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아전문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개인적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김자경 ( Kim Ja-kyoung ),신보희 ( Shin Bo-hee ),김경미 ( Kim Kyoung-mi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7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9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아전문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개인적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B시에 소재하고 있는 15곳의 장애아전문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141명을 대상으로 행복감, 개인적 교수효능감, 직무 만족도 설문을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Pearson 적률상관, Baron과 Kenny의 3단계 절차에 따른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통계처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아전문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개인적 교수효능감, 직무만족도 수준은 모두 보통으로 나타났다. 둘째, 행복감, 개인적 교수효능감, 직무만족도는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행복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개인적 교수효능감은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행복감과 개인적 교수효능감은 장애아전문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행복감과 개인적 교수효능감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고, 행복감이 직무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개인적 교수효능감이 매개될 때 직무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appiness on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in day-care center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 of personal teaching efficacy. Method: For this purpose, 141 teachers who work in child-care cent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B city were surveyed about their happiness, personal teaching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mediation analysis of Baron and Kenny.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happiness, personal teaching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were normal, and all three variable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lso, personal teaching efficacy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job satisfaction.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happiness, personal teaching efficacy are an important factor for job satisfaction. And although happiness has a direct effect on job satisfaction, it can be seem that job satisfaction is more influenced when personal teaching efficacy are mediated.

      • KCI등재

        중,고등학교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학교소속감과 우울, 불안 간의 관계

        김현주 ( Hyun Ju Kim ),김자경 ( Ja Kyoung Kim ),신보희 ( Bo Hee Shin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5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1 No.3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통합학급에 입급된 장애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학교 소속감과 우울, 불안 정도를 비교하고, 이들 변인 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U시와 B시에 위치한 44개의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201개의 설문지를 기초로 하여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중·고등학교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학교소속감 수준은 고등학교 학년, 장애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하위영역인 학교편안감에서 지체장애학생이 학습장애 학생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학교애착감에서 고등 학교 3학년 장애학생이 고등학교 1학년 장애학생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고등학교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우울 수준은 우울정서 및 행동장애 하위영역에서 부분통합된 장애학생이 완전통합된 장애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행동장애 영역에서 중학교 1학년 장애학생이 중학교 3학년 장애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중·고등학교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불안 수준은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중·고등학교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학교소속감과 우울, 불안 간에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우울과 불안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sense of school belonging, depression, and anxiet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es of the secondary schools. Participants are 201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wo cities, B & U.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the sense of school belonging according to the disability types and high school grades.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show higher level of sense of school-comfort than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the third grade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w higher level of sense of school-attachment than the first grad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high schools. Seco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re observed in the total scores on all domains of depression. But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level of melancholy emotion and behavioral problem between the students in the special classes and the full inclusive classes. Also the first grade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w higher level of behavioral problem than the third grade students in the middle schools. Thir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re found in the level of anxiety on all domains. Fourth, there a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sense of school belonging and depression, between the sense of school belonging and anxiety. But there is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depression and anxiety.

      • KCI등재

        장애성인의 기능적 문제 능력 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서유경 ( Yoo Kyung Soo ),안성우 ( Seoung Woo Ahn ),신보희 ( Bo Hee Shin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4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6 No.2

        장애성인이 사회에서 독립적으로 기능하기 위해서 읽고 쓰는 능력을 활용할 수 있는 것을 기능적 문해 능력이라고 한다. 본 연구는 장애성인들의 기능적 문해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문해에 참여할 때 사용되는 인지 과정에 따라 문해를 사실적 문해, 추론적 문해, 비판적 문해로 분류하고, 이 각각의 문해를 어떤 하위 요소들로 평가하는 것이 타당한지와 중요한지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장애성인의 문해 관련 특성들에 대한 전문적지식을 갖고 있는 124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31개 요소들에 대한 타당도 와 중요도가 도출되었는데, 특히 응급전화번호, 대중교통 노선도ㅡ 교통표지판, 달력 등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경험하는 요소들에 대한 타당도와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추후 장애인의 기능적 기능적 문해 능력 평가 문항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ool to measure an ability of functional literacy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Prior to the development of the tool, first, the study investigated the validity and the importance if functional literacy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measure an ability of functional literacy that we focus on reading skills only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the study classified an ability of functional literacy into three sub-domains, the documentary literacy, inferential literacy and critical literacy, And then, the study investigated factors in the sub-domain of functional literacy whether having validity for evaluation of functional literacy or not, and investigated these factors whether having importance in their daily life or no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124 specialists in special education area living in Busan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all factors had the validity and the importance to measure an ability of functional literacy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