봉(12회)이다. 중국의 작가 중에 가장 많은 작품이 실린사람은 두보(22회)이고, 그 다음이 이백(13회), 왕유(10회)이다. 한시의 작가는 매우 많지만, 그 많은 작가 가운데 어떤 작가의 작품을 교과서에 선정할 것인가가 중요하다. 唐詩를 대표하는 시인으로는 이백과 두보를 최고로 인정하듯이 가능하면 시대를 대표하는 작가와 작품이 선정되어야 한다. 다섯째, 한시 텍스트 속의 주요 주제는 ‘離別의 슬픔’, ‘그리움’, ‘봄비의 공덕 찬미와 가는 봄의 아쉬움’, ‘가을의 정취’를 표현한 내용들이 많았다. ‘사랑과 이별’은 가장 보편적인 문학의 주제이고 ‘봄과 가을의 정취’는 좋은 시의 제재이다. 하지만 너무 같은 주제의 시로 편중되게 교과서에 싣는 것보다 학생들에게 미래에 대한 希望이나 높은 포부를 심어줄 수 있는 다양한 주제의 시를 찾아 교과서에 싣는 것이 필요하다. 시인의 마음이 압축적으로 표현된 한시를 읽고 마음을 열어 시인의 삶과 그 시대적 배경을 살펴가며 상상의 날개를 펼치면 한시의 내용과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 한시는 한자와 형식이라는 장벽을 넘어서면 시인의 따뜻한 마음을 느낄 수 있다. 바로 그 순간 한시는 우리에게 새로운 아름다움과 신선한 감동을 불러일으킨다. This study, which conducted analysis of Chinese poem texts published in high school ``Chinese Classics-Ⅰ`` curriculum from the 6th to 2009 revision as well as analysis of such state by form, period/author and theme, aimed to identify their substances, problems and eventually get the implications. Analysis result of Chinese poems published in ``Chinese Classics-Ⅰ`` during curriculum from the 6th to 2009 revision showed findings and implications as below. First, the number of published Chinese poems from Korea and China was 197 pieces with 273 appearances in total. In terms of form of Chinese poems, quatrain with seven-word lines had the largest number with 72 pieces and 110 appearances, followed by quatrain with five-word lines with 69 pieces/91 appearances. So these two forms comprized 141 pieces/201 appearances constituting 73.6% frequency in total, which tells us that this curriculum had too much quatrain. Therefore, the future curriculum must provide more various forms of Chinese poems in ``Chinese Classics-Ⅰ`` texts so that students can learn them. Second, the ranking of poems appeared by form of Chinese poems is as follows. In category of ancient poem, Tao Yan Ming`s Four Seasons ranked top (3 times), in quatrain with five-word lines Jeong Mong-Ju`s Spring (12) ranked top, followed by Menhaoran`s Springtime (7). While, quatrain with seven-word lines had Jeong Ji-Sang`s Songin (Daedong River, 20) on its top, followed by Lee Ok-Bong`s Jasu (9), Wangwei`s Songwoni-jeolansa (7), and verse with five-word line had Lee Yul-Gok`s Seokhwajeong (10) on its top, followed by Tu Fu`s Rain in Spring Night (7). Tu Fu`s Gangchon (5) topped verse with seven-word line. Third, in case of Korea, work-pieces during the Joseon Dynasty appeared with the largest frequency of 113 times (63.5%). In China, those during the Tang Dynasty had the largest frequency of 82 (86.3%). All together, the study found the poems were concentrated on these two periods. So, though there might be outstanding poems at a certain periods, publication in textbooks must consider allocation by the period. Fourth, the author with the largest publication among Koreans was Jeong Ji-Sang (21), followed by Jeong Mong-Ju (16), Lee Ok-Bong (12). Of Chinese authors, Tu Fu (22) marked the top, followed by Li Po (13) and Wangwei (10). Fifth, the main themes of Chinese poems comprized ``sorrow of parting``, ``missing``, ``praise of spring rain and missing pass of spring``, ``autumnal flavor``. However, considering young students who will lead our future society, publication in textbooks may need poems with themes to imbue hopes and high ambitions to them.

      • KCI등재

        한문과(漢文科) 교실수업(敎室授業) 연구(硏究)의 동향(動向)과 과제(課題)

        엄선용 ( Sun Yong Eum ) 한국한문교육학회 2008 한문교육논집 Vol.31 No.-

        이 글을 통해서 연구자는 한문과 교실 수업 연구의 동향과 특징에 대하여 언급하고, 최근에 발표된 한문교육관련 박사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그리고 앞으로 한문과 교실수업 연구를 위해 유념해야 할 것으로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두 한문교육 관련 학회 논문을 보면 엄밀한 의미의 교실수업 연구물의 범주에 넣을 수 있는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이처럼 엄밀한 의미에서 한문과 수업 연구의 동향이 미미하다는 것을 전제한 상태에서 `넓은 의미의 수업 연구`라고 이름 붙일 수 있는 연구물들의 몇 가지 특징을 비판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많은 한문과 수업 연구들이 처방적(prescriptive)이다. 여기서 `처방적`이라는 말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바는 기술적 혹은 해석적 전통의 부재를 말하고자 하는 것이다. 한마디로 우리의 한문과 교실 수업 현상을 심층적으로 들여다보고 그대로 이해하려는 전통이 빈약하다. 둘째, 다양한 수업 연구 전통에 입각한 여러 연구가 수행되지 못하고 있으며 일부 수행된 연구조차도 연구가 갖추어야 할 엄격한 규준을 지키지 못하고 있다. 셋째, 한문과 교실수업 연구는 교실수업 현상을 바라보는 다양한 참여자의 시각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많은 교실수업 연구들이 연구자의 맥락에서 수행되었으며 교실 사태를 만들어가는 교사나 학생의 시각을 드러내는데 실패하고 있다. 많은 교실수업 연구가 외부 연구자의 시각에서 수업 현상에 대한 처방을 내리는데 급급한 나머지, 그 수업이 수업 행위를 하는 교사에게 무엇을 의미하며 그 수업 상황에 참여하는 학생들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질문하지 않았다. 그래서 수많은 한문 수업 방안과 전략에 대한 연구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교실에 대한 이해는 초보적인 수준에 있다. 최근의 한문교육관련 박사학위 연구의 경향은 수업관찰을 바탕으로 하면서 교사와 학생의 소통 장소인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한문 수업에 관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연구방법 면에 있어서도 질적 연구 방법이 사용되어 한문과 교실 수업을 총체적으로 파악하려는 노력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점들은 한문교육관련 연구에서 매우 고무적인 일이라고 생각하며, 이러한 자료를 통해서 한문 교육에 대한 연구의 밑바탕이 되는 한문 수업의 실제에 관심이 더욱 높아지길 기대한다. 그리고 앞으로 한문과 교실수업에서 연구를 위해 유념해야 할 것으로 다음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한문과 교실수업 연구에서 타 학문과 간학문적 수업 연구의 필요성이다. 특히 타학문에서 사용하는 질적 연구 방법론들을 적극 수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한문 교과 현상`을 규명하는 교실수업 연구가 필요하다. 한문과 교실수업 연구는 한문 수업이 이루어지는 교실 상황의 독특성을 관찰하여 그 의미를 드러낼 수 있어야 한다. 셋째, 교실 수업 연구가 실천과 관련하여 유용하고 가치 있기 위해서는 한문교사와 연구자간의 협력체제가 구축되어야 한다. 한문교사가 연구자간에 연구 문제를 정하거나 연구 설계를 하고 자료를 사용할 때 동등한 자격으로 참여하게 될 때 한문교육과 관련된 교실수업에 대한 연구가 진전될 것이다. 이제 한문과 교실수업 연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도 과거에 비하여 많이 발전하였고, 한문교육관련 학위 소지자도 과거에 비하여 많이 배출되는 상황이다. 조만간 한문과 교실수업 연구에서 `현장 없는 현장 연구`의 전통은 일선 현장에서 교육과 연구를 병행하는 여러 교사들의 노력으로 개선될 것을 기대한다. Through this article, the present researcher mentioned the recent tre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classroom lecture for the Chinese classics and presented the case studies focusing on the doctoral dissertations related to the education of the Chinese classics published recently. In addition, the three following suggestions were presented for the future researches in the classroom lecture for the Chinese classics. Firstly, it is needed to research the classroom lecture of other disciplinary courses. In particular, it is required to actively accept the qualitative study methods used in other disciplines. Secondly, it is needed to study the classroom lecture which identifies the `course phenomenon of the Chinese classics`. The research on the classroom lecture of the Chinese classics should be able to reveal the meaning of the situational uniqueness of the Chinese classics classroom lecture by observing it. Thirdly, the cooperative system between the Chinese classic teachers and the researchers should be established in order for the research on the classroom lecture to be effective and valuable in relation to practice. When the Chinese classic teachers are able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processes such as study topic, study design, and data collection on equality with the researchers, the research on the classroom lecture of the Chinese classics can make any meaningful progress. Even though it has been told from the past that the research and the actual field in the education of the Chinese classics are separated, the efforts to overcome such separation has not been properly reflected into the research reality. In addition, it is regretful to think that while the mass media has been raising the issue of `classroom breakdown`, how much effort we have been making to actually look into the classroom lecture of the Chinese classics. Now,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 classroom lecture of the Chinese classics has increased much more than the past and there are many emerging degree holders in the Chinese classics education compared to the past. It is expected that `field study without field` will disappear in the educational research on the Chinese classics with the efforts of many teachers who are performing their education and research in the educational frontline field.

      • KCI등재

        고등학교 한문과 교실수업의 이해

        엄선용 ( Sun Yong Eum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5 한문교육논집 Vol.44 No.-

        한문과 교실수업은 한 시간 동안에 여러 단계로 이행해나가는 어느 정도 단계별 시간사용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한문과 수업의 조직과 구성은 다음과 같다. ‘인사 단계’ 는 교실 전체의 분위기를 정리하고 수업으로 진입하는 길을 열어준다. 또한 ‘전시 학습 확인 및 목표 진술 단계’는 앞에서 배운 내용은 상기하고 교사와 학생 모두가 그날 수업목표를 수행하기 위한 정지작업을 하게 된다. ‘본문 해석하기 교수-학습 단계’는 보통 ⑴ 신습 한자 따라 읽기, ⑵ 본문 따라 읽기, ⑶ 해석하기 절차로 세분하여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정리 및 수업 종료 단계’는 역시 한문과 교실수업의 마무리로서 작용하게 된다. 교실수업은 대화이동을 중심으로 사회적 참여구조가 형성되며, 여러 개의 사회적 참여구조는 ‘본문 해석하기 교수-학습 단계’를 만든다. 그리고 이러한 ‘본문 해석하기 교수-학습 단계’는 한문과 교실수업의 핵심을 이루기 때문에, 한문수업의 대화이동과 사회적 참여구조를 밝힘으로서 한문수업이 지니는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 유형을 깊이 이해할 수 있다. 관찰된 한문수업에서 대화이동 양식의 측면에서 교사에 의한 불특정 다수의 학생에 대한 유도와 학생의 반응이 주가 됨을 알 수 있다. 전체 대화 이동 양식의 약 91%이상이 불특정 다수 학생을 염두에 두고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관찰된 한문 수업의 상호작용은 주로 불특정 학생 전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대화이동 양식과 유도-반응의 단순성이 그 특징이다. 사회적 참여구조(SPS:social participation structure)의 5가지 유형 가운데 SPS-1유형과 SPS-2의 유형이 고등학교 한문과 교실수업에서 자주 발견되지만 나머지 유형은 자주 발견되지 않는 것이다. 한문교사의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한 유도와 학생의 반응 및 한문교사의 특정 학생에 대한 해석하기 질문과 그 학생의 반응이 한문과 교실수업의 전형적인 사회적 참여구조를 형성하는 내용이라 하겠다. 한문과 교실수업 상호작용에서 보여준 핵심은, 주어진 여러 여건 속에서 한문교사에 의한 최적화 행동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최적화라는 도구적 합리성을 추구하는 교사의 행동에는 자아에 대한 반성이나 자신의 수업과 관련된 성찰이 부족하다. 한문교과의 교육은 효율을 추구하는 최적화 행동으로는 만족할 수 없다. 교육은 교실 내의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도 사실이지만, 동시에 학생 개인의 성장을 도와야 한다. 또한 한문수업은 진도 나가기나 시험에 대비가 아니라 한문 교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바로 이러한 점들이 한문과 교실수업의 본질일 것이다. 한문교사는 학교에서 자신의 교수학습 활동을 서로 주고받으며 자신의 수업에서 문제점을 교정할 수 있는 문화가 없다. 학교에서 교사들은 동료교사와 대화를 통해, 자신과 다른 교사의 수업을 관찰하고 서로 반성적인 대화를 나눔으로서 각자의 수업능력을 성장시킬 수 있다. 학교는 이러한 능력향상을 위해 교수학습을 보조하는 환경을 조성해야할 것이다. 이러한 한 가지 방법으로 최근 수업 비평이라는 개념이 부각되고 있다. The classroom class of classical Chinese is characteristic of time use by stage to some extent to be dedicated to some tasks and to move on to the next step after finishing them for a hour. Structure and constitution of the classical Chinese class is as follows: ‘A greeting stage’ is to create an atmosphere of the whole classroom and to open up a way to enter the class. And in ‘an exhibition learning check and aim statement stage’, contents learned in the early part are recollected and all of the teacher and students come to carry out suspension work in order toaccomplish learning objectives of the day. ‘A teaching and learning stage of text interpreting’ is usually composed of procedures of ⑴ Students` repeating reading new Chinese characters after their teacher, ⑵ Students` repeating reading the text after their teacher, and ⑶ interpreting the text. Finally, ‘a summarizing and class ending stage’ comes to perform a function of finishing the classroom class of classical Chinese. Social participation structure is built based on dialogue transition in the classroom class, and several social participation structures create ‘the teaching-learning stage of text interpreting.’ And since this ‘the teaching-learning stage of text interpreting’ forms a core of the classroom class of the subject of classical Chinese, it is possible to deeply understand the types of interactions between the teacher and her students which are created by the classical Chinese class by elucidating dialogue transi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structure of the classical Chinese class. Observed classical Chinese class indicates that the teacher`s inducement towards many and unspecified students and their responses are main constituents in terms of dialogue transition style. We can find a fact that more than around 91% of the whole dialogue transition style is performed bearing many and unspecified students in mind. Therefore, interactions of the observed classical Chinese class is characteristic of dialogue transition style mainly based on all of many and unspecified students and simplicity of inducement-responses. SPS-1 type and SPS-2 type among 5 types of SPS (social participation structure) is often found in the classroom class of the subject of classical Chinese in high school but rest of them are not frequently found. It can be said that the classical Chinese teacher`s inducement with all of the students, their responses, the classical Chinese teacher`s asking specific students to interpret the text and their responses are contents forming typical social participation structure of the classroom class of the subject of classical Chinese.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core of the interactions in the classroom class of the subject of classical Chinese is optimizing behavior by the classical Chinese teacher in given circumstances. However, the teacher` behavior of pursuing instrumental rationality of optimizing lacks in self-reflection or self-examination related to her teaching. Education of the subject, classical Chinese cannot be limited to optimizing behavior of pursuing efficiency. Although it is true that education is performed with all of the students in a classroom, it must help individual students grow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classical Chinese class must try to achieve objectives of the subject, classical Chinese rather than only focusing on regular progress in class or preparing for examinations. These points may be the very essence of the classroom class of the subject, classical Chinese.

      • KCI등재

        기획주제(企劃主題) : 한문과(漢文科) 성취기준(成就基準) 및 성취수준(成就水準)의 내용(內容) 분석(分析)과 적용(適用) 방안(方案) 모색(摸索) ; 기조(基調) 발표(發表) : 한문과(漢文科) 수업(授業) 비평(批評)과 방법(方法)에 대한 탐색적(探索的) 논의(論意)

        엄선용 ( Sun Yong Eum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2 漢字 漢文敎育 Vol.29 No.-

        본 논문은 한문과 수업 문화를 바꾸기 위한 한 방법으로 한문과 수업 비평을 활성화하는 것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한문과 수업 문화는 고립적이고 개인주의적이다. 이로 인해 한문 수업에 대한 소통적이고 생산적인 이야기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기존의 수업 관찰법은 이런 문제를 개선하는데 크게 도움이 되지 못한다. 한문과 수업 비평은 구체적인 수업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수업 개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한문교사의 수업 문화를 개선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필자는 한문과 수업 비평을 위하여 수업 비평의 개념, 방법, 구체적 사례 등을 예시하였고, 한문과 수업 비평이 우리의 학교 수업 문화 속에서 순기능을 하기 위한 제언을 하였다. 첫째, 한문과 수업 비평이 타율적 간섭이 아닌 한문교사 스스로의 필요에 의해 하나의 자발적인 문화운동의 차원에서 전개되길 바란다. 둘째, 한문과 수업 비평은 한 교사를 통해 한문교사들의 보편적인 문제를 읽어내는 것이지 한 교사의 잘잘못을 평가하는 것으로 오해(誤解)해서는 안 된다. 셋째, 한문과 수업 비평의 가능성과 함께 그 한계(限界)도 같이 인식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한문과 수업 비평을 통해 다양한 수업이 존재한다는 점과 한문과 수업을 보는 관점(觀點)의 다양성을 체험(體驗)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한문과 수업 비평의 활성화를 위해서 한문 교과 모임이나 교육청 차원의 실천이 필요하다. 이 논문은 한문과 수업 비평론 정립을 위한 시론적인 논의로 앞으로 한문과 수업 비평의 구체적 사례 축적과 함께 비평론을 이론적으로 정립해야 하는 과제를 남겨두고 있다. 특히 한문교과만이 가질 수 있는 ``한문과 수업 비평``의 독자성, 개별성이 무엇인지 더욱 고민하여 한문과 수업 비평의 이론적 토대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sists that revitalizing the Chinese literature class is necessary as a way of changing its instructional culture. Instructional culture of the Chinese literature class is isolated and individualistic. So, communicative and productive comments on the Chinese literature class have not been made well. And observing classroom lessens of existing classes has not been helpful to improve these problems. Criticism on the Chinese literature class can attribute to improving the instructional culture of Sino-Korean teachers by providing information for class improvement together with depth-understanding on detailed instructions. The writer of this study illustrated concept of criticism, methods, and detailed cases etc for criticism on the Chinese literature class, and made a proposal so that its criticism could do right function in our school class culture. First, this study expects that criticism on the Chinese literature class can be processed to a voluntary culture movement by necessity of Sino-Korean teachers themselves instead of heteronomous interference. Second, criticism on the Chinese literature class should not be understood such like evaluating the right and wrong of certain teacher because it intends to look into universal matters on Sino-Korean teachers through one teacher. Third, limitations of criticism on the Chinese literature class are required to be recognized together with its possibility. Fourth, through criticism on the Chinese literature class, existing various instructions and variety of view points on them will be able to be experienced. Fifth, in order to revitalize criticism on the Chinese literature class, practices from curriculum meetings and dimension of Education Office are required accordingly. This study is a tentative discussion for establishing critic theories on the Chinese literature class, and it leaves tasks of having to set up criticism theologically while accumulating cases of criticism on the Chinese literature class afterwards.

      • KCI등재

        ‘한문Ⅰ’의 고사성어 단원 분석-2007, 2009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엄선용 ( Eum Sun-yong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7 한문교육논집 Vol.49 No.-

        본고는 2007, 2009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만들어진 ‘한문Ⅰ’ 각각 5종, 10종의 고사성어 단원 가운데 단원 구성 요소와 요소들의 배열관계를 세밀하게 분석하는 한편 단원을 각기 어떻게 구성하였고 단원 구성 요소를 어떻게 안배했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앞으로 ‘한문Ⅰ’ 교과서에서 고사성어와 관련된 새로운 단원의 본문 구성은 어떻게 하면 좋을지 3가지 방안을 제시했다. ‘한문Ⅰ’의 고사성어와 관련된 소단원명은 관련된 내용이 대단원명에 포함될 수 있는 제목으로 설정되었다. 아울러 일부 교과서에서는 문종에 맞추어 소단원명이 구성되기도 하였지만, 대다수 고사성어와 관련된 대단원 구성방식은 주제ㆍ소재, 문종, 영역 등이 혼합되어 있었다. 또한 고사성어 관련 소단원 구성의 전개 방식은 반복적, 획일적 배열에 따라 전개되고 있으며, 특정한 전개 원리나 단계를 고려한 소단원 전개 체제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소단원 학습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 절차, 설명이 필요하며 학습 목표를 달성하고 본문에 제시된 제재의 이해를 위한 배경지식을 활성화하는 장치가 세밀히 고안되어야 한다. ‘한문Ⅰ’의 고사성어 소단원 전개 방식은 일반적으로 ‘소단원명ㆍ본문(2면)-본문 이해 및 한문지식(2면)-활용하기(문화)(1면)-평가하기(1면)’의 4단계로 교과서가 대개 6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사성어 소단원 전개 방식 가운데에 가장 핵심인 부분이 바로 본문 배치 방안이다. 따라서 본문에 해당하는 2페이지에 대한 본문 배치 방안으로 ‘1) 고사성어의 유래를 한글로 제시하는 방안’, ‘2) 주제별로 엮어 제시하는 방안’, ‘3) 이야기로 연결되게 제시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meticulous analysis on unit components and its arrangement relations out of each five and ten types of Chinese old idioms in 'ChineseⅠ' published according to 2007, 2009-revised curriculums, and at the same time examined how each unit was organized and how unit components were arranged. And the study suggested three methods regarding how to make new unit compositions related with Chinese old idioms in 'ChineseⅠ' textbooks. Titles of small units related with Chinese old idioms in 'ChineseⅠ' were made to include relevant content in the titles of major units. And some textbooks organized titles of small units in accordance with literary origin, while organization of major units related with Chinese old idioms was mostly mixed up with theme, material, literary origin and domain. Moreover, organization of small units of Chinese old idioms was done in a repetitive and uniform way, and there was no apparent system of organizing and developing small units taking any specific development principle or stage into consideration. The study believes specific methods, procedures and explanations are needed to achieve the learning goal in small units, and learning tools must be carefully designed to activate the background knowledge so that students are able to achieve the learning goal and understand the content contained in the text. Composition of small units of Chinese old idioms in 'ChineseⅠ' textbooks was generally made by six parts with four stages: Title of small units/body text (2 parts) - Text understanding &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s (2) - Application (culture) (1) - Assessment (1). The very key to composition of small units of Chinese old idioms is how to arrange the body text. So, as a method to arrange the body text for two pages, the study proposed methods of '1) suggesting the origin of Chinese old idioms in our language 2) suggesting it by the subject 3) suggesting it by connected storytelling'.

      • KCI등재

        『주역(周易)』 몽괘(蒙卦)의 교육적(敎育的) 탐색(探索)

        엄선용 ( Sun Yong Eum )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2009 漢字 漢文敎育 Vol.22 No.-

        본고는 『周易』의 효용성 가운데 특히 교육의 효용성에 관심을 두고 교육적 관점에서 『周易』의 蒙卦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오늘날 우리나라 교육 실상에 비추어 교사와 학생 양 주체들로 하여금 자신을 되돌아보고 자기의 성찰을 갖게 하여 새로운 방향을 설정하는 데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몽괘의 형상은 산이 있고 그 아래에 물이 있는 꼴이다. 그런데 물은 산에 가리어 숨어있어 분명하지 않다. 따라서 닫혀있고 어린 蒙이 된다. 괘덕으로 말하면 下卦 坎水는 陰이고, 上卦 艮山은 止가 된다. 어린이는 혼자 두면 위험하다. 따라서 이를 어른이 지켜주고 가르쳐 주어야 하며, 또한 어린이는 혼자 멀리 가지 말고 집에 머물러 있어야 하는 것이다. 몽괘는 2陽 4陰卦로써 양효의 剛明함을 蒙師로 삼고, 음효의 사리에 어두움을 童蒙으로 삼았는데, 下坎卦의 주효며 중덕을 가진 九二가 스승이 되고 4음효는 교육을 받는 제자가 된다. 九二가 `강중`의 가르침을 행할 수 있는 좋은 스승이라면 上九는 지나치게 강건하면서 중도를 행하지 못하는 엄한 스승이다. 그리고 네 음효도 각기 그 상황이 다르다. 자질이 지극히 훌륭한 호학군자인 `六五`가 있는가 하면 품성이 단정치 못해 가르치기조차 어려운 `六一`이 있으며, 유치하고 완고하여 무지몽매한 `六四`가 있다. 몽괘는 몽매한 사람을 배척하지 말고 관대히 포용해야 하고, 그들이 정상적인 인생을 개척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동시에 교육과 징벌을 적절히 결합하여 필요한 때에는 엄격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말한다. 몽괘의 육효의 효사에서 각 효가 강조하는 것은 아래와 같다. 初六은 뜻이 바르지 못한 동몽이니 규율을 엄하게 정하고 만일에 그 규율을 지키지 않을 경우에는 벌을 주어야 한다. 관대하게 해주면 동몽은 점점 放逸하게 되어 계몽할 시기를 잃고 스승과 동몽이 함께 수치를 받게 된다. 九二는 剛爻로 음의 자리에 있으면서 거중한데, 이는 양강과 음유가 서로 장단점을 보완하여 `剛中`이 교육할 수 있는 스승을 상징한다. 그러므로 몽매한 피교육자를 포용할 수 있다. 六三은 음효로서 양의 자리에 있어 不中 不正할 뿐만 아니라 `몽괘` 하체의 마지막에 자리하여 지위는 낮으나 中正 剛明한 스승 九二를 타고 넘고, 上九에 빌붙고 있으니 `사리사욕에 눈이 어두워 의리를 저버리고 도리를 벗어나 망령되이 행동한다.`고 할 수 있다. 六四는 음효로 몽매한 효가 된다. 주관적인 기질이 우둔함은 물론 몽매한 몽동으로 시급히 계몽과 교화를 필요로 하는 학생을 상징한다. 六五는 존위에 있으면서도 겸손하여 `몽동`으로 자처하니 진정 호학하는 `군자`의 상징이다. 더욱이 九二와 六五는 서로 정응하고 있어 가장 이상적인 사제 관계의 상징이다. 上九는 높은 자리에 있으면서 지극히 굳세고도 부중하며 호되고 엄격한 방법으로 몽매함을 무섭게 다스리므로 `擊蒙`이라 한다. `격몽`의 방법은 폐단이 생기기 쉬우므로 적당한 수위를 유지하는데 특별히 유의해야 한다. From this writing until now we analyzes an ancient educational ideology which are Quea-sa(卦辭), Hyeo-sa(爻辭) in Mong-Que(蒙卦) from The Book of Changes in the center, Searched educationally about the educational methods. Mong-Que, 64 divination sign middle educational ideologies is expressed most with the divination sign which importantly and thinking `Teaching` and `Learning` the both sides all importantly. With the current point which is the possibility of getting from educational methods the there is a possibility of trying to summarize. First, the student about learning, there must be an passion and a sincerity, teacher with teaching does to be learned or attitude point of view with Problem Solving. Second, the student reason does not question to the teaching of teacher without not to be, the reason right modestly, will accept and will decrease and must equip the studying attitude which knows. Is an attitude which is basic this will do to equip as the student rightly. Three, teacher ability or character and environment of the student, according to necessity must be will be able to execute the instructional method which is various, teacher executes a student education to be and with the control which is strict the education goes to extremes should certainly necessary and does not become. Four, teacher learning with the person who makes a teaching with mission always to do a best in teaching wants the student whom who must teach, do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