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신정남 한국초지조사료학회 1992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12 No.3
사일리지의 사양가치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초의 종류에 기인되는 화학조성분이며 사일리지를 적기에 제조하므로 단위면적당 최고의 양분수량을 거둘 수 있다. 유기산의 생성량이 많고 낙산이나 암모니아태질소의 함량이 많으면 사일리지의 품질이 떨어지고 섭취량이 감소되므로 사일리지 품질 증진을 위한 연구방향은 발효를 감소시키고 단백질의 분해를 막는 것이다. 사일리지의 발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는 사초의 화학조성분인 수분, 수용성탄수화물 등과 제조기술에 크게 좌우되는 공기(산소)혼입량이다. 재료의 수분함량은 사일리지 발효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며 수분이 많은 재료는 적당히 예건되면 젖산발효는 덜 제한되는 반면 불필요한 발효가 줄어들고 낙산발효를 억제할 수 있어 품질이 향상되고 기호성이 증진된다. 또한 사초를 알맞은 길이로 절단하므로 답압이 잘되어 공기 배출이 양호해 혐기상태의 유지가 가능하게 되고 사일리지의 취급또한 편리해 진다. 사일리지 첨가제는 재료를 적절히 예건하지 못할 때 필요하고 또한 특별한 조건하에서는 권장되고 있다. 이와같이 사일리지 발효에 도움을 준다는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첨가제의 잇점은 양질 사일리지 제조를 위한 제반 처리를 대신할 수 없다. 양건 건초제조에 소요되는 기간은 기후에 크게 영향을 받게 된다. 건초제조 과정 중 포장에서 생기는 건물손실은 외기에 오랫동안 노출되면 잎이나 연한 줄기 부분이 부서지고 카로틴이 파괴된다. 또한 말리는 과정에 비를 맞힐 경우 양분이 용해되어 소화되기 쉬운 영양소와 건물 손실이 증가되며 섬유소함량이 증가되어 소화율과 섭취량이 감소된다. 그러므로 일기 예보에 따라 좋은 날씨가 $3\sim4$일 계속되는 시기를 택하여 적기 수확하고, 줄기의 압쇄(condition), 건조시 풀의 두께를 얇게, 뒤집기, 적절한 수분함량일 때 거둬들이는 조치가 필요하다.
경북지역에서 여름 파종 수수류 교잡종의 생육특성, 수량성 및 사료가치 비교
신정남,고기환,김종덕,Shin, Chung Nam,Ko, Ki Hwan,Kim, Jong Duk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5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5 No.2
본 시험은 2013년부터 2014년까지 경북 성주에서 여름 파종 수수류 교잡종의 생육특성, 품질 및 수량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로 품종을 처리로 한 6처리 3반복으로 배치하였다. 파종기는 2013년과 2014년 7월 31일에 조파하였고 수확은 2013년 11월 3일과 2014년 11월 5일에 하였다. 출수기는 2년 평균이 sordan79 10월 5일 sprint 10월 8일 SX17 10월 9일 순으로 조사되었고, 2013년 수수류 교잡종의 DM수량은 SX17, Sordan79 및 Sprint 가 각각 24.2, 23.9 및 23.4톤/ha으로 SS405, PACF8350 및 Sugar grazer 21.5, 20.6 및 20.5톤/ha 보다 높았으며 (p<0.05), DDM수량 역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2014년 DM수량은 SX17, Sordan79 및 Sprint가 20.8, 19.3 및 20.0톤/ha로 다른 3품종 보다 높았으며(p<0.05), DDM수량 역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ADF와 NDF의 함량은 비교적 낮았으며 반면에 DDM 함량은 높아 사료가치가 우수하였다. 본 시험의 결과에 의하면 여름 파종 시 전통형(출수형)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 SX17, Sordan79와 수단그라스-수단그라스 교잡종 Sprint가 늦은 개화형(비출수형)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 PACF8350이나 수수-수수교잡종 SS405와 Sugar grazer 보다 수량측면에서 남부지방에서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dry matter (DM) and digestible dry matter (DDM) yields of summer sowing sorghum hybrids (Sorghum bicolor (L) Moench) at Seongju in Gyeongbuk from 2013 to 2014. The experiment was arranged in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Sorghum hybrids were seeded $31^{st}$ of July, 2013 and 2014. Sorghum hybrids were harvested on $3^{rd}$ November, 2013 and $5^{th}$ November, 2014. The observed average heading date was October 5, 8 and 9 for Sordan79, Sprint and SX17 respectively. The DM yield of 'SX17', 'Sordan79', and 'Sprint' was 24.2, 23,9 and 23.4 ton/ha, respectively and DM yield of those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other three cultivars in 2013. DM yield of 'SX17', 'Sprint' and 'Sordan79' was 20.8, 20.0 and 19.3 ton/ha, respectively and DM yield of those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other three cultivars in 2014. The DDM yield of 'SX17', 'Sordan79', and 'Sprint' was also higher (p<0.05) than other three cultivars in 2013 and 2014. ADF content of sorghum hybrids was low, whereas DDM was hi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raditional sorghum-sudangrass hybrids ('SX17', 'Sordan79') and sudan grass-sudangrass hybrid ('Sprint') than late flowering sorghum-sudangrass hybrid ('PACF8350') and sorghum-sorghum hybrids ('SS405', 'Sugar grazer') would be recommended for DM and DDM yields in the southern Korea.
신정남,고기환,김종덕,Shin, Chung Nam,Ko, Ki Hwan,Kim, Jong Duk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3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3 No.2
본 시험은 2010년부터 2012년까지 경북 성주에서 2모작 작부체계에 알맞은 다수성이며 조숙성인 콤먼베치의 품종을 선발 할 목적으로 헤어리베치 Cold green, 콤먼베치 Maxivesa, Wild common, Rasina, Morava 및 Blanchefleur의 생육특성, 건물수량 및 사초품질을 평가하였다. 시험설계는 품종을 처리로한 6처리 3반복의 난괴법으로 배치하였다. 파종은 2010년 10월 11일과 2011년 10월 3일에 하였으며 수확은 2011년 5월 4일과 2012년 5월 10일에 실시하였다. 가을의 초형은 Wild common은 부복형이었으며 다른 품종들은 반직립형이었다. 유식물의 활력은 다른 품종들에 비해 Wild common이 다소 낮았다. 내한성은 Cold green과 Wild common이 우수했으나 다른 콤먼베치 품종들은 낮았다. 개화기는 Cold green이 4월 22일로 가장 빨랐으며 Wild common은 4월 26일 Rasina와 Blanchefleur가 4월 28일이었으며 Maxivesa가 5월 17일이었다. 1년차 시험에서 건물수량은 Cold green은 다른 5품종보다 수량이 높았으며 (p<0.05), Wild common은 나머지 4품종보다 많았으며 (p<0.05), Maxivesa와 Blanchefleur는 Rasina와 Morava보다 높았다 (p<0.05). 2년차 시험에서도 건물수량은 Cold green은 다른 5품종 보다 높았으며 (p<0.05), Wild common은 다른 4품종보다 높았다 (p<0.05). 일반적으로 베치의 CP 함량은 높았고 섬유소함량은 낮았다. 가을 파종 콤먼베치의 품종은 개화기가 빠르며 내한성이 강한 Wild common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agronomic characteristics, forage quality, and dry matter (DM) yield of hairy vetch 'Cold green', common vetch 'Maxivesa', 'Wild common', 'Rasina', 'Morava', and 'Blanchefleur', at Seongju in Kyeongbuk from 2010 to 2012. The experiment was arranged in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Vetchs were seeded on the 10th of Oct. 2010 and on the 3rd of Oct. 2011. Vetch plants were harvested on the 4th of May 2011 and on the 10th of May in 2012. 'Cold green' and 'Wild common' exhibited greater cold tolerance than other cultivars. Fifty percent-flowering of 'Cold green' occurred on the 22nd of Apr., whereas that of 'Wild common' occurred on the 26th of Apr. and those of 'Rasina' and 'Blanchefleur' occurred on 28th of Apr. and that of 'Maxivesa' occurred on 17th of May. The DM yield of 'Cold green' was higher (p<0.05) than all other cultivars, whereas the DM yield of 'Wild common' was higher (p<0.05) than those of the remaining 4 cultivars. According to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it is suggested 'Wild common' vetch is be recommendable for cultivation where increased DM production is sou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