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이 과학학습 상황에서 보이는 행동 특성; 과학학습 동기체계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임성만 ( Sung Man Lim ),강원미 ( Won Mi Kang ),위수민 ( Soo Meen Wee ),양일호 ( Ii Ho Ya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2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SLBIS/ BAS(과학학습 행동억제체계/행동활성화 체계)에 따른 과학학습 상황에서의 행동특성을 조사하는 것이 다.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2학년 1학급에서 20명을 추출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 중의 하나인 현상학적인 연구 방법을 따랐다. 연구를 통해 조사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L-BIS에 민 감한 학생들은 과학학습 상황에서``실험 결과에 대한 부정적 반응``,`` 실험 활동에 소극적임``,`` 침묵``,`` 단순 반복 질문``과 같은 행동 특성을 보였다. 둘째, SLBAS에 민감한 학생들은``실험 결과에 대한 긍정적 반 응``,`` 실험에 대한 도전 정신``,`` 학습지 작성에 열심``, ``구체적 질문을 많이 함``,`` 상호 보완적 모둠 실험 선호``와 같은 행동 특성을 보였다. 이 연구를 통해 제한 적이기는 하나 SL-BIS/BAS의 검사결과가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과학학습 상황에서의 행동특성을 예측할 수 있다는 점을 질적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econd graders depending on SL-BIS/BAS (Behavioral Inhibition/Activation System about Science Learning) in science learning situation. For this study, 20 second grade students participated. This study followed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 form of qualitative research. As the results show, students who have a sensitive motivation system to SL-BIS directly expressed their disappointment of the result and easily get distracted in class when they failed in science learning activity. They participated in group work passively, for example, they interacted less in the group or avoided answering questions. Even though the students have a lot of questions that were usually simple, empty or repetitive words, They have within themselves the good will of challenging difficult experiment that was their only expression of passive will, The students have a tendency to be dependent on their friends in an experiment, making it unlikely that they preferred group work from the beginning. Otherwise, students who have sensitive motivation system to SL-BAS endured science learning activity to the end regardless of the negative result. In particular, they were enthusiastically working on home-school materials. When the students succeeded in the experiment, they responded to the cheers and openly expressed their feeling.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achievement. The students have more desire for in-depth activity. Their questions were more progressive, specific and expanded. They showed a strong desire to challenge difficult experiment and preferred to interact with their group members to help each other. Based on the results, they were limited but we could find that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econd grade students in science learning situations can be predicted with a score of SL-BIS/BAS t.

      • KCI등재후보

        영역 특수적인 입장에서의 과학적 창의성에 대한 정의,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

        임성만,양일호,임재근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9 科學敎育硏究誌 Vol.33 No.1

        본 연구는 창의성의 영역 특수적인 입장에서 과학적 창의성을 다룬 논문들을 내러티브 리뷰의 방법을 사용하여 탐색한 것이다. 창의성을 바라보는 2가지 입장 중에서 한 가지인 영역 특수적인 입장은 창의성에 대해 “그 아동이 얼마나 창의적인가?”라는 창의성의 일반적인 입장에서 “그 아동은 어느 영역에서 창의적인가”라는 영역 특수적인 접근방법으로 창의성을 바라보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과학을 바라보았을 때, 과학적 창의성은 어떻게 정의될 수 있으며, 또 어떤 구성 요인들로 이루어졌는가를 탐색해 본 연구이다. 과학적 창의성 관련 논문들에 대한 리뷰를 통해 본 연구는 과학적 창의성은 과학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논리적이고 분석적인 사고를 통해 새롭고 적절한 것을 찾아내는 능력으로 정의할 수 있었으며, 과학적 창의성의 구성 요인은 정의적, 인지적, 환경적 요인으로 나눠 살펴본 결과, 영역 특수적인 관점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차이를 보이는 과학적 창의성의 인지적 요인은 과학 관련 지식, 과학 탐구과정, 문제 발견력, 문제 해결력 등으로 구성되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과학적 창의성에 대한 논의는 보다 과학적 창의성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에 대한 좋은 길잡이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 domain-specificity of the scientific creativity and the component of scientific creativity. Conducted from theoretical study, this study suggests that a domain-specific view of creativity offers a more useful and constructive components of scientific creativity based on the literature associated with the component of scientific creativity. Scientific creativity has a domain-specific component and so there is need to distinguish scientific creativity from creativity in general. As a result, scientific creativity is different from other creativity it is concerned with scientific knowledge, science process skill, creative scientific problem finding and solving and so on. And since scientific creativity is a kind of abilit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rough a scientific creativity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