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패션에 나타난 트랜스포머블 소재의 미적특성 연구

        신비라(Shin, Bi Ra),박소형(Park, So Hyo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과 테크놀로지의 결합으로 소재 자체의 변형이 가능한 트랜스포머블 소재가 현대패션에 어떻게 나타나는가의 사례를 분석하여 소재의 유형에 따른 미적특성을 밝히는데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국내외 단행본과 저널 등의 문헌자료를 통한 문헌연구와 패션 관련 인터넷 사이트, 패션 컬렉션, 패션기사, 패션 서적에서 추출한 시각적 자료를 중심으로 사례 연구를 병행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본격적으로 테크놀로지와 융합된 트랜스포머블 패션이 다수출현한 2000년부터 현재까지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은 첫째, 트랜스포머블의 개념 정립과 등장배경을 포스트모더니즘의 해체주의와 패션 테크놀로지를 결합하여 설명 하였다. 둘째, 트랜스포머블 기술이 적용된 소재의 유형을 자기변형, 주변환경 인지, 사용자 인터랙션으로 분류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현대 패션에 나타난 트랜스포머블 소재의 미적특성은 다각적 미정성, 시각적 유희성, 복합적 장식성, 3차원적 공간성으로 나타났다. 첫째, 다각적 미정성은 사용자와 환경에 따라 자유롭게 완성되는 열린 형태로 표현되었다. 둘째, 시각적 유희성은 변형이 주는 새로운 형태와 예상하지 못했던 의외성에서 흥미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복합적 장식성은 이질적인 소재의 믹스 앤 매치를 통해 나타나는 새로운 조형미로 구성되었다. 넷째, 3차원적 공간성은 2차원적 평면 소재에서 나타나는 입체감과 공간감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는 트랜스포머블 디자인 자체에 초점을 맞춘 기존 연구와 달리 트랜스포머블 소재에 대한 이해의 틀을 제공하는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패션에서 트랜스포머블 소재의 미적 특성을 고찰함으로써 공감각을 활용한 창의적인 조형감각의 가능성과 비전을 마련하는 시각적 확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 of transformable textiles and their aesthetic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the case studies of having those textiles created through a combination of fashion and technology incorporated into contemporary fashion. The research methodologies adopted include studying literature textiles, including relevant books and journals at home and abroad, major websites in fashion industry, fashion collections, news articles and case studies focused on visual textiles drawn from fashion books. The scope of this study runs the gamut from early 2000s when transformable fashions combined with technology came into surface in earnest to today.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being ‘transformable’ and the background of its appearance have been explained by de-constructivism of post modernism and a combination between fashion and technology. Second , transformable textiles have been classified into self-transformation, awareness of surrounding environment, and user interaction before analyzing their characteristics, respectively. The study has found that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shown in contemporary fashion have been expressed in multilateral indeterminacy, visual pleasure, complex ornamentation, and 3-dimensional spatiality. First, multilateral indeterminacy has been expressed in open form that is to be completed freely depending on users and environment. Second, visual pleasure has turned out to bring interest from a brand new form and totally unexpected surprise. Third, complex ornamentation has been built in a new aesthetic quality obtained through a mix & match of heterogeneous textiles. Fourth, 3-dimensional spatiality has been shown in the cubic effect and spatial sense shown in two-dimensional flat textiles. These analysis results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the basic guideline to provide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transformable textiles unlike previous studies mostly focused on transformable design itself while providing the possibility and vision of creative modeling sense with the use of human synaesthesia by examining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ransformable textiles in fashion.

      • KCI등재

        이세이 미야케의 패션소재 유형에 따른 시각적 특성 연구

        신비라(Shin, Bi Ra),박소형(Park, So Hyo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전통적 미의식을 기반으로 독창적인 패션 철학을 지속적으로 선보이고 있는 소재의 건축가 이세이 미야케의 패션 사례를 분석하여, 소재의 유형에 따른 시각적 특성을 조형적으로 밝히는데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국내외 단행본과 저널 등의 자료를 통한 문헌 연구와 패션 관련 인터넷 사이트, 패션 컬렉션, 패션 서적에서 추출한 시각적 자료를 중심으로 사례 연구를 병행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이세이 미야케를 대표하는 소재인 플리츠를 선보이기 시작한 1989년부터 현재까지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은 첫째, 이세이 미야케의 사상과 패션에 대해 설명하였다. 둘째, 이세이 미야케 패션 소재의 유형을 에이폭, 오리가미 방식, 데코메트릭, 드레이프 형식으로 분류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현대패션에 나타난 이세이 미야케 패션 소재의 시각적 특성은 선의 재구성, 유동적인 변형, 입체적 텍스처, 공간의 확장으로 나타났다. 첫째, 선의 재구성은 선의 반복과 중첩의 리드미컬한 움직임이 만들어내는 입체적인 형태, 역동적인 패턴, 색상 대비를 이용해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 시켰다. 둘째, 유동적인 변형은 소재의 가변성과 인체의 움직임에 의해 형태가 자유자재로 변형 및 확장 되어지는 새로운 조형성을 구축하였다. 셋째, 입체적 텍스처는 텍스처의 변형을 이용한 소재 표면의 풍부한 질감 표현으로 독특한 표면 효과를 접목해 소재의 독창성을 추구하였다. 넷째, 공간의 확장은 소재 자체에 공간성을 부여한 형태로 기존의 의복 구성의 경계를 허물어 공간의 범위를 확장시켰다. 이상의 분석 결과는 이세이 미야케의 패션 디자인 자체에 초점을 맞춘 기존의 선행 연구와는 달리 이세이 미야케의 소재의 시각적 특성을 조형적 관점에서 연구함으로써, 그 가치를 인식하고 향후 소재 개발 및 창작 영역 확대를 위한 이론적 자료로 활용 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이세이 미야케의 패션 소재에 관한 분석은 패션에 있어 예술적 표현의 유기적인 관계에 관한 고찰에 기여하는 것으로 창의적인 소재 개발의 응용 가능성과 비전을 마련하는 시각을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amples of fashion created by Issey Miyake, an architect of materials, continuously revealing his original philosophy of fashion based on Japan’s traditional aesthetic sense and find out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material types formatively. As a study method, this author conducted case study accompanied by reviewing literatures including Korean and foreign books or journals and examining visual materials extracted from fashion-related internet websites, fashion collections, and fashion books. The scope of this analysis covers Issey Miyake’s works from 1989 when he introduced his representative pleats works up until now. Concerning study contents, first, this study explains Issey Miyake’s ideas and his fashion. Second, this author classifies Issey Miyake’s fashion material types into A-POC, the origami type, decometric, and the drape type and analyzes each of thei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results, visual characteristics found in Issey Miyake’s fashion materials in terms of contemporary fashion include lines’ reorganization, flexible transformation, solid texture, and space extension. First, lines’ reorganization is shown as new solid forms and dynamic patterns with the free alterations of lines, and lines’ overlapping and repetition maximize rhythmical movement and visual effect. Second, with flexible transformation, materials’ variability and the human body’s movement lead to the free transformation and extension of forms, and this constant change realizes the expression of new formative beauty. Third, about solid texture, he integrates the unique surface effect with the rich texture expression of material surfaces using texture transformation to pursue the originality of materials. Fourth, concerning space extension, expressing forms adding space to a material itself, he tears down the borders of existing costume designs and extends the range of space.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gained by examining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Issey Miyake’s materials formatively unlike advanced research focusing on his fashion design itself, this author intends to lay theoretical grounds to recognize the value and apply the results as theoretical data to develop materials and extend the areas of creation afterwards. Moreover, this analysis on Issey Miyake’s fashion materials does contribute to considering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artistic expressions in fashion therefore, it will be able to provide the perspective of establishing applicability and vision to develop creative materials.

      • 울산 다세대 · 다가구 주거지역의 주차공간에 관한 연구

        이지은(Lee, Ji-Eun),신비한(Shin, Bi-Han),강라윤(Kang, La-Youn),양세화(Yang, Se-Hwa) 한국주거학회 2019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1 No.2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examine the parking spaces for the multi-family/multi-unit housing neighborhoods in Ulsan and to figure out the needs of the resident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parking spaces. The data for the analysis were collected through observations of 9 neighborhoods in Namgu, Ulsan and questionnaire survey method from July 29 to September 11, 2019, and the sample consisted of 153 respondents living in multi-family/multi-unit housing.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alysis of variance with Duncan’s multiple range tests. Age of the respondents, the number of cars, size of cars owned, tenure type, yes or no driving ar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the needs differences of improving parking spaces in multi-family/multi/unit housing neighborhoods in Ulsa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