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문학적 상상력과 서사전략 심훈 시조 고(考)

        신웅순 ( Woong Soon Shin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1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36

        The time of Hoon Sim is an important era in which an opening of new state modern Korean Poem was. He showed amazing talents in various fields; novel writer, film producer and poet. From the fact that his Korean traditional poems takes 29% of entire poem writing in his life, we can see that it is not a small numbers for his short life. Early works by Hoon Sim in 1920s display characteristics such as lengthened last verse, omitted sentence final form, dividing one sentence into jangs with punctuation mark, goto form and attempt of sequential poems. These are general characteristics often observed in the traditional poems in enlightenment era and new traditional poems. Since those works by Hoon Sim still shows maladdress in creating scores and syllables, they are assumed to be Sim`s study of poems in his early age. 1920`s is the New Traditional Poem era and the themes in this are usually on historical consciousness, nationalism, patriotism, travel poem and national consciousness. Knowing Sim`s poems also talks about scenic spots and places of historic interest or travel, his works were not largely deviated from the new traditional poems in that time. The point that he expressed personal feelings in early traditional poems is somewhat progressive. However, it is not very different from common poems with 3rd person narrated rhythms written in that time. After 1930s, he started to show professional writing attitude in traditional poems. In 10 pieces of poems in 『Pyunghochoowol』 style, he broke out of immaturity in early poems and wrote perfect travel poems. The 4 pieces of poems in 『Myungsasibri』 Style were written in perfect traditional form and each piece were written in one title uniformly which is the form of modern sequential poem. However, it is a little different from the expression of feeling shown in the innovative traditional poems in late 1930s. 11 pieces of 『Spring of Farm Village』 in 1933 and 『Geuneum samsu』 are in a perfect traditional poem form by writing small themes in short traditional poem style for a large theme. However, these, as well, are still in 3rd person narrative rhythm thus revealing limitations in his interest in traditional poems. In that time, the traditional poetic literature was led by few poets in new traditional poem and innovative traditional poem era. Though Sim left only 19 pieces of works, his works had remarkable influence on literature history. Thus his works may not be ignorable in describing traditional poetic literature history. In his short life, traditional poem was not a major interest of Hoon Sim. From his life as a novel writer, a film producer and his interest in traditional poem, it is assumable that those were his gestures against Japan who tried to annihilate Korean tradition.

      • KCI등재

        근대 가곡의 시조, 전통 가곡 수용 考

        신웅순(Shin Woong-soon) 한국시조학회 2009 시조학논총 Vol.30 No.-

        본고는 시조와 전통 가곡이 어떻게 근대 가곡에 수용되고 있는가를 비교 검토 해보는 논문이다. 시조의 초ㆍ중ㆍ종장의 석줄과 근대 가곡의 2모둠, 전통 가곡의 중여음, 시조의 여박 과 근대 가곡의 간주, 시조의 어단 성장과 근대 가곡의 장행 갈이가 그것이다. 첫째는 ‘시조의 석줄과 큰대 가독의 2배수 모둠’ 에 대한 논의이다. 홍난파는 시조의 석줄을 살리면서 근대 가곡을 2배수로 모둠지어 처리했다. 음악과 시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간주를 넣거나 시조의 종장을 두 줄로 늘려 쓰는 방법을 택했다. 둘째는 ‘전통 가곡의 중여음, 시조의 여박과 끈대 가옥의 간주’에 대한 논의이다. 근대가곡의 2배수 모둠의 처리 과정에서 전통 가곡의 중여음과 시조의 여박에 해당되는 곳에 근대 가곡의 간주를 넣었다. 근대 가곡에서 전통 가곡과 시조의 영향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는 ‘어단 성장’에 대한 논의이다. 전통 가곡과 시조는 어단 성장으로 되어 있다. 시조의 3음절일 경우 처음 음절은 짧게 둘째 음절은 길게 소리를 낸다. 시조의 이런 창법이 홍난파의 근대 가곡에서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 넷째, ‘행갈이’에 대한 논의이다. 시조가 고시조와 현대 시조가 구분되어 있는 것 중의 하나가 장행갈이이다. 이 은상은 시조를 석줄로 써서 6줄의 장행갈이는 하지 않았다. 홍난파는 근대 가곡 ‘봄처녀’에서 6줄로의 장행갈이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봄처녀’의 장행갈이는 현대 시조와 맥을 같이하고 있어 주목될 수 있는 부분이다.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Sijo is being accommodated to modern Gagok by comparing them. In details. the work is about comparison between three verses in Sijo and twofold grouping in modern Gogok. JoongYuUm in traditional Gagok, YuBak in Sijo. the interlude. ADanSungJang. and changing verses in modern Gagok. First point is about three verses in Sijo and a rhythm of twofold grouping in modern Gagok. In particular. modern Gagok is treated as a group of twofold leaving three verses of Sijo. The way is chosen that whether it sets on an interlude into a song or the third part of three verses in Sijo is extended to avoid its logic of music and poem. Second. the discussion moves points on between an interlude in traditional Gagok and in Sijo. In the process of grouping twofold in modern Gagok. the parts which are interludes of both in traditional Gagok and in Sijo. combined with the interlude of the modern Gagok. It shows that the modern Gagok is affected on both the traditional Gagok and the Sijo. In addition. it explains elements of ADanSungJang - - tones and sounds in the modern Gagok. Originally. the traditional Gagok and sijo are composed of tones and sounds. At this point. tones are short. whereas sounds should be longer. This kind of way in the song has appeared on the modern Gagok of Hong. Nan-Pa. Lastly, the factors is about changing verses of modern Gagok. The one of differences between the modern Sijo and traditional Sijo is verses. For example, when it comes to sijo by Lee. Eun-Sang. he used to create his sijo with three verses. Hence, he did not change verses on his works. Whereas, the modern song "The Spring Lady" by Hong, Nan-Pa has shown the phenomenon that is separating three verses into six verses. It is noticeable that this phenomenon in "The Spring Lady" has the same bases with the modern Sijo.

      • KCI등재
      • KCI등재

        시조창 분류고

        신웅순(Shin Woong-Soon) 한국시조학회 2006 시조학논총 Vol.24 No.-

        본고는 음악상으로서의 시조 분류이다. 잣수에 의한 문학상 분류와는 달리 시조창은 선율에 따라 달라진다. 문학상으로는 단시조ㆍ중시조ㆍ장시조의 분류가 일반적이나 시조창은 평시조ㆍ지름시조ㆍ사설시조로의 분류가 일반적이다. 같은 시조창이면서 다른 명칭으로 불리워지고 있는 경우가 있고 다른 종류이면서 같은 명칭으로 불리워지고 있는 경우가 있어 시조창의 명칭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실정에 놓여있다. 몇몇 국악인들에 의해 시도는 되고 있으나 개념에 대한 구체적인 논증없이 이루어지고 있어 이에 대한 체계적인 고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의 번다한 명칭들을 정리하고 시조의 분류 체계를 세우고자하는 데에 본 고의 목적이 있다. 필자는 고악보와 현행 시조보, 기존 이론을 검토, 평시조 계열ㆍ지름시조 계열ㆍ사설시조 계열로 일단 3대별하고 여기에 현재 불리워지고 있는 시조창들이 어떤 계열에 속하는 것인가를 몇가지 원칙에 의해 분류해보았다. 필자가 조사한 현행 시조 명칭 67가지를 필요한 16개의 명칭으로 줄여 분류했다. 이는 현재 불리워지고 있는 명칭들이 같은 시조이면서 표음이 다른 것도 있고 다른 시조이면서 같은 명칭으로 불리워지는 것들도 있다. 이의 복잡, 번다함을 피하기 위해 문학과 음악상의 개념을 고려, 일부 용어들을 정리했다. 1) 평시조 계열 : 평시조, 중허리 시조, 우조시조, 파연곡 2) 지름시조 계열: 지름시조, 남창지름시조, 여창지름시조, 반지름시조, 온지름시조, 우조지름시조, 사절지름시조, 휘몰이 시조 3) 사설시조 계열 : 사설시조, 반사설시조, 각시조, 좀는 평시조 아직도 배자, 형태, 음계, 타장르와의 영향 관계 등 적지 않은 음악상의 작업들이 남아있고 그에 대한 이론 축척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러한 음악적인 부분들은 전문가, 국악인들의 면밀한 검토와 연구를 필요로 하고 있다. 차후의 논문을 기대할 수밖에 없음을 밝혀둔다. This Research is about the classification of "Sijochang", or the Korean ode narrative song, in terms of music. Contrary to the literature classification by the number of letters, sijochang varies with the melody. Literally, the classification is generally made as Dansijo(or short ode} Jungsijo(or medium ode} and Jangsijo(or lengthy ode) but the sijochang is normally divided into "Pyongsijo"(or plain ode), "Jirumsijo and Saseolsijo". As while the same Sijochang is called under the different names, the different type of sijochang is also called as the same name, it needs the discussion about its name. Some Korean classical musicians have attempted to define it but they are trying to do it without the specific reasoning about its concept. As a result, the systematic research is required. This study designs to streamline the currently confusing and complex names and set up the sijo's classification system. After reviewing the ancient music note, current sijo score and the traditional theory, I largely classified it into 3 types; Pyongsijo, Jirumsijo and Saseolsijo. And then, I analyzed on to which type the sijochang which is presently called belongs, based on several principles. The 67 names of the sijo which I have investigated about are classified with them sharpy reduced into 16. Among the current sijo names, there are some which are of same type yet of different phonetics and there are others which are of different phonetics yet of same type. To avoid such complex and troublesome names, I have orchestrated them as follows, taking the literary and music concept into account. 1) Pyongsijo type : Pyongsijo, Joongherisijo, Wujosijo and Payeonkok 2) Jirumsijo type:Jirumsiro, Namchangjirumsijo(it refers to Jirumsijo sung by malel), Yeochangjirumsijo(it refers to Jirumsijo sung by female), Banjirumsijo(it refers to half the Jirumsiro), Onjriumsijo(it refers to the whole Jirumsijo), Wujojirumsijo, Saseoljirumsijo and Whimorisijo) 3) Saseolsijo type : Saseolsijo, Bansaseolsijo(it refers to half the Saseolsijo, Gaksijo or Pyongsiro There are still lots of things to musically streamline, in the fields of disposition of Sijo letters, its form, musical scale and influences on other genre, etc. and as such. the accumulation of theory on them is urgently required, Thoe musical elements ned an in-depth review and study by the experts and the Korean tranditional musicians. Later research is expected to play a role of exploring it.

      • KCI등재
      • KCI등재

        가곡의 시조시 주제 연구

        신웅순(Shin Woong-Soon) 한국시조학회 2005 시조학논총 Vol.22 No.-

        가곡이 음악과 문학이 하나가 될 때 그 의미가 발현된다고 본다면 그 동안 전승되어온 가곡 중에서 선정되고 악보화된 현재 불리워지고 있는 가곡들의 주제 분석은 가곡사에 나름대로의 의미와 자리매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가곡 향유층들의 생활상과 풍류상이 무엇이고 곡과 가사 내용의 상관성이 무엇인지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고의 취지가 여기에 있다. 텍스트는 김기수편 정가 남창 100선, 여창 88선이다. 김기수는 두봉 이병성, 운남 이주환, 운초 장사훈의 채보분을 참고하여 남창 26곡 여창 15곡을 한바탕으로 정리했다. 현재 전승되고 있는 남창 가곡은 우조 11곡, 계면조 13곡, 변조 2곡 모두 26곡이다. 여창 가곡은 15곡으로 우조 5곡. 계면조 8곡 변조 2곡이다. 남창 26곡과 여창 15곡 도합 현전 가곡은 모두 41곡이다. 주제 분류는 서원섭의 평시조 분류를 따랐다. 비슷한 주제를 유형화하여 9개 항목으로 분류했다. 비교 대상은 『교본역대시조전서』과 남창 가곡, 남창가곡과 여창가곡이다. 분류 결과의 해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교본역대시조전서』과 남창 가곡의 비슷한 주제 분포이다. 이는 가곡의 향유층이 주로 선비층이었던 관계로 정치적인 이유로 향리로 돌아와 자연과 벗삼았던 선비들의 생활상과 무관치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는 남창과 여창 가곡에 있어서의 남녀 사랑의 주제의 현격한 차이이다. 이는 당시 성윤리에 억눌려 있던 조선 여인들의 놀이 문화가 흔치 않았던 관계로 인간적인, 어쩔 수 없는 표현 본능을 그녀들의 놀이 문화인 가곡에 투영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셋째는 가곡 진행상의 주제 변화이다. 가곡은 대체로 빠르기 순서, 만ㆍ중ㆍ삭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에 맞게 곡과 가사내용이 대체로 부합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넷째는 농ㆍ낙ㆍ편으로 가면서 무명씨의 작품이 많다는 점이다. 농ㆍ낙ㆍ편 이후 외설의 주제가 노골화되고 있는 것은 당시의 윤리관으로 인해 실명으로 거론하기에는 선비들에겐 받아들이기 어려웠던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다섯째는 인생행락의 주제인 태평가가 대미를 장식하고 있다는 점이다. 농ㆍ낙ㆍ편 이후 외설의 주제가 노골화되고 있는 것은 당시의 윤리관으로 인해 실명으로 거론으로 거론하기에는 선비들에겐 받아들이기 어려웠던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다섯째는 인생행락의 주제인 태평가가 대미를 장식하고 있다는 점이다. 태평가는 이삭대엽의 변화곡으로 매우 느리고 화평스러운 곡이다. 처음 선비들의 근엄한 자세로 다시 돌아간다. 농ㆍ낙ㆍ편에서 스트레스를 풀고 마지막 곡인 젊잖은 태평가로 자세를 바로잡고 있다. 이런 점으로 보아 선비들의 풍류과 생활상이 어떤 것이였는지를 가곡은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으며 그들의 생태를 그대로 반영한 것이 음악이 가곡임을 입증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This paper's target is two music books, 100 man's Gagok songs and 88 woman's Gagok songs compiled by Kim Kee-soo. The next is an interpretation on 9 subject classifications. 1. There is a similiarity in subject between 『kyobonyukdaesijo's collection』 and man's Gagok song. 2. There is a wide difference in man and woman's love subject between man's Gagok songs and woman's Gagok songs. 3. The subject changes as Gagok progreasses, 4. There are many nameless writers in the prograss of NongㆍNa kㆍPeon. 5. Taepeongga, whose theme is to enjoy pleasure, forms the last beauty. Sijo poem's subjects. which belongs to the noble class. shows the mode of scholar's elegant life at that time.

      • KCI등재

        「혈죽가」 소고

        신웅순(Shin, Woong-Soon) 한국시조학회 2013 시조학논총 Vol.39 No.-

        「혈죽가」가 현대 시조 효시로 보는 견해가 있다. 견해는 상당하는 논중이 있을 때 비로소 설득력을 갖게 된다. 그렇지 않으면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그것이 정설처럼 굳어지면 시조의 정체성이 혼란을 줄 수 있다. 한국시조시인협회는 2006년에 「혈죽가」를 현대시조의 효시로 보고 ‘현대시조 100주년’기념 행사를 치루었다. 이 작품이 현대시조의 효시로 볼 수 없다면 공식행사는 아무런 의미가 없을 것이다. 천여년의 시조 전통에 하나의 오점을 남길 수 있기 때문이다. 본고는 이 「혈죽가」가 현대시조의 효시로 볼 수 없다는 견해를 제시한 논문이다. 이를 증명하는 데에 본고의 목적이 있다. 현대 시조의 효시가 되려면 현대시조의 특성이 얼마간이라도 검출되어야하는데 「혈죽가」는 이에서 거리가 멀다. 「혈죽가」는 개화기 시조로 보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이 작품이 현대 시조의 효시라면 고시조, 개화기 시조, 현대 시조의 특징 중 어느 쪽에 위치해 있는가를 검토해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이의 부합 정도를 종장 셋째 음보의 주제어로의 끝맺음, 종장 넷째 음보의 제거, 초 · 중 · 종장의 행배열이 없는 한 줄 글, 「혈죽가」제목의 ‘~歌’, 한자 투어와 고투어, 연작 시조, ‘위국충절’ 노래, 제목의 유무, 작가의 실명 유무, 인쇄 매체의 유무, 고어표기 등 11가지 측면에서 검토해 보았다. 11개 항 중 7개 항은 현대시조의 특징이 검출되지 않았다. 나머지 4개항은 고시조, 현대시조에서 공히 나타나고 있으며, 그 중 2개항은 개화기 시조, 현대시조에서 공히 나타나고 있다. 그렇게 본다면 「혈죽가」는 현대 시조의 효시라고 볼 수 있는 대목이 하나도 존재하지 않는다. 오히려 「혈죽가」는 고시조와 더 가깝게 위치해있다고 보아야 한다. 현대시조는 내용면에서 적어도 보편적 질서를 통한 개인적 질서의 획득, 개인적 질서를 통한 보편적 질서가 구현되어져야 한다. 「혈죽가」는 형식은 차치하더라도 이러한 현대적인 특징을 찾을 수가 없다. 현대시조의 효시 작품은 「혈죽가」이후나 1920년대 들어와서야 찾아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증명되지도 않고 일반화되어 있지도 않은 작품을 명분도 없이 기념 행사를 치룬다는 것은 시조 정체성에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 현대시조와 출발점은 학계에서나 시조계에서 충분한 토론을 거친 위 일반화 되었을 때 비로소 생각해보아야 할 문제라고 사료된다. There is a view that regard 「Hyeoljukga」as the precursor of modern sijo. A view becomes persuasive only when there are proper proofs. If not, it can cause a problem and cause confusion to the identity of sijo when it becomes established as though it is a widely-accepted theory. Korea Association of Sijo Poets held and event in commemoration of the ‘100th Anniversary of Modern Sijo’ in 2006, officially taking the view that accepts 「Hyeoljukga」 as the precursor of modern sijo. If this poem is not regarded as the precursor of modern poem, the official event would not have any meaning for it can stain the thousand-year-long tradition of the sijo. This study suggests the view that this 「Hyeoljukga」cannot be regarded as the precursor of modern sij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is point. To become the precursor of modern poem, the sijo must manifest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ijo eve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however, 「Hyeoljukga」does not. The general view is that 「Hyeoljukga」is the sijo from the time of enlightenment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It would be possible to discern whether this is truly the precursor of modern sijo by examining if its characteristics belong to ancient sijo, sijo of the enlightenment period, or modern sijo. This study reviewed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regard 「Hyeoljukga」 as the precursor by 11 aspects such as the ending of the third metre in the last verse into the theme word, elimination of the fourth metre in the last verse, single-line poem without the layout of first, second, and last verses, ‘~ga’ in the title 「Hyeoljukga」. Chinese style word and old style word, series sijo, song about ‘serving the country and the loyalty’, whether it has a title or not, whether the name of the poet is real or not, whether the poem is printed or not, the notation of old words. 7 out of 11 aspects did not manifest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ijo. The rest, the 4 aspects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ancient sijo and modern sijo, and 2 out of 4 are regarded as the characteristics appearing in the sijo written during the time of enlightenment and modern sijo. In other words, 「Hyeoljukga」does not have any characteristics that can be regarded as the precursor of modern sijo. Rather, 「Hyeoljukga」 is closer to the ancient sijo. A modern sijo must acquire individual order through universal order and realize the universal order through individual order at least in the aspect of the contents. 「Hyeoljukga」does not have these modernistic characteristics not to mention the format. It would be appropriate to look for the precursor of modern sijo after 「Hyeoljukga」 or among those written in the 1920’s. Holding a commemorative event for a poem that is not verified nor generalized can be a serious issue for the identity of sijo. The starting point of modern sijo shall be dealt with only after it became generalized through sufficient discussions in the academic or sijo circles.

      • KCI등재
      • KCI등재

        시조 영시(影詩) 분석

        신웅순(Shin Woong-Soon) 한국시조학회 2008 時調學論叢 Vol.28 No.-

        본 논문은 시조 영시(影詩)와 시조창과의 관계를 분석한 논문이다. 시조 영시와 시조창을 공간, 시간으로 파악하여 이 두 이질 장르인 문학과 음악 간의 이미지 유사 정도를 분석해 봄으로써 본 논문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분석은 문학과 음악이라는 두 이질적인 장르의 속성 때문에 과학적인 근거에 의해 분석된 것이라기보다는 시조 영시와 가락 진행의 이미지만을 연관지어 분석된 것으로 자의적일 수 밖에 없다. 초ㆍ중ㆍ종장의 총 11개의 시조 영시에서 24개의 이미지를 추려내어 분석한 바 시조 영시와 시조창의 관계에서 21개의 이미지가 유사했다. 평시조에서 일관성 없이 장단 마다 분리하여 전혀 다른 표현으로 악상을 나타냈다는 점에서, 평시조에 여러 다른 기사들을 얹혀 불러야 함에도 같은 악상으로 나타내야한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다. 그렇다 해도 시조 영시가 시조창의 약상으로 표현 된 것이라고 본다면 이러한 유사성은 나름대로의 가치를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시조 영시는 자연의 운행 질서나 현상을 시조의 각 장별로 그 창법의 특색을 영시화한 것이다. 시조창을 한다는 것은 자연의 질서에 순응한다는 말에 다름 아닐 것이다. 시조 연의(演義)에도 시조는 도, 덕, 인, 의, 예, 지, 신과 같은 덕목이 있다고 한다. 이렇게 시조창에는 자연의 질서뿐만이 아니라 인간이 지켜야할 도리들도 있어 선비들이 시조를 자신의 인격 수양을 위해 불러왔다는 것도 그만한 이유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시조 영시와 시조창에는 자연의 질서, 인간이 지켜야할 도리, 선비 정신 등이 자연스럽게 녹아있다. 호사가들의 말장난이 아년 시조 영시의 가치를 인식하고 시조창을 부를 수 있다면 현대인들에게도 심신 수련과 인격 수양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여기에 부응하고자 하는 하나의 이유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This paper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SijoYongsi and Sijochang. The study was approached by analyzing the degree of similarities between literature and music, which seem to be heterogeneous genres. This sort of analysis, because of the differences of the two genres, is not based on scientific ground. It is rather a literal analysis as it is studied relating the images of SijoYoungsi and processing melody. As a result of picking out 24 images from 11 Sijo Youngsis which consists of 3 verses (Cho, Joong, Jong), 21 images are simila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ijoYoungsi and Sihochang. This way has a limitation in the points of that it presents musical motifs with totally different expression separating each rhythm from PyongSijo inconsistently and presents the same motif although it has to be sung with the other different lyrics on PyongSijo. Nevertheless, regarding that SijoYoungsi is expressed in musical motifs of Sijochang, this similarities can be worth in its way. SijoYongsi is a kind of poem in which the order of the nature or phenomenon is expressed with vocalism of each verse's characteristics. Singing Sijochang can be compared with adapting to the order of the nature. In Sijcyeonui-all principles on Sijochang-, Sijo has virtues such as Do(morality). Duk(goodness). In (benevolence), Ui(righteousness). Ye(propriety), Ji wisdom), Shin (sincerity). Because there are reasons which human being should observe as well as the order of the nature in Sijochang. we can learn the reason why scholars sang Sijo in order to discipline his personality. In SijoYongsi and Sijochang. the order of the nature, virtues we should observe, spirits of scholars are dissolved in a natural way. If we can sing sijochang recognizing it not as a hustler's wordplay, but as the value of Silo Youngsi, it will help moderns to train their mind and body and foster their personality. This paper can be one of the reasons for answering this purpose.

      • KCI등재

        현대시조의 시조 정체성 문제

        신웅순(Shin, Woong-soon) 한국시조학회 2012 시조학논총 Vol.37 No.-

        본고는 현대시조의 정체성 문제를 제기하고 현대 시조가 시조의 정체성에서 얼마나 멀어져 있는가를 점검해보는 데에 있다. 시조의 정체성을 ‘시조창의 연행’과 ‘3장 6구 12음보’의 시조 형식, 전통 작시법에 두고 ‘시조창과 현대시조’, ‘시조와 현대 연작시조’의 관계를 다루었다. 현재 창작되고 있는 시조는 단장 시조, 양장시조, 단시조, 단시조의 연작, 단시조·장시조 의 연작, 단시조?장시조?장시조의 연작 등이 있다. 단장, 양장시조는 3장이 되지 못하기 때문에, 단시조는 시조 형식과 창으로 연행될 수 있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다만 시조창 연행, 시조 형식, 전통 작시법과 어긋나는 단시조의 연작, 단시조?장시조의 연작, 단시조?장시조?장시조의 연작 등이 문제가 될 수 있다. 단시조의 연작은 1920, 30년대 이후 지금까지 현대시조의 주류를 형성해왔다. 이는 현대시조가 각기 독립된 시조의 연작인 전통적인 작법에서 각 수들이 하나의 주제로 통일되어 지어지는 단시조들의 연작인 현대적 작법으로 변천되어 왔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시조 연작은 전통적인 연작법에서도 어긋나 있고 창으로도 연행될 수 없다. 그럼에도 이 연작 시조가 현대시조의 주역이 되고 있는 것은 시조를 음악과 문학으로 보지 않고 문학으로서만 보았기 때문이다. 시조의 딜렘마가 여기에 있다. 이런 논리라면 창으로도 연행되지 못하고 단시조 형식의 중첩으로도 볼 수 없는 단시조?장시조의 연작, 단시조?장시조?장시조의 연작 등도 현대시조에 수용되지 못하리라는 법도 없다. 정체성은 변하지 않는 고유한 실체이다. 시조는 창의 흐름으로 ‘창의 연행’이 필요하고 단시조 작시로 ‘3장 6구 12 음보’라는 시조 형식이 필요하다. 일부 식자들은 현대시조가 창에서 탈각되었으므로 대신 문자 언어로의 음악성이 최대한 구현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그런데도 현대시조의 문자 언어로서의 음악성이 무엇인지는 아직도 구체적으로 규명되어 있지 않다. 이것이 설명되어질 때 현대시조가 창의 흐름이었고 창에서 탈각되었다는 것이 증명될 수 있으며 현대시조에 있어서의 시조의 정체성이 무엇인지도 밝혀질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시조의 전통 계승과 단절의 문제에서도, 올바른 시조 정체성 제시에서도 하나의 가늠자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This article raises the matter of identity in modern sijo and examines how far modern sijo is from its identity. As putting sijo identity on ‘the accompaniment of sijochang’, ‘the form of sijo with 3-jang 6-gu 12-eumbo’, and traditional versification, this paper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sijochang and modern sijo’ and ‘sijo and modern yeonjak sijo’. The sijo being currently created includes danjang sijo, yangjang sijo, dansijo, a series of dansijo, a series of dansijo and jangsijo, and a series of dansijo, jangsijo, and jangsijo, etc. Because danjang and yangjang sijo do not consist of three jangs and dansijo can be accompanied by the form of sijo and chang, they do not matter in this paper. However, a series of dansijo, a series of dansijo and jangsijo, and a series of dansijo, jangsijo, and jangsijo not following the accompaniment of sijochang, the form of sijo, and traditional versification may matter here. A series of dansijo has formed the mainstream of modern sijo from the 1920’s and 30’s till now. This shows that modern sijo has changed from traditional versification, a series of independent sijo, to modern versification, a series of dansijo in which each of the sijo becomes unified into a theme. This series of sijo neither follows the traditional yeonjak method nor becomes accompanied by chang. Despite that, this yeonjak sijo has been the mainstream of modern sijo, and this is because sijo is not considered as both music and literature but solely as literature. This is where the dilemma of sijo lies. With this logic, a series of dansijo and jangsijo or a series of dansijo, jangsijo, and jangsijo can also be accepted as modern sijo, which can neither become accompanied by chang nor become regarded as the overlap of the form of dansijo. Identity is the unique substance that is unchangeable. Sijo needs ‘the accompaniment of chang’ as the flow of chang and also requires the form of sijo as dansijo versification, that is, ‘3-jang 6-gu 12-eumbo’. Some scholars say that since modern sijo is estranged from chang, it should realize musicality as written language to the fullest instead. However, the musicality of modern sijo as written language has not even been defined yet concretely. When this can be explained, we can prove that modern sijo was the flow of chang and is estranged from chang as well. Also, we can figure out what the identity of sijo is in modern sijo. This is expected to play roles as a sight in the matter of succession and discontinuance of tradition in sijo and also the provision of righteous sijo ident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