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약용 수택본 『규장전운』 안어(按語)와 전(傳) 장지완 『규장전운간오』의 비교

        심경호 ( Sim Kyungho ) 근역한문학회 2021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59 No.-

        張之琬(1806~1858)의 『張玉山斐然外抄』에 수록되어 있는 奎章全韻刊誤는 정조가 『奎章全韻』의 上聲梗韻에 御名 ‘祘’을 배속시키고 ‘省’의 음을 註記했다고 밝혔다. 규장전운간오 는 이외에도 『규장전운』의 편찬 과정, 字序, 字訓, 字形, 韻屬등에 관해 상당히 주목할 만한 비평을 가했다. 그런데 그 상당 부분이 정약용 수택본 『규장전운』의 안어와 일치한다. 하지만 장지완은 『규장전운』의 편집이나 교정에 참여한 인물이 아니다. 『규장전운』을 교정한 일이 있는 정약용이 그 사실을 수택본의 天頭에 기록해 두었으나 후대에 지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규장전운간오 는 장지완의 저술이 아니라 정약용이 별도로 정리해 두었던 원고를 轉錄한 것인지 모른다. 규장전운간오 의 여러 내용이 정약용 수택본 『규장전운』의 欄外按語와 일치한다. 정약용은 1800년(정조 24) 정조에게 진헌할 목적으로 文獻備考刊誤를 이룬 일이 있다. 마찬가지로 정약용은 국가 편찬물인 『규장전운』에 대해 ‘刊誤’를 작성했을 가능성이 높다. Kyujang Chŏnun Kano (The Corrected Print of Kyujang Chŏnun) from Chang Chiwan’s (1806-1858) Changoksanbiyŏnoech’o clarified that King Jeongjo included his own name ‘祘’ in ‘上聲梗韻’ entry and annotated its phonetic value as ‘省’ in Kyujang Chŏnun. In addition, Kyujang Chŏnun Kano made noteworthy reviews for publication process of Kyujang Chŏnun, word order, word meaning, character shape, and rhyme entries. However, the majority of the reviews are identical to the reviews in the association copy of Kyujang Chŏnun which was owned by Chŏng Yagyong. Chang Chiwan, in fact, did not participate editing or correcting for Kyujang Chŏnun. It is presumed that Chŏng Yagyong, who had participated the correcting, wrote the reviews at the head of a page on his association copy, then the reviews were erased afterwards. Kyujang Chŏnun Kano may not be the work of Chang Chiwan, and is the copy of Chŏng Yagyong’s personally organized notes. Chŏng Yagyong had compiled Munhŏnbigo Kano in 1800 (24th of King Jeongjo) to present it to the king. In the same manner, it is highly possible that Chŏng Yagyong compiled 'Kano' for the national project of Kyujang Chŏnun.

      • 천자문의 구조와 조선시대 판본에 관한 일고찰

        심경호(Sim Kyungho)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11 동아한학연구 Vol.- No.7

        『천자문』은 1,000개의 한자로 이루어진 운문 형식의 4자구로 총 250구를 의미구성과 압운방식에 따라 8개의 단락으로 편성했다. 또한 ??천자문??은 4자구 단독 의미보다 8자구의 절로 의미를 전달하며 8자마다 압운이 되도록 했다. 그리고 압운은 환운(換韻)의 방식을 택해서 의미의 변환을 알 수 있게 했다. 『천자문』은 한국에서 근래에 이르기까지 아동의 식자(識字) 교과서로 중시되어 왔다. 또한 『천자문』은 초보적인 운문(韻文) 습득 교재이기도 하였다. 또한 해서체는 물론 초서체와 전서체로 제작되어, 서체의 교본으로 이용되었다. 다만 조선시대에는 자국에서 만들어진 한자어를 중심에 두는 ‘생활한자’를 소재로 삼은 예는 없는 듯하다. 본고는 조선시대 간행된 ??천자문?? 판본에 관해 개괄하고, 특히 숙종 어제 간본의 성점(聲點)에 대해 분석하였다. Cheonjamun(『千字文』, the Thousand Character Classic) is composed of 250 phrases of 4 characters each from “天地玄黃” to “焉哉乎也”, which also can be divided into 8 paragraphs by its contents and its structure of rhyme. Cheonjamun changes its rhyme in every 8 letters so that readers can notice the change of contents. It is uncertain when Cheonjamun was introduced to Korea. Cheonjamun has been used as a primer for learning Chinese characters for many centuries. It also has been used for a textbook of calligraphy, as it had been written in various script styles like Regular script(楷書), Cursive Script(草書) and Seal script(篆書) etc. This is to introduce the editions of Cheonjamun published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and to analyze especially the structure of Seongjeom(聲點) of the Edition of Sukjong Eoje Cheonjamun(??肅宗御製千字文??).

      • KCI등재

        조선시대 여성 묘비에 관한 일 고찰

        심경호 ( Sim Kyungho ) 근역한문학회 2018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49 No.-

        한문학 연구에서 묘비 묘지 등 墓道文字는 문헌자료의 한계를 보완하는 기능을 할 뿐 아니라, 그 자체로서 지성사와 문화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런데 立碑의 사실 자체를 문화사적 관습과 관련시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지하에 묻는 墓誌와 壙誌는 墓主가 다양해서 승려, 사대부, 여성, 요절한 아이의 것 등이 있다. 고려시대에 지상에 세운묘비는 대부분 승려들의 비였고, 사대부 관원의 경우는 고려 전기와 중기까지는 지상에 세우지 않았다. 그러다가 고려 말에 이르러 사대부의 神道碑와 墓表가 지상에 세워지기 시작했다. 이후 조선 전기부터 사대부 지식인들은 外命婦로서 국왕으로부터 직첩을 받은 집안의 여성들을 위한 墓誌墓誌銘을 주의 깊게 작성했다. 사대부 여성의 묘도문자는 처음에는 지상에 세우는 묘표나 묘갈보다는 지하에 묻는 墓誌에 새겨지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다가 조선 초부터 여성 묘주의 비석이 땅 위에 세워지기 시작했다. 그 비석은 주로 墓碣이나 墓表의 형태를 띠었다. 다만 이 경향은 시대적 조류를 이루지는 않았다. 오히려 일부 立言者가 그러한 묘도문자에 주목하게 되었다. 조선후기에 이를수록, 여성 묘주의 경우 부군의 묘에 ?葬하면서 生歿年과 葬地를 묘비의 비음에 새기는 경향이 짙어졌다. 다만 17세기 이후 여성의 삶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여성 묘주의 묘도문자가 증대하고, 이에 병행하여 여성 묘주의 묘표와 묘갈도 점차 더 많이 세워지게 되었다. 곧, ‘부인은 남편을 따른다(夫人從夫)’는 관념을 벗어나, ‘그 남편의 묘에 부수하여 일컫지 않는(不稱以夫墓)’ 것으로 나아갔다. 이것은, 여성의 烈節이나 女中君子의 덕목이 여성이라는 존재자의 독자적 가치로서 부각되고 衆人의 耳目에 傳播되기에 이르렀다는 사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다만, 여성 묘주의 묘표와 묘갈을 제작하는 관습은 아직 시대적 조류로서 간주하기는 어렵다. 오히려 家格이 뛰어난 집안의 학자-문인, 先? 혹은 夫人에 대한 각별한 정념을 지닌 문사들이 그러한 묘표와 묘갈을 남긴 것으로 파악된다. 夭?의 여성을 위한 묘표도 적은 수이지만 건립되었다. 여성 묘주를 위한 神道碑는 太宗의 명을 받아 權近이 1403년(태종 3)에 찬술한 太祖의 正妃 神懿王后 韓氏의 齊陵 神道碑銘이 가장 이른 예이다. 그 후 인조는 생부 定遠君을 낳은 仁嬪金氏를 위해 張維와 申欽에게 명해서 두 차례에 걸쳐 神道碑銘을 작성하게 했다. 그리고 영조는 생모 숙빈 최씨를 위해 朴弼成에게 명하여 신도비문을 작성하게 했다. 이세 글은 정치적인 맥락에서 이루어진 것이기는 하지만, 사대부 여성 묘주를 위한 立碑 사실과 마찬가지로 命撰者(이 경우는 국왕)의 각별한 정념을 반영하고 있다. 한편, 여승을 위한 묘표는 蔡濟恭이 定有大師를 위해 작성한 『女大師定有浮屠碑銘』이 유일하다. 이 글은 여성의 치열한 구도 행력, 여승에 대한 추억 등을 치밀하게 착종시킨 명문이다. 또 19세기 후반에는 『東都名妓紅桃之墓碑』처럼 敎坊 伶妓들이 ‘樂府의 師宗’을 위해 妓女墓表를 세우기도 했다. The epitaphic letters not only supplement the deficiency of documents in researching Korean classical literature, but also have a important meaning in the history of thoughts and culture. The epitaphic works for the wives of the scholar-officials were at first inscribed on the burial panels rather than on the tombstones on the ground and it was in the early Joseon period that the tombstones of a woman were erected on the ground which was same to the cases of man hosts. In late Joseon it became common to put up a tombstones to inscribe epitaphic letters on the tombstone at the same grave where the wife was buried with the husband, and the virtues as a supreme woman were highlighted as a unique value of woman. It was consequently resulted in the erection of tombstones with epitaphs of reminiscing and mourning the life and the death of a woman who lived an independent life. However, it doesn’t seem to be widely prevalent to produce a tombstone for a woman host at that time. Rather, it was literati of good family or those who had a deep affection for his mother or his wife that composed epitaphic letters for the tombstones. There are also tombstones for those who died at an early age though it is a very few case. As to a tombstone for a Buddhist nun, 女大師定有浮屠碑銘 is the only case which was written by Chae Jaegong. In late 19th century Kisaeng (woman entertainer) belonged to Entertainers Office asked literati to write a epitaphic work to commemorate their master, such as 東都名妓紅桃之墓碑 written by choe Namgon. The first memorial stone monument for a woman is one for Queen of Sinui, the queen of King Taejo written by Gwon Geun by the order of King Taejo in 1403. Two epitaphic letters for Inbin from Gim clan written by Jang Yu and Sin Heum by the oder of King Injo and the one for Sukbin from Choe clan written by Bak Pilseong by the oder of King Yeongjo also have a significant meaning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of epitaph. It also includes a deep affection of the kings like the one by scholar-officials though they assume a political charac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