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ARQ 시스템에서 LDPC 부호의 반복 복호 중단 기법

        신범규(Beomkyu Shin),김상효(Sang-Hyo Kim),노종선(Jong-Seon No),신동준(Dong-Joon Shin) 한국통신학회 2008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3 No.9C

        반복적인 신뢰 전파 알고리듬을 low-density parity-check(LDPC) 부호에 적용하는 경우 패리티-검사를 이용한 기존 복호 중단 기법은 높은 signal-to-noise ratio(SNR) 영역에서 반복 복호 수를 줄이는 것을 가능케 한다. 그러나 재전송 요청이 빈번한 Hybrid-ARQ(H-ARQ) 시스템에서는 낮은 SNR 영역에 적합한 복호 중단 기법이 없기 때문에 복호에 실패하는 경우 많은 양의 불필요한 반복 복호가 수행된다. 본 논문에서는 결국 복호에 실패하게 될 LDPC 부호 블록들을 복호 초기 단계에서 발견하기 위하여 신뢰 전파 복호에서 임시 부호어의 신드롬 무게를 이용한 중단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H-ARQ 시스템을 위한 LDPC 복호기에서 구현 복잡도의 증가와 성능의 열화 없이도 연산량을 70-80% 감소시킨다. By using inherent stopping criteria of LDPC codes, the average number of iterations can be substantially reduced at high signal to noise ratio (SNR). However, we encounter a problem when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systems are applied. Frequent failures of decoding at low SNR region imply that the decoder reaches the maximum number of iterations frequently and thus the decoding complexity increas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mbination of stopping criteria using the syndrome weight of tentative codeword. By numerical analysis, it is shown that the decoding complexity of given H-ARQ system is reduced by 70-80% with the proposed algorithms.

      • KCI등재

        한국고대 군제사 연구의 새로운 모색 : 김종수, 한국 고대·중세 군사제도사 (2020)

        신범규(Shin Beomkyu) 백산학회 2020 白山學報 Vol.0 No.117

        본 연구는 『한국 고대·중세 군사제도사』에 대한 비평 논문으로서 그중에서도 한국고대 군사제도를 바라보는 연구서의 시각을 검토하고 분석한 것이다. 이를 통해 앞으로의 고대 군사제도에관한 연구들이 나아가야할 방향과 과제를 제언하고자 하였다. 본서는 한국고대 군사제도를 중세로 편입하는 시도를 한다. 일반적으로 바라보는 시대구분과는 달리 삼국의 군제가 보다 발전적인모습을 가지고 있었음을 제언하였다. 또한 군제에 관한 사료 분석 방법론을 논하며 부족한 사료안에서도 연구를 진행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방법론과 시각을 통해 고대군사제도사의 다양한 논의점들을 분석하여 저자만의 논지를 전개해 나갔다. 본서는 거시적인시각에서 한국 군사제도의 연속성을 탐구했다는 점과 척박한 연구 환경 속에서 군사제도를 다루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 다만 이로 인해 발생하는 일부 세부적인 한계점들도 확인된다. 앞으로 한국 고대 군사제도 연구자들이 함께 고민해야할 점들을 추슬러 제언해 본다. This study is a critical paper on the 『History of ancient and medieval military systems of Korea』. Among them, the research paper examines the ancient Korean military system. Through this, I suggest the direction and challenges of the research on ancient military systems. This book attempts to incorporate the ancient Korean military system into the Middle Ages. Unlike the general classification of the times, it is suggested that period of the Three States had a more advanced appearance. It also discusses the methodology of the analysis of feed on the military system. It presents a way to conduct research even within insufficient feed. Through these research methodologies and perspectives, various points of discussion in ancient military institutions are analyzed, and the author develops his own argument. This book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explored the continuity of the military systems of Korea from a macroscopic perspective and covered the entire military system in a poor research environment. However, some detailed limitations that result from this are also identified. In the future, researchers of Korea s ancient military systems should think about things together.

      • KCI등재
      • KCI등재

        신라 內外兵馬事의 성격과 변화 양상

        신범규(Shin, Beomkyu) 한국고대사학회 2020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99

        본고는 신라 내외병마사의 구분 기준과 변화, 그리고 운영 양상에 대하여 검토하고자 한 글이다. 신라는 상고기부터 내외병마사라 일컬으며 국가의 군사행정업무를 표현하였다.『삼국사기』의 내외와 관련한 용례를 살펴보면 이는 중앙과 지방으로 이해되는 모습을 보이나, 군적 · 축성과 같이 군사행정업무는 중앙과 지방이 유기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특성으로 인해 단순히 중앙과 지방으로 분리하여 볼 수 없다. 따라서 그 범위를 수정하여 왕성을 중심으로 그 안은 內, 밖은 外라는 관념을 포함하고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사금기 이찬 · 이벌찬 · 서불한 등 고관에게 내외병마사를 위임할 당시 신라와 소국과의 관계는 복속의 형태로서 완전한 영역지배가 아닌 속국의 형태로 유지되고 있었다. 따라서 실제 지배영역은 왕성을 중심으로 한 경주지역에 그쳤으며, 이는 더욱 당시 내외가 왕성을 기준으로 구분되었을 가능성을 높여준다. 한편 진흥왕대에 이사부를 병부령으로 임명하면서 내외병마사를 관장케 했다는 기록이 전하는데, 이를 바탕으로 병부의 관장업무는 내외병마사라는 이해가 지배적이었다. 그런데 내외병마사에 대한 기록이 마립간기 이후 이사부가 병부령에 임명되는 진흥왕대까지 확인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사금에서 마립간으로 교체되는 시점에는 내외병마사의 분화가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내병마사는 왕이 직접, 외병마사는 장군에게 위임하여 관장하게 되었다고 여겨진다. 그리고 병부와 시위부의 설치로 최종적으로는 시위부=내병마사, 병부=외병마사라는 관리 형태로 제도적인 완비가 이루어졌다고 이해된다. This article consider the criteria, changes, and operational patterns of “Naeoebyeongmasa(內外兵馬事)” of Silla. Silla expressed the military administration of the country, calling it a “Naeoebyeongmasa(內外兵馬事)” since Upper-Ancient(上古) Period. The inside(內 )and outside(外) are understood as central and local in the Samguksagi(『三國史記』). However, military administrative work cannot be regarded simply as central and provincial due to the nature of central and local affairs being carried out organically. Therefore, the scope should be modified to distinguish between inside(內) and outside(外) based on the royal castle(王城). The relationship between Silla and small states(小國) during this period was not complete territorial control as a form of obedience. Therefore, the actual area of control was only Gyeongju, which was centered on the royal castle. This raises the possibility that the inside and outside were divided based on the royal castle at that time. Meanwhile, records show that Yi Sa-bu was appointed as a byeongbu-ryeong(兵部令) at King Jinheung(眞興王) period, and based on this, it was widely understood that the byeongbu’s duties were “Naeoebyeongmasa(內外兵馬事)”. However, records of “Naeoebyeongmasa(內外兵馬事)” have not been confirmed from Maripgan(麻立干) period until the reign of King Jinheung, Thus the separation of “Naeoebeyongmasa(內外兵馬事)” was made at the time of being replaced by Maripgan(麻立干) from Yisaguem(尼師今). As a result, it is thought that Naebyeongmasa(內兵馬事) was directly managed by the king, and Oebyeongmasa(外兵馬事) was entrusted to the general. And it is understood that the installation of Byeongbu(兵部) and Siwibu(侍衛府) ultimately resulted in equipped in the form of management, Siwibu=Naebyongmasa and Byeongbu=Oebyeongmas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