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여성의 먹거리 사회인식에 따른 식생활 특성

        안윤숙 ( Yun Sook An ),정혜경 ( Hae Kyung Chung ),김흥주 ( Heung Ju Kim ),이윤경 ( Yoon Kyung Lee ) 대한가정학회 2016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4 No.4

        This study analyze factors influencing the dietary life of Korean women. This study analyzed 653 women aged 19 (and over) in Korea using materials developed by Social Sciences Korea Food Sustainability Study Group in 2015. As a result, in dietary life characteristics, females with higher education in their 40s and 50s and with a high income level, married women, and women thinking are subjectively healthy and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other groups. Next, a correlation analysis i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dietary life. The results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all variables, and a high correlation in the sales recognition of homegrown products (r =.384), the recognition of a food environment (r =.349), the recognition of food welfare (r =.325), and the recognition of food safety (r =.322). Factors that influence dietary life are extracted and the causal relationship is verifi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which the dependent variable is dietary life. In a regression model of dietary life, the researcher finds the trend that explanation power increases by models that the variable group is added in an individual model (R 2 is changed from .090 to .215 and from .250 to .273). Subsequently, age, level of education, recognition about value of organic agricultural product, recognition about the sales of homegrown products, recognition of food environment, recognition of food safety, and recognition of food insecurity are factors that influence the dietary life of women.

      • KCI등재후보

        소년보호처분의 문제와 대안

        안윤숙(An, Yun-sook)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3 No.2

        최근 청소년범죄는 연령이 낮아지고 재범률이 높아지고 있다. 이는 그동안 한국의 소년사법제도와 청소년복지가 소년범죄자의 교정, 재사회화를 위해 펼쳐온 정책과 프로그램들이 효과적이지 못했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것이다. 이에 대한 선진소년사법국가에서는 사회 내처우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고, 중간시설, 교육원, 중간훈련소 등의 중간처우시설들이 소년들의 올바른 사회복귀 지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보호처분은 중간처우의 활용도가 매우 낮고 대부분은 사회 내 처우와 시설 내 처우로 양립하고 있다. 사회 내 처우는 방임의 문제를 가지고 있고, 시설 내 처우는 낙인의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중간처우에 속하는 소년보호위탁(6호)처분을 활성화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서 보호처분의 내용과 처리실태를 파악하여 문제점을 검토하고 보호처분이 가지고 있는 원래의 의미를 되살릴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였다. Recently, juvenile offenders’ ages lower, but re-offense rate rises. It let us know that the policies and programs that Korean juvenile juridical system and juvenile welfare carried out for juvenile offenders’ remediation and socialization were not effective so much. So, advanced juvenile juridical countries lay an emphasis on social treatment than before. Interim treatment facilities such as interim facilities, educational institutes, and interim training centers make an effort to assist in their return to society without problem. But in protection disposal Korea doesn’t use intermediate treatments so high, classified with that in society and that in facilities. Treatment in society has a problem of neglect and treatment in facilities doesn’t overcome the problem of branding iron. So, this study suggested that Korea has to vitalize juvenile protection trust disposal(No.6) belonging to interim treatment. This study grasped the contents of protection disposal and real actuality of disposal, checked out problems, and suggested alternatives to regain the original meaning that protection treatment had.

      • KCI등재

        소년범의 재범방지를 위한 위탁보호위원제도(1호 처분)에 관한 연구

        안윤숙(An Yun Sook) 한국교정복지학회 2015 교정복지연구 Vol.- No.39

        소년범죄의 문제는 우리사회가 안고 있는 심각한 사회문제 중 하나로 이들을 잘 교육하고 보호해서 재 비행을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소년사법에서는 보호처분제도를 두고 있다. 보호처분은 1호처분에서 10호처분까지가 있다. 이 중에서 이 연구에서는 1호처분에 집중하여, 감호를 위탁하는 소년위탁보호위원제도에 대해서 그 실태와 특성을 파악하여 문제점을 진단하고,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신병불인수 위탁보호위원제도와 신병인수 위탁보호위원 제도 둘 다 태생적으로 가지고 있는 문제들이 있다. 재정의 열악함, 보호위원 간의 네트워크와 협력, 순수 자원봉사자의 참여 제한, 사후보장의 어려움 등이 문제점으로 발견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네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는 국가의 무관심으로 특별한 지원체계를 가지지 못하고 있다는 점, 둘째는 다양하고 복합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는 보호소년을 케어하고 교육하기 위해서는 다기관협력으로 이루어져만 가능하다. 이때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전문실천은 사례관리이다. 셋째는 소년보호위원들과의 협력과 파트너십을 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되어야 하는데 법원의 관리감독을 받기 때문에 협의회 기능이 제대로 작동을 하지 않고 있다. 때문에 이들 간의 의사소통을 증진할 수 있는 협의회 기능을 되살려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넷째는 보호소년의 사후보장을 위한 사회 안전망을 구축해야 한다. 부모가 없거나 가정적으로 열악한 환경에 있는 보호소년의 경우 대학에 들어가거나 취업을 하기 전까지는 지속적인 보호가 필요하다. 이렇게 개선될 때 보호소년은 비행에 대한 잘못을 반성하고, 책임을 다해서 사회로 복귀하면 재 비행을 하지 않고 건강한 청소년으로 성장할 수 있다. 때문에 국가의 노력과 사회적 지원이 충분히 이루어져 한다. As juvenile delinquencies problem is one of the serious social problems that our society fac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ducate them well and prevent them from repeating the delinquency again. For such measures, there is protection disposition system in the juvenile act. The protection disposition have no. 1 disposition to no. 10 disposition. This study is focused on no. 1 disposition and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 and reality of the juvenile foster protection member system that consigns the custody and diagnosed the problems and tried to figure out the efficient operation method. As a result, the two systems that are foster protection member system without taking in the offender under protection and foster protection member system taking in the offender under protection both had inherent problems. Many problems such as poor finances, network cooperation between protection members, participation limits of volunteers(who have purpose in the volunteering itself), difficulties in post-guarantee and such. This study suggested 4 solutions to improve such situation. Firstly there is no special supporting system due to nation's ignorance, secondly multi cooperation between many organization is needed to care and educate juvenile offenders with various and complex problems. The most important role at this time in professional practice is the case management at this time. Thirdly, there should be system to cooperate and make partnerships with the juvenile protection members but the council function is not working well by receiving supervision by the court. Therefore there is the need to revive the function of the council that could increase their communication. Fourthly, there should be social safety net established to post-guarantee the juvenile offenders. In case of juvenile offenders that is in poor environment in the family or does not have parents, there is continuous protection before the juvenile offenders goes to the university or get a job. By such improvements the juvenile offenders can regret their faults on the delinquencies they have caused and they could grow as healthy teenagers with out repeating delinquency again when coming back to the society. Therefore there should be enough among of effort of the nation and social support.

      • KCI등재

        시설보호 비행청소년의 사회복귀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안윤숙(An Yun Sook),박길태(Park Kill Tae) 한국교정복지학회 2016 교정복지연구 Vol.- No.43

        이 연구는 시설보호 비행청소년의 증가와 재범방지를 위해 입소 전 생활(또래· 부모·학교관계), 입소 후 생활(구성원과의 관계·공동생활·시설만족), 교육프로그램, 사회적자원 등에 대한 비행청소년의 경험과 생각이 사회복귀 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양적연구방법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대상은 보호처분 중 6호처분을 받아 아동복지시설에 위탁되어 있는 비행청소년 256명이었다. 먼저,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하였다. 남자가 70%이상이었고, 학교를 다니지 않는 17세 이상이 많았다. 친부모와 함께 동거하는 비행청소년보다는 편부모나 양부모와 함께 사는 비행청소년이 72.9%였고, 이들의 67.3%는 저소득층에 속했다. 3범이상의 비행전력을 가지고 있는 비행청소년이 50.8%였다. 다음으로 독립변수와 사회복귀 의지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행동변화(r=0.469), 사회적지지(r=0.433), 특별교육(r=0.375), 가족관계(r=0.368), 또래관계(r=0.322), 지역자원활용(r=0.284), 구성원관계, 시설만족(r=0.284), 직업훈련(r=0.261), 교과교육(r=0.257), 집단상담(r=0.215), 생각변화(r=0.140) 순으로 사회복귀 의지와 관계가 있는 변수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복귀 의지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알아보기 위해서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개인모형에서 변수들이 추가되는 모형별로 설명력이 증가하는 추세를 발견할 수 있었다(R2(수정)가 0.017에서 0.199(사회모형), 0.339(시설모형), 0349(교육모형) 그리고 0.383(자원모형)으로 변화). 사회복귀 의지에 가장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행동변화였다. 다음으로 부모관계, 또래관계 변수였다. 하지만 성별에서 여자와 동거가족에서 편부모는 모든 모형에서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비행청소년의 개별욕구와 특성에 맞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대인관계를 회복할 수 있는 프로그램개발, 사회적지원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experiences and thoughts of delinquent juvenile protected by facilities such as relationships with peers, parents, and school relations before entering facilities and relationships and cohabitation with members of the foster care, facilities satisfaction, social resources and training after entering facilities affect on the rehabilitation of delinquent juvenile in order to prevent recidivism.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for this study w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6 people that are entrusted to Juvenile welfare facilities under the protection of the No. 6. First, the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More than 70% were men and most of them were over the age of 17not attending school. The 72.9% of delinquent juveniles were living with single parent or foster parents rather than living with biological parents. Also, 67.3% of them belonged to low-income families and 50.8% of them had more than 3 times delinquent history.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rehabilitation recognition .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awareness of returning to society were changes in behavior (r=0.469), social support (r=0.433), special education (r=0.375), family relations (r=0.368), peer relationship (r=0.322), regional resource utilization (r=0.284), a member relations & facilities satisfactory (r=0.284), vocational training(r=0.261), curriculum Education (r=0.257), group counseling (r= 0.215), thought change (r=0.140) in orderl. Finally,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rehabilitation recognition. As a result, the tendency to further increase the explanatory power for each model was found from individual model variables. R2 (revised) is changed to 0.199 (social model in a 0.017) 0.339 (facilities model), 0349 (teaching model) and 0.383 ( resource models).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that affect the rehabilitation was behavioral change. Next variables were parent relationships and peer relationships. But the female in gender and the single-parent in living family were variables to affect negatively all models. Based on these results,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 optimized to individual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juveniles, the development program to recover social relations and interpersonal education programs by utilizing social support were proposed in this study.

      • KCI등재

        보호소년(6호처분) 위탁 아동복지시설의 운영특성 연구

        안윤숙(An Yun sook),김흥주(Kim Heung ju)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5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6 No.4

        이 연구의 목적은 6호 처분을 위탁하는 새로운 위탁시설의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한국의 6호 처분 위탁시설의 운영현황과 특성, 그리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위탁시설의 운영특성을 인력체계, 전달체계, 관리체계, 지역자원연계, 교육프로그램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위탁시설은 몇 가지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아동복지법상의 인력규정을 따르다 보니 전문인력이 부족하였고, 둘째,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셋째, 대규모의 보호소년을 보호하고 있어 이탈과 탈주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넷째, 위탁시설에서는 가족과 사회, 학교관계를 회복할 수 있는 별도의 프로그램은 갖추지 못하고 있다. 이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력조직의 효율화를 위해서 아동복지법의 개정을 해야 하고, 둘째, 재정지원을 위해서는 전달체계에 의존하지 말고 협동조합방식의 소규모 위탁시설을 구축할 것과, 셋째, 관리체계의 효율성과 지역자원연계를 위해서 폐쇄적인 시설을 지양하고 개방시설로 전환할 것, 넷째, 6호 처분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회복에 초점을 맞춘 프로그램의 도입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As a basic study to establish the model of new commissioned institutions for juvenile offenders with the level6 correctional treatme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rovement measures by understanding the current operational status,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the level6 correctional treatment commissioned institutions in Korea. Th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commissioned institutions were analyzed after dividing them into organizational operation, transmission system, management system, local resource connection, and educational program. In the results, the commissioned institutions had several problems. First, it was lacking in professional manpower as following the manpower regulations of the Child Welfare Act. Second, it was experiencing financial difficulties. Third, there was a problem of breakaway and escape as a large-scale juvenile offenders were protected. Fourth, the commissioned institutions did not have additional programs to recover relations with family, society, and school. The improvement measures can be suggested like below. First, the amendment of the Child Welfare Act was suggested for the efficiency of manpower organization. Second, the establishment of small-scale commissioned institutions based on cooperative association was suggested, instead of depending on the transmission system for the financial support. Third, the change from the closed institutions to open institutions was suggested for the efficiency of management system and the local resource connection. Fourth, the introduction of programs focusing on the recovery was suggested, by considering the specialty of the level6 correctional treatment.

      • KCI등재후보

        학교폭력 예방 및 대처를 위한 학교사회복지의 실천과제

        안윤숙(An, Yun-sook),김흥주(Kim, Heung-ju)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4 No.2

        이 연구는 학교폭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학교사회복지의 접근 관점과 사회복지사에 의한 전문적인 개입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최근 들어 학교폭력 문제가 심각해지자 정부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학교폭력 근절을 위한 종합대책을 마련하였다. 이 대책은 과거에 비해 예방과 교육을 강조하고, 피해자에 대한 즉각적 조치를 취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진일보한 측면이 있다. 그러나 여전히 처벌 지향적이며 사후 개입의 성격이 강하고, 지역사회와 적극적으로 연계하여 전문서비스를 제공하기가 어려운 한계가 있다. 학교사회복지의 활용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첫째, 학교폭력 대책이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폭력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접근 관점의 변화가 필요하다. 사회복지의 생태체계적 접근과 사례관리 기술은 여기에 매우 유용하며 효과적이다. 둘째, 최근의 학교폭력은 원인이 복합적이고, 유형이 다양하기 때문에 전문가의 개입이 필요하다. 학교사회복지사는 다양한 사회복지 실천기술을 이용하여 학교체계에 개입하는 전문가이기 때문에 학교폭력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학교폭력 대응에 사회복지 접근 관점이나 실천기술이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학교 현장에서 학교사회복지의 필요성에 대안 인식이 부족하고, 사회복지사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가 보완되어야 학교폭력 문제에 본질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rgues that in order to deal effectively with school violence, school social work approach should be considered and social workers' professional intervention is required. As school violence is recently getting severe, the government has prepared a comprehensive countermeasure to eradicate it. Compared to the previous countermeasures, it not only puts an emphasis on the prevention and education of school violence but it also presents ways to provide instant help to victims. However, it is still punishment-oriented and of post-intervention. Besides, it has a limit in providing professional services in association with the local society. The application of school social work can resolve these problems. First, there is a need to change the perception and perspective on violence in order for the countermeasure of school violence to be effective. The ecological system perspective and case management of social work are very useful and helpful to it. Second, recent school violence has various causes and forms, which requires the intervention of experts. School social workers are specialists who can cope actively with school violence by using a lot of practical social work skills. However, the practical skills and approaches of social work have not yet been properly used. Schools have little understanding of the necessity of school social work, nor do they have systems to actively make use of social workers. These problems should be first solved in order to deal with school violence effectively.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경제의 역할과 과제

        안윤숙(An Yun Sook),김흥주(Kim Hung Ju) 한국지역사회학회 2019 지역사회연구 Vol.27 No.4

        최근 들어 한국의 복지환경이 크게 변화하면서 지역사회복지와 사회적경제가 주목을 받고 있다. 이유는 세가지다. 첫째, 사회적경제 조직은 국가와 시장이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들에 혁신적으로 대처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둘째, 지역의 일자리와 소득을 증대시켜 자원이 지역에서 선(善)순환하는 지역순환의 복지체제를 만들어간다. 셋째, 사회적경제 조직은 다중 이해관계자들의 협동과 호혜를 통해 지역사회에 필요한 사회서비스의 공공성(publicness)을 실천한다. 이 연구는 사회적경제 조직체 중에서 경제적 가치보다 ‘사회적’ 가치에 초점을 두고 활동하는 사례들을 검토하여 지역중심의 사회복지실천에 사회적경제가 어떻게 기여하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사회적협동조합은 공익적 경제활동과 제도적 지원, 그리고 공동체 돌봄 활동을 통해 사회서비스의 공공성을 실현하고 있다. 이탈리아 사회적협동조합은 사회적 취약계층의 복지 증진과 지역사회의 보편적 이익을 확보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었다. 안산의 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은 의료서비스만이 아니라 지역 주민들의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지역사회복지운동을 펼치고 있었다. 지역자활센터가 사회적협동조합으로 전환되면서, 자활사업 참여자의 역량이 강화되고, 탈(脫)빈곤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었다. 생협은 조합의 이익을 주민과 지역사회와 함께 공유하고자 하는 협동의 가치를 기반으로 사회적 돌봄을 실천하고 있었다. 울림두레생협은 주민의 참여와 사회적 자본을 바탕으로 지역이 중심이 되는 복지체계를 만들고 있었다. 한살림 생협은 조합원들을 효과적으로 조직화하여 지역의 사회적 약자를 위한 돌봄공동체를 만들고 있었다. 일본의 복지클럽 생협은 마을 중심의 커뮤니티 케어를 실시하고 있었다. 이런 성과에도 불구하고 지역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사회적경제가 주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실천과제가 남아 있었다. 무엇보다도 제도화를 위한 정치적 의지, 시민사회의 연대, 지역사회의 역량 강화가 필요하였다. 사회적경제가 중심이 되는 지역사회복지는 주민의 참여로 시작되고, 연대와 파트너십으로 완성된다. 여기에 실질적인 지방분권, 신뢰와 호혜의 가치, 시민사회의 성숙, 살아있는 지역조직, 실천가의 적극적인 사회행동이 기반이 되어야 지속가능해진다. Recently, Korea’s welfare environment has changed dramatically, community welfare and social economy are receiving great attention There are three reasons. First,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have the characteristic of innovative coping with problems that the nation and market cannot solve. Second, by increasing social jobs and income in the region, creating a community welfare system in which local resources are positively circulated. Third, a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practice the publicness of social services that are necessary for the community through the cooperation and reciprocity of multiple stakeholders. The study examined cases of the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focused on ‘social’ value rather than economic value. This is to find out how useful the social economy is for community welfare and practice. Social cooperatives realize the publicness of social services through public economic activities, institutional support, and community caring activities. Italy’s social cooperatives were playing a leading role in promoting the welfare of the socially vulnerable and securing the universal interests of the community. The medical welfare social cooperative in Ansan was carrying out a community welfare movement to maintain the healthy lives of local residents as well as medical services. As the local self-support center was transformed into a social cooperative, the capacity of participants in the self-sufficiency project was strengthened and the possibility of deserting poverty was increasing. The consumers’ life cooperative was practicing social care based on the value of cooperation that wanted to share the interests of the union with the residents and the community. The Ulim-Dureconsumers’ life cooperative was building a welfare system in which the region was centered, based on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social capital. The HanSalim consumers’ life cooperative was effectively organizing its members to create a caring community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in the region. Japan’s welfare club, the association, was conducting community care centered on villages. Despite these achievements, there were still some practical tasks for the social economy to be situated as a center of community welfare. For example, political will, solidarity of civil society, and strengthening of the local community are necessary. Community welfare and practice, which is supported by a social economy, begins with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is completed by solidarity and partnership of civil society. In addition, for the sustainable community welfare system based social economy, the real decentralization, the value of trust and reciprocity, the maturity of civic consciousness, the active social behavior in the community are necessary.

      • KCI등재후보

        기혼 직장여성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인구사회학적 요인, 가정요인, 직장요인을 중심으로

        안윤숙 ( Yun Sook An ),김흥주 ( Heung Ju Kim ),이현진 ( Hyun Jin Lee ),하영진 ( Yeong Jin Ha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1

        이 연구는 기혼 직장여성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2012년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시행된 여성가족패널 4차 자료를 활용하였다. 4차 자료의 기존응답자 설문대상자들 중 현재 결혼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기혼여성이면서 직장임금근로자인 1,480명의 응답 자료를 연구 분석에 활용하였다. 그 결과, 조사대상자의 72.1%가 40대 이상의 연령층에 속했고, 62.4%는 고졸이하의 학력이었고, 현재 건강상태는 58.7%가 건강하다고 응답했다. 이들의 정신건강 수준은 전체평균 3.01로 높게 나타났다. 기혼 직장여성의 정신건강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가정요인과 직장요인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각 독립변수와 정신건강과의 상관관계분석에서 모든 변인과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족가치관(r=-.218)과 직장내 차별(r=-.169)은 부적인 관계를 보였다. 독립변수와 정신건강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 위계적 모델을 구성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모형별로 설명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R2가 .056에서 .164 그리고 .198로 변화).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인은 건강과 가족가치관, 직장내차별 요인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건강할수록 정신건강이 좋았고, 현대적 가족가치관을 지닐수록 정신건강 수준이 낮았고, 직장내 차별에 대한 인식과 경험은 정신건강 수준을 낮추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에 의거한 결론은 기혼여성에게 있어서 가정과 직장의 양립은 정신건강에 긍정적으로 기여하기 때문에 안정되고 안전한 일자리를 창출하여 제공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기혼직장 여성의 건강을 보장하기 위해 직장과 지역사회의 자원을 연계한 질병관리를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가족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홍보와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직장내 차별에 대한 대처 방안을 제시하였다. To analyze the influential factors on mental health of married career women, this study used the data of the 4th Korean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which was performed by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in 2012. In the data of the 4th survey, the answers of 1,497 women who get married and work for pay were used for the study analysis. As a result, 72.1% of the study subjects were in their 40s and more; 62.4% graduated from high school and lower; 58.7% replied that they were in good health conditions. The average value of their mental health was high, or 3.01. Correlations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mental health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re were correlations with all variables. In particular, family value(r=-.218)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discrimination at work(r=-.169). To find causal relations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mental health, hierarchical model was designed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continuously influential factors were health, family value, and discrimination at work. In other words, the healthier they were and the more modernized their family value was, the lower their mental health. And,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t work led to lowering their mental health. Based on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family and career of married women positively influenced their mental health. These results show that people who have good Mental Health of Married working Women and are satisfied Married Life and are satisfied Workplace Conditions, are higher Mental Health of Married working Women and people who have difficulty by Conservative Family Values, Child Distress, Parental Conflict, is vulnerable Mental Health.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스트레스 및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안윤숙(An, Yun-sook),김흥주(Kim, Heung-ju)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트레스 및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비행경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전북지역 고등학교 1∼3학년 총 4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트레스 및 자아존중감, 비행경험, 우울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스트레스 각 하위변인들과 우울 간에는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과의 상관관계는 부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스트페스 맺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비행경혐의 매개효과를 살며본 결과 스트레스 하위영역인 가정스트레스, 친구스트레스에서는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학교스트레스 요인에서는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에서는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즉 청소년이 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할수록 비행경험수준이 높아지고 이를 통해 우울수준이 높아지는 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청소년들의 낮은 자아존중감은 비행경험을 매개로하여 우울수준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The intermediary effect of delinquency experience of adolescent's stress and self-esteem on depression was to be reviewed in this study;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on a total of 499 students from 1∼3rd grade of hi방1 schools in jeonbuk area.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 follows. Fist, review on the correlation among stress, self-esteem, delinquency experience and depression showed that lower factor of sσess and depression are positively correlated while self-esteem and depression are negatively correlated. Second, review on the intermediary effect of delinquency experience from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stress and self-esteem on depression reveale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family stress, friend sσess; school stress revealed the complete mediation. Also, self-esteem reveale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That is, the higher the perception level of adolescent''s stress, the higher was the level of delinquency experience. It shows that the effect of depression is higher. Also, This study presents that low self-esteem perceived by the adolescents increases the impression with the delinquency experience as a medium.

      • KCI등재

        친환경 생산농가의 기후변화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위험인지와 대응역량을 중심으로

        안윤숙 ( Yunsook An ),김흥주 ( Hungju Kim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1

        이 연구는 친환경 생산농민의 기후변화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친환경농업인 중 교육에 참여한 생산자 534명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분석결과 친환경생산농민의 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고학력층(β=.186), 농업전망 낙관(β=.137), 사회적 동기(β=.110)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위험인지에 따른 대응역량은 정부에 대해 신뢰하는 입장((β=.221)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사회 참여활동(β=.127), 정부신뢰에 대해 중립적 입장(β= .126), 농업전망 낙관적(β=.098)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기후 변화의 심각성에 대해 모든 국민이 국가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수용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친환경 농업의 지속성을 위한 국가의 식품안전성에 대한 대책이 시급히 마련될 필요성에 대해 제시하였다. The study polled 534 producers who participated in education among eco-friendly farmers to find out the factors affecting their perception of climate change.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limate change of the eco-friendly farmers are the highly educated (β=.186), and the optimistic agricultural outlook (β=.137), Social Motivation (β= 110).It was found that the results were affected in order. The response to these risks was the highest level of confidence (β=.221), followed by social participation (β=.127), neutral on government confidence (β=.126), which is expected to affect the agricultural outlook (β= .098), will be affected in the order of 126. As a result, it was important for all people to accept and respond to the seriousness of climate change without relying on the state, and it was suggested that measures on the nation's food safety for the sustainability of eco-friendly agriculture were urgently prepa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