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OECD의 무대응 비용 관점에서 지하수 등 자연환경 재해의 간접사용가치 및 비사용가치 손상 비용 분석

        안은영,김선근,Ahn, Eun-Young,Kim, Sun Geu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3 자원환경지질 Vol.46 No.1

        OECD(2008)는 무대응 비용(inaction cost의 개념을 제시하여 사용가치와 관련된 직접 금전비용, 간접효과를 포함한 총 금전비용, 무형의 가치를 포함한 총 사용비용, 비사용가치를 포함한 총 사회적 복지비용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환경재의 가치 손상 비용으로 접근하여 지하수, 토양 등의 직 간접사용가치 및 비사용가치의 손상 비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 등 자연환경 가치 분류 및 국내 관련 연구사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OECD(2008) 무대응 비용을 분석하고 국외 다른 실증 분석 사례 및 유럽 토양기능 저하 분석 모형 등과 연계하였다. 지하수 등 자연환경의 질적, 양적 저하에 대한 무대응 비용의 금전적 측정을 위해서는 인체 피해, 물적 피해를 가시화 할 수 있는 자연환경 변화와 인간, 생태계 영향 간의 물리적 연관성을 추정하는 연구가 핵심적임을 확인하였다. OECD(2008) gives the concepts of inaction costs on key environmental challenges including: direct financial costs; total financial costs; total use costs; and total social welfare costs. In analyzing the losses of environmental goods' various values conducted by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ers, this study suggests the value-cost category of OECD(2008) and other studies; and the indirect use and non-use values of groundwater and other natural environment using the concepts of inaction costs. The studies on the damages and their relationships among human, property, and ecosystem are essential to monetary valuation on the qualitative or quantitative degradation of groundwater and other natural environment.

      • KCI등재
      • KCI등재

        향후 30년의 장기적 관점으로 한국과 일본의 미래 지질자원기술 분석

        안은영,Ahn, Eun-Youn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7 자원환경지질 Vol.50 No.5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과 지능정보사회의 미래트렌드에 주목하여 2040~2050년 지질자원기술 관련 분야를 예측할 수 있는 한국과 일본의 과학기술예측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지질자원기술 관련 분야로 지질환경 재해 기술과 에너지 자원 기술 분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한국과 일본의 지질환경 재해 분야 미래기술은 기반지질, 지구물리학적 지질재해, 기상조정 $CO_2$ 저감, 환경재해(방사성 폐기물 처분 포함), 스마트에코시티(자급자족 도시)로 제시된다. 에너지 자원 기술 분야 미래기술은 핵융합 발전이 2050년 정도에 실현되며, 2040년 정도에는 소행성 등 우주자원 개발 및 우주유인기지 구축이 실현될 것으로 보았다. 또한 2040년에는 신재료 신자원기술이 적용되어 기존의 에너지자원과 광물자원을 대체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은 지능정보사회 관점을 대대적으로 도입하여, 지질자원 분야 관련 분야에서도 새로운 관점의 기술들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analyzing the results of science and technology forecasts from Korea and Japan for 2040-2050. Future geological environment and disaster technologies are presented, such as base geology, geophysical geological disaster, weather adjustment, $CO_2$ reduction, environmental disaster, and smart ecocity developments. For the future technologies in energy and resources technology, space resources development and nuclear fusion will be realized by 2040 and 2050. Moreover, new material and resource technologies will be applied to replace existing energy and mineral resources by 2040. Japan has introduced intelligent information viewpoints and presented new technologies.

      • KCI등재

        디지털 트윈, 환경 모니터링 등 디지털·그린 뉴딜 정책 관련 지질자원 유망기술·시장 분석

        안은영,이재욱,배준희,김정민,Ahn, Eun-Young,Lee, Jaewook,Bae, Junhee,Kim, Jung-Mi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20 자원환경지질 Vol.53 No.5

        4차 산업혁명(industry 4.0)으로 제시되는 지능정보사회 전환 정책 이후, 정부는 2020년 한국형 뉴딜 정책으로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 정책을 발표하였다. 본 연구는 해당 정책을 분석하고 지질자원 분야 공공연구기관의 정부출연 R&D사업을 분석하였다. 해당 사업 중에서 유망기술 분야로 디지털 트윈, 환경 모니터링에 주목하여 유망기술·시장 분석을 실시하였다.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의 '데이터댐'과 관련하여 지질자원 기술 분야에서는 실감기술(AR/VR)을 적용한 디지털 지질자원 콘텐츠 개발, 공공데이터 구축·공유 시스템 개발이 가능하다. '1, 2, 3차 전산업으로 5G, AI 융합 확산'에 대응하여 스마트 마이닝, 디지털 오일 필드 등 ICT와 융합한 지질자원기술의 산업적용이 필요하다. '디지털 트윈'과 관련하여 정부는 도심지 등 주요지역 3D 지도 구축을 제시하고 있다. 지질자원 기술 분야에서는 안전한 국토/시설 관리를 위한 3차원 지도 및 사물인터넷(IoT) 시스템 개발이 가능하다. 그린 뉴딜 정책으로 정부는 자원순환을 포함한 녹색산업 기술개발, CCUS 통합실증, 전기차·수소차 보급 확대를 제시하였으며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관련 연구사업 수행 및 국내 에너지 저장광물 개발 연구를 착수했다. 디지털 트윈 관련하여 논문 및 국제 시장분석기관에서 석유가스분야를 제시하고 있으며 광산자동화, 디지털 지도 측면에서도 많은 진전이 일어나고 있다. 디지털 트윈어스(Digital Twin Earth) 구축 또한 지질자원 분야의 유망 기술 분야이다. 디지털 트윈, 환경 모니터링 관련 지질자원 연구 분야는 데이터 분석, 시뮬레이션, 인공지능·기계학습, 사물인터넷(IoT)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관련 센서 및 컴퓨팅 소프트웨어/시스템 등 민간 회사와의 협업이 중요하다. After introducing the industry 4.0 policy, Korean government announced 'Digital New Deal' and 'Green New Deal' as 'Korean New Deal' in 2020. We analyzed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s research projects related to that policy and conducted markets analysis focused on Digital Twin and environmental monitoring technologies. Regarding 'Data Dam' policy, we suggested the digital geo-contents with Augmented Reality (AR) & Virtual Reality (VR) and the public geo-data collection & sharing system.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support the smart mining and digital oil fields research for '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5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convergence into all industries' policy. Korean government is suggesting downtown 3D maps for 'Digital Twin' policy. KIGAM can provide 3D geological maps and Internet of Things (IoT) systems for social overhead capital (SOC) management. 'Green New Deal' proposed developing technologies for green industries including resource circulation, 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 (CCUS), and electric & hydrogen vehicles. KIGAM has carried out related research projects and currently conducts research on domestic energy storage minerals. Oil and gas industries are presented as representative applications of digital twin. Many progress is made in mining automation and digital mapping and Digital Twin Earth (DTE) is a emerging research subject. The emerging research subjects are deeply related to data analysis, simulation, AI, and the IoT, therefore KIGAM should collaborate with sensors and computing software & system companies.

      • KCI등재

        제주도 청정 대용량 지하수개발 연구사업의 경제적 효과분석

        안은영,김성용,Ahn, Eun-Young,Kim, Seong-Yon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9 자원환경지질 Vol.42 No.2

        본 연구는 지질자원 연구개발 분야에서 경제적 효과 분석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지 않은 분야인 지하수자원 분야의 연구개발 사업을 대상으로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제주도 청정 대용량 지하수 개발사업 중 2004년에서 2007년 기간에는 5년간 44.70억원(2006년 가치, 5.5% 할인율 적용)의 연구개발비용을 지출하여 제주도 지하수 부존량 산정, 대용량 지하수 개발 가능 지역 선정 및 개발 타당성 제시 등의 연구가 실시되었다. 본 사업의 편익요소로 대용량(2만톤/일 이상) 지하수 부존지역 깨소 설정으로 3,600만톤/년의 제주도 지하수 개발지역을 확보한 것으로 보았다. 이에 지하수개발시업의 편익에 연구개발 기여도(9.97%)를 적용, 연구개발투자에 대한 경제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존의 경제이론 및 결과자료(가상가치평가, 생산기석도)와 시장자료(수입단가, 시설용량)를 기초로 한 지하수개발사업의 편익을 도출하고, 사업의 실행화 시점 및 할인율의 변동에 따른 영향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상수도 및 병입수 상업화로 연간 총 1,223만톤의 지하수 이용은 2,934억원의 가치로 나타났으며, 연구개발 투자효과는 2006년 순현재가치(NPV)로 30년간 총 136.59억원, 비용대편익비율(B/C ratio)은 4.06이며 내부수익율(IRR)은 22.74%로 나타났다. 사업화 시행 시점을 기존 10년 후에서 5년 후로 앞당기는 경우 추가적인 55.80억원의 편익이 산정되며, 사업의 할인율이 1% 상승하는 경우 역시 166.73억원 편익이 발생하여, 순편익 121.82억원, 비용편익비 3.71로 연구개발사업 타당성을 확보한다. For economic impact analysis on a R&D project of high-yield groundwater development in Jeju conducted by KIGAM from 2004 to 2007, benefit/cost ratio(BCR), net present value(NPV), and internal rate of return(IRR) were calculated by contingent valuation method(CVM), production function analysis, domestic water market analysis and technology factor analysis. Measurable direct impact parameters among the major outputs of this R&D project consisted the estimation 4 high-yield and high mineral groundwater reserve in Jeju. Annual use of the reserve by piped water and bottled water was estimated as 12.23 million ton and its monetary value was calculated as 293.4 million dollar in 2006 year value applied of 5.5% discount rate. Economic impact of this R&D project in NPV of year 2006, with applying a discount rate of 5.5%, was identified and estimated as 13.66 million dollar in NPV, 4.05 points in BCR, and 22.74% in IRR, respectively. Additional early launch benefit was 5.58 million dollar. Even increased of the 1% discount rate, NPV of this R&D project was also positive as 12.18 million dollar and BCR was 3.71.

      • KCI등재

        연구성과(outcome) 관점에서 지질지원 분야 연구개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방법론 적용

        안은영,김성용,Ahn, Eun-Young,Kim, Seong-Yon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6 자원환경지질 Vol.39 No.6

        본 연구에서는 사적 이익을 추구하는 기업의 연구개발이라기 보다는 민간이 담당하기 어려운 분야인 기초 원천, 공공복지 및 공유성 기술(Generic Technology)의 특성을 가지는 지질자원분야의 특성에 주목하여, 공공연구개발 및 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방법론을 살펴보고 연구성과(outcome)의 관점에서 지질자원 분야의 경제적 파급효과의 적용 방법론 을 제안한다.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방법론으로 먼저 기존에 공공사업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시행되고 있는 비용편익분석 방법론을 살펴보고 연구개발사업의 경제성 분석 이론으로 전통적인 경제 이론에 기반한 방법과 가치평가이론을 살펴보았다. 지질자원 분야를 포함한 공공연구개발의 경제성 파급효과 분석을 위해서는 계량화 할 해당 연구개발의 성과(outcome)를 도출해야 한다. 이를 위해 연구성과 흐름지도(Input-Output-Outcome Roadmap)의 작성을 제안한다. 그리고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방법론을 적용하기 위해서 연구개발의 성과물인 이론 및 방법론의 가치직접 산정하는 방법과 실행 사업과의 연계를 통해 간접적인 방법의 적용 방법론의 고려가 필요하다. 실행 사업과의 연계를 통해 간접적인 방법은 연구개발의 결과 사업이 시행된다는 가정 하에 이후 실시되는 사업으로 발생하는 편익의 일정분으로 연구개발의 편익을 산정하는 방법과 연구개발의 실시 유무와 관계없이 이후 개발사업이 진행된다는 가정하에 사업 시 발생하는 비용의 저감분 및 편익의 증가분으로 연구개발의 편익을 산정하는 방법으로 구분된다. Focused in the characteristic of R&D on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as basic research area, we survey on methods of public works' economic impact analysis including cost-benefit analysis and resent technology evaluation methods and suggest apply-methods to conduct economic impact analysis on R&D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To conduct economic impact analysis on the basic research area, it need to identification research's out-come not just output. In this perspective, we propose a method, Input-Output-Outcome Roadmapping to identify the outcome of R&D and show the relation of input, output, and outcome of R&D. Furthermore, noticing the different effects of R&D from public works, we directly evaluate the use-value of the academic theory or geological maps through Contingent Valuation Method(CVM) and others developed as evaluation methods on environmental goods. In indirect application methods, it can evaluate the partial of the pubic works' benefit with assuming R&D factors if R&D is a part of public works. If not, we evaluate the R&D's value as reductions of costs or additions of benefit with finding related public works.

      • KCI등재
      • KCI등재

        논문 질적평가를 통한 KIGAM 세계수준 후보연구실 기술수준 평가

        안은영,Ahn, Eun-Youn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4 자원환경지질 Vol.47 No.3

        본 연구에서는 지질자원 분야 연구개발 수월성을 제시할 수 있는 평가방법인 계량서지학(Bibliometrics)의 SCI논문 분석을 통해 질적평가 지표를 제시하고, 이를 KIGAM의 6개 세계수준 후보 연구실의 기술수준 분석에 적용했다. Heo et al. (2008), Cho (2013)에서 제시되었던 표준화된 순위보정 영향력 지수(mrnIF)를 연구수월성 지표로 활용하였다. 2012년 편당 IF는 희유자원활용 분야 KIGAM 연구실이 가장 높았으나 순위(position) 지수 및 표준화된 순위보정 영향력 지수(mrnIF)는 지하수(최고순위 적용 position/mrnIF), 자원탐사개발(평균순위 적용 position/mrnIF) 분야가 제일 높게 나타났다. 시계열 분석 결과 표준화된 순위보정 영향력 지수(mrnIF)는 지하수 분야 연구실이 2009년, 2011년 실적이 월등이 좋으나 타년도의 경우 도시광산 및 자원탐사개발 분야 연구실이 우수한 실적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수월성 지표로 전체 게재논문 중 표준화된 순위보정 영향력 지수(mrnIF)가 80 이상인 비율 및 90 이상인 비율로 비교한 결과, 2011년의 경우 지하수 분야 연구실이 가장 우수하였으나 다른 연도의 경우 지표별로 다른 순위를 보여 가장 우수하다고 보기 어려웠다. Cho (2013)의 최고등급 연구수월성 지표인 90 이상 논문 비율 20% 이상을 도시광산 분야 연구실이 만족하고 있으며 지하수 분야 연구실은 평균순위를 적용한 2010년을 제외하고 만족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양적인 논문 수 뿐 만 아니라 논문의 질적 분석을 통해 해당 연구실의 기술수준을 비교할 수 있었다. 세계 수준의 연구실이 되기 위해서는 양적인 SCI 논문 수의 확대 뿐 만 아니라 논문의 질적 향상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For technology level assessment of KIGAM World Class Laboratories (WCL) candidates, bibliometric and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ir research papers listed on the SCIE database during 2009-2012. For the six research areas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a research excellence indicator was applied using a Modified Rank Normalized Impact Factor (mrnIF), which was introduced by Heo et al. (2008) and Cho (2013). The KIGAM research department in rare metals utilization had the highest score for Impact Factor (IF) per paper in 2012 but the groundwater department or the exploration geophysics department came first based on the position and the mrnIF. Applying the mrnIF, the KIGAM research department in groundwater achieved excellent results in 2009 and 2011 and the urban mine department or exploration geophysics department came first place in other years. In the groundwater area, the percentage of research papers over 80 or 90 mrnIF, using Cho (2013)'s research excellence index, was the highest in 2011. The Cho (2013)'s excellent research indicator, 20%, the ratio of over 90 mrnIF was matched in the urban mining area for the whole research period, 2009-2012, and in the groundwater area for several years except 2010. Qualitative analysis of research papers can show the technology level of research departments. KIGAM World Class Laboratories (WCL) candidates should focus on increasing the quality and the quantity of their research papers.

      • KCI등재

        임무중심형 종합평가에서 지질자원 분야 출연연구기관의 연구개발 우수성 평가지표 연구

        안은영,김성용,이재욱,Ahn, Eun-Young,Kim, Seong-Yong,Lee, Jae-Wook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6 자원환경지질 Vol.49 No.4

        The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MSIP) introduced its new Mission Oriented Evaluation System (MOES) for government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s and Government Supported Research Institutes (GSRI) on science and technology in 2013. The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 is the first MOES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S&T) GSRI, that has research divisions focusing on geoscience and geological surveys, mineral resources extraction and utilization, petroleum extraction and marine mineral research, and geological applied and environment research. In appling the final evaluation of MOES on KIGAM, we found difficulty classifing the concepts of research excellence and risk (innovativeness) in guidelines of Research Evaluation Indicators (REIs) of MSIP. We have develop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dicators that can present research excellence and risk (innovativeness) through the KIGAM World Class Laboratory (WCL) strategy and related studies, innovative research and development guidelines of MSIP (2013a) and honorable R&D failure guidelines of MSIP (2013b). We have applied our developed REIs in KIGAM which handles basic research, applied and development research and public services. Therefore, our developed REIs can be effectively applied in every S&T GSRI. 미래창조과학부는 2013년부터 과학기술분야 출연연구기관 및 부처 직할 연구기관에 대해 임무중심형 평가를 도입하였다. 지질학의 기초과학 연구에서 자원개발 활용의 응용 개발연구, 지질 환경 자원정보 제공 및 지질박물관 운영 등의 공공서비스 제공을 수행하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2013년 과학기술분야 출연연구기관 처음으로 임무중심형 평가를 도입한 기관이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종합평가를 위해 미래창조과학부의 과기분야 출연연구기관 임무중심형 종합평가 지침(MSIP, 2015a)을 분석한 결과, 지침의 연구개발 성과 우수성 평가지표에서 질적 우수성과 도전성 혁신성을 구분하는 세부 방법론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 출연연구기관 임무중심형 종합평가에서 연구개발 성과의 우수성을 평가하기 위한 세부 지표를 제시하였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세계수준연구실 국제성 평가지표, 미래창조과학부의 혁신도약형 R&D사업 추진 가이드라인과 연구개발 재도전 기회제공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활용하여, 연구결과의 질적우수성에서 양적 및 질적 평가지표, 목표도전성에서 연구개발 리스크 및 혁신성 지표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지표는 기초연구에서 응용 개발연구 및 공공서비스 제공을 하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적용되었으므로, 이후 과학기술 출연연구기관 전반에도 적용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

        신정부 국정과제 및 지질자원 분야 R&D 정책 방향 분석

        안은영,이재욱,박정규,Ahn, Eun-Young,Lee, Jae-Wook,Park, Jung-Kyu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3 자원환경지질 Vol.46 No.5

        신정부 출범과 함께 박근혜 정부 140대 국정과제가 발표되었으며 미래창조과학부, 산업통상자원부, 해양수산부, 국토교통부, 환경부 등의 정부부처 또한 업무계획을 발표하였다. 정부 정책의 변화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연구개발을 추진하는 것은 공공 연구개발 기관의 주요 임무일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신정부의 R&D 정책 변화와 지질자원 관련 정부부처 R&D 정책 방향 및 전략 계획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일자리 중심의 창조경제와 안정 통합의 사회 구축을 위해 창조경제 생태계 조성, 창의와 혁신을 통한 과학기술 발전, 융합확산을 통한 성장동력 창출 및 안정적 에너지 시스템 구축, 환경창조산업 육성, 국민이 행복한 국토 창조를 실현하고자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질자원 분야에서도 원천기술/융복합기술을 중심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미래 환경변화 트렌드와 고객 니즈에 부합하는 창의적 과제 발굴이 요구된다. With the advent of a new Korean government, a new national agenda (140 items) was reported. Additionally, Work Plans of the executive bodies were also released, including the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MSIP);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MOTIE);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MOF); an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MOE);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For government-supported research institutes, it will be important to watch and analyze the changes in the government's primary policies and strategic goals. In this paper, we analyzed new governmental research and development (R&D) policy with respect to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technolog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xecutive bodies emphasized, for the job creating 'creative economy' and the 'safety and integration society', the establishment of the creative economy;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based on creativity and innovation; creation of new growth engines by fusion and diffusion; construction of stable energy systems; promotion of environmental industry; and creating satisfactory land services. In the area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technology, it is time to search for a new, creative, and interagency fusion R&D contents to meet the needs of the public and boost its national competitiv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