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한국 史學史의 위기

        신복룡(Simon Bok-Ryong Shin) 한국정치학회 1995 한국정치학회보 Vol.29 No.2

        우리는 이제 해방 반세기를 맞이하면서도 일제 잔재의 청산이라는 문제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며, 그 중에서도 식민지사학의 청산은 그리 쉽게 이루어질 것같지는 않다. 이 논문은 현대 한국 史學이 안고 있는 문제의 원인을 穿鑿하되 주로 식민지사학과 그 후유증이 어떻게 잔존하고 있는가를 살펴보기 위해 쓴 것이다. [1] 근대 한국 사학의 형성기라 할 수 있는 대한제국 말기 이후 한국의 역사가 국난[한일합방]에 접어들었다고 하는 사실은 한국의 역사가로 하여금 亡國의 悔恨에 몰두하게 만듦으로써 역사가 悲憤慷慨의 논조로 偏向되었다. 역사학이 부분적으로 민족 정서를 담을 수는 있지만, 이러한 감상적 필치는 史學을 「탓의 역사학」으로 흐르게 하였다는 점, 역사를 敵 또는 투쟁의 논리로 설명하려 했다는 점, 그리고 영웅사관을 낳았다는 점에서 비판받을 수 있다. [2] 학문에는 각기 시야가 있고 地平이 있다. 그러나 한국의 사학계에서 나타나고 있는 同門 우대의 사조는 일종의 同種 交配(inbreeding)이며 근친 상간(academic incest)이라고 할 수 있다. 대학 교수의 충원에서 나타나고 있는 동문 우선은 그들이 우수하기 때문이 아니라 엘리트 의식이나 집단적 폐쇄주의 또는 집단 이기주의가 그 배후에 자리잡고 있다는 점에서 심각할 정도의 나쁜 영향을 끼치고 있다. [3] 한국의 역사학은 암기식 교육과 연구 방법에 있어서 그 중요한 도구인 외국어 교육을 소홀히 한 채 한자로 쓰여진 자료에 지나치게 의존함으로써 자료의 빈곤과 영역의 협소를 자초하고 있다. 한국사가 한국의 역사만이 아니라 세계 속의 역사이기 위해서는 「대롱 視角」[管見]을 통해 한국을 볼 것이 아니라 더 많은 도구로써 더 넓은 지평을 바라보아야 한다. [4] 한국인들이 본시 기록을 남기는 일에 소홀했다는 사실 이외에도 사학의 발전을 저해하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는 자료의 비공개성이다. 자료의 소장자가 개인일 경우에는 그의 금전적 가치를 계산하려는 商魂과 獨占慾이 그의 공개를 막고 있으며, 공공 기록의 공개 시기와 절차도 많은 불편을 주고 있다. 역사학이 결국 史料와의 싸움이라고 한다면, 자료의 합리적 교류를 위한 구조적 전환과 학자의 너그러움이 필요하다. [5] 현재 한국 사학계의 주도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史觀인 實證主義는 과연 실증적이었나를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 사관은 다양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의 실증 사학은 자신과 다른 사관을 편협하게 배척했으며 학문의 기득권에 집착했다. 그들이 일제 치하의 朝鮮史編修會의 학통을 이어 받았다는 前非도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다. [6] 해방 정국 이후 우리의 역사가 암울한 우익의 시대로 점철된 이후 1980년대에 이르면 그에 대한 반사 작용으로 민중주의가 범람하기 시작했다. 역사에는 민중 사관으로 해석할 수 있는 영역이 분명히 있음을 시인하더라도 오늘날 한국의 민중주의는 역사를 가슴으로 쓰는 인상을 주고 있으며, 학문의 연속성을 외면한 채 先學의 업적에 무례하리만큼 도전적이다. 영웅 사관이 오류를 안고 있듯이 지나친 민중주의는 역사의 다른 한 부분을 외면하고 있는 것이다. [7] 한국의 역사학은 텔레비전의 史劇이나 역사 소설의 誤導로부터의 해방이 필요하다. 소설은 소설로 끝나야 하며 사극은 사극일 뿐이다. 그러나 지금의 현실은 우려할 만큼 그들의 흥미 본위나 선정주의가 역사의 진실인 양 시청자와 독자를 사로잡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역사학자는 물론 작가와 독자 시청자에게 공통의 책임이 있다.

      • KCI우수등재

        한국 신탁통치의 연구

        신복룡(Simon Bok-Ryong Shin) 한국정치학회 1994 한국정치학회보 Vol.27 No.2

        (1) 한국 현대사에 있어서의 신탁통치 파동은 분단의 고착화 과정의 중요한 분기점을 이루고 있다는 점에서 그 연구의미를 찾을 수 있다. 이 논문은 주로 이와 관련한 미국의 선택(alternatives)과 변화를 다룬 것이다. (2) 미국이 한국의 탁치를 결정하기까지에는 신(新) 윌슨주의자로서의 루즈벨트의 개인적 이상, 필리핀에서의 미국의 경험, 당시 미국의 정가와 재야에 풍미하던 반식민지주의적 여론, 한반도에서의 1국 지배를 저지해야 한다는 안보 전략 등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였다. (3) 미국의 탁치구상에 대해 소련은 ¼의 지분(持分)에 만족할 수 없었으나 공공연한 약속〔카이로선언〕을 파기했다는 비난을 피하기 위해 공식적으로 반대할 수 없었고, 영국은 한국에 국익이 걸려 있지는 않았지만 대영제국의 붕괴를 의식하여 이를 반대하면서도 미국의 정책을 거스를 수 없는 입장이었고, 중국은 탁치를 반대하면서도 4대강국의 일원이 된다는 명분과 미국에 대한 의존도 때문에 미국의 정책을 따랐다. (4) 당초 루즈벨트에 의해 구상된 한국의 탁치안은 그의 죽음과 정권교체, 냉전의 개막, 원폭실험의 성공에 의한 극동전략의 변경, 그리고 한국인의 격렬한 반탁운동과 더불어 변질되었다. (5) 결론적으로 미국은 한국의 독립과 통일을 지원하거나 서둘러야 할 이유가 없었다. 4대국 탁치안은 처음부터 불가능한 구상이었으며 분단을 고착화시키는 지혜롭지 못한 선택이었다.

      • 해방 정국에서의 신탁 통치 파동 : 1945-1947

        신복룡 건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99 社會科學論叢 Vol.23 No.-

        [1] This study was written to depict the logic of disputes on trusteeship after the Liberation in Korea, 1945-1947. [2] It is necessary to analyse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exactly that the right-wings asserted the anti-trusteeship and the left wings assented the trusteeship, because right-wing really asserted the anti-trusteeship but left-wing, exactly speaking, asserted the Agreement of Three Ministers of Foreign Affairs(USA, USSR, UK) in Moscow Conference. Considering that the right-wings focused on the terms of trusteeship but the left-wings on those of provisional government, it is not logical to say that the right-wing protested against the trusteeship and the left-wing approved the trusteeship. The right-wing, who read the English edition of Agreement which focused on the trusteeship, were deeply impressed by the term of 'Trusteeship' but the left-wing, who read the Russian edition which contained the guardianship(Oneka) in stead of trusteeship, were impressed by the promise of Provisional government, and consequently they were not negative to the Moscow Agreement. Therefore the disputes on trusteeship were originated from their misunderstanding of the terms of Moscow Agreement. This controversial problem could be solved by sincere dialogue and broader view point among the political leaders, but both sides of them were neither generous nor able. [3] Our ultimate question is which was right, anti-trusteeship or pro-trusteeship? As the advocates of pro-trusteeship said, it is true that the trusteeship would postpone the independence of their state but it could deter the aggressive desire of Russian people. But the history could not turn her face from the popular emotion, as to say, anti-trusteeship atmosphere. It is important to point that they had to unite along the same line whether it was anti or pro-trusteeship. It was tragic that they were separated along their partial and selfish interest. If they were united, there would be some possibilities to evade the separation of territory. [4] It is not true logic to say that pro-trusteeship was pro-communist and anti-trusteeship was nationalistic. And it is not true to say that pro-trusteeship was emotional conclusion and anti-trusteeship was theoretical one. Both of them were neither reasonable nor patriotic. They did not have any concrete idea. They were worried about their own interest. They had to persuade the mass who were indulged in Jacobian mentality. They had to guide the people in the turmoil of Liberation. "ey had to do as the eye-surgeon specializing in removing cataracts." [5] The above logic does not deny the reasonabilities of the three Powers. They were also responsible for the national rupture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They devoted himself to exclude the "main of one power."hey were not sympathetic to the destiny of Korean people. Concludingly speaking, the device of anti-trusteeship was impossible one. It made the Korean people give up the Union of peninsula as hopeless one.

      • 해방 정국에서의 박헌영(朴憲永)과 김일성(金日成)의 갈등

        신복룡 건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0 社會科學論叢 Vol.24 No.-

        [1]This article was devised to depict the conflict between two Communist leaders Park Hun-young and Kim Il-sung,and its result in the age of Liberation(1945-1953) of Korea. [2]As a genius, Park was born irregular son in a poor family.Being a concubine of small land-lord,his mother managed a tavern.His brievances, which he had experienced in his child-boyhood seriously effected his political behavior afterwards.After studies ay regular schools, he was indulged in the domestic commumist movement.On the other side, Kim Il-sung was born in Christain family,amd connected with Communism,while being exiled with his father in Manchuria.On the Liberation day,he was captain of 88 Bribade in Red Army. [3]Park amd Kim were contract in their political line. (1) park was indulged in the peoples frpnt,but Kim in national unification front. (2) In the divice fo antional indepentent fight, Park preferred to Lenin's vanguard theory,but Kim stepped on populism. (3) Park and Kim clashed with the building of North Korean Branch of Korean Communist party. Park wanted to control the North Korean Commnnist including Kim under the principle of "One-party in One-state," But Kim,backed by the Red Army in North Korea,proclaimed to establish the North Korean Labor Party under the name of "distinct situation." (4) In the process of 3 parties merge of Korean Communist Party,Korean Peoples Party and Korean New Democratic Party, Park wanted to stand on the center of leftist circle but failed.Kim wished to merge the three parties around Ryu Woon-hyung.When it failed,Kim concluded that Park's secrtarianism was reaponsible to it. (5) Park could not look-over the U.S. Military Government's policy to collaborate the moderate leftist Ryu Woon-hyung and the moderate rightist Kim Kyu-sik. But Kim wanted that Ryu could bring Park under his control through collaboration. (6) Joseph stalin chose Kim rather than Park, because ha preferred the Commimtern-oriented to the domestic communist. [4]At the origins and process of the Korean War, Park belived the possibility of people's uprising's but Kim, who has experienced the armed struggle against Japanese rule, preferred to guerilla strife.When they lost the Korean War, Kim shuffled the responsibility for defeat on to Park, and purged him. [5]concludingly speaking, the conflicts between Park and Kim were the struggle between the domestic-classical commumist and Comminterm,but Kim won the game under the favorable auapices of J. Stal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