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도메타신이 개의 유치 치근 흡수에 미치는 영향

        신강섭,강윤구,이기수 대한치과교정학회 2005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5 No.2

        이 연구는 흡수중인 유치를 대상으로 인도메타신이 치근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치근흡수에 관련된 주위 조직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시행되었다. 인도메타신은파골세표의 수를 감소시키고 골흡수를 감소시키며, 골형성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으나 형태와 기능이 유사하다는 파치세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희소하다. 생후 12-13주된 잡견 6마리를 통상적으로 복용량인 인도메타신 2㎎/㎏/day를 14일간 투여한 군과 과량의 8㎎/㎏/day를 14일간 투여한 군과 대조군으로 구분하였으며 흡수중인 하악 절치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 치아는 5㎛ 두께의 절편을 만들고, H & E 중염색. Masson의 trichrome 염색을 시행하고 광학현미경으로 검경하였으며,파치세포의 수와 핵의 수를 비교하였다. 관찰 결과 유치 치근 흡수 조직은 골개조 소견과 함께 염증 소견과 유사한 소견을 보였다. 흡수중인 유치의 치수는 치근흡수부위에 가까운 조상아세포층은 변성의 소견을 보이나 멀리 떨어진 치수는 정상인 소견을 보였으며 인도메타신이 투여된 실험군에서는 파치세포의 수적 감소와 핵의 수적 감소를 미약하게 나타냈다. 그러나 인도메타신이 흡수중인 치아의 치수에 미치는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인도메타신은 파치세포의 수적 감소를 미약하게 일으키며, 장기간의 인도메타신 투여는 유치 치근흡수의 지연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e study was aimed to invesigate the effects of indomethacin on physiologic root resorption and to examine the dental pulp and tissue changes around the resotbing teeth. 13-14 week old six mongrel dogs were divided into 3 groups: two experimental groups administered indomethacin 2㎎/㎏/day and 8㎎/㎏/day orally two times a day for 14 days respectively, and control group administered a placebo. The deciduous incisors showing root resorption were selected, fixed for 24hrs in 10% formalin solution, demineralized in 10%EDTA solution, invested in paraffin and sectioned in 5㎛ thick sections. The preparations were staine with H & E staining and Masson's trichrome staining and examined unger the light microscope. Observation revealed that deciduous root resorbing tissue resembles inflammatory tissue and accmpanies bone remodelling. The dental pulp was normal except the area near root resorption, well organized columnar odontoblasts layer under the predentin, and the odontoblasts near root resorption were cuboidal or flat cells in the disrupted layer under the predentin. Indomethacin administered group showed a partial decrease in the number of odontoclasts and nucleus. But there was no sign of pulp change by indomethaci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domethacin inhibits recruitment of odontoclasts partially and that of osteoclasts more, and so when it is administered for long periods, deciduous root resorption can be delayed and eruption of the successor can be delayed for a short period.

      • SCOPUSSCIEKCI등재

        법랑질의 표면처리가 광중합형 및 화학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신강섭,이기수 대한치과교정학회 1995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5 No.2

        이 연구는 법랑질의 표면처리가 광중합형 및 화학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의 브라켓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의 브라켓전단결합강도와 치과교정용 레진접착제의 그것과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발거된 사람소구치의 법랑질표면을 10% 폴리아크릴산용액, 38% 인산용액과 퍼미스로 처리한 후, 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의 일종, 화학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의 일종 및 화학중합형 치과교정용 레진 접착제의 일종으로 법랑질표면에 금속브라켓을 접착하고, 37℃의 증류수속에 24시간 침지시킨후, 브라켓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접착파정패턴을 관찰하였으며, 표면처리된 법랑질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와 결론을 얻었다. 1. 표면처리방법에 관계없이 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의 브라켓전단결합강도는 화학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의 그것보다 높았다. 2. 38% 인산용액과 10% 폴리아크릴산용액은 퍼미스보다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의 브라켓전단결합강도를 높였다. 3.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에서 10% 폴리아크릴산용액은 법랑질표면을 미약하게 부식시키고 청결하게 하였으며, 38% 인산용액은 법랑질을 심하게 부식시켰고, 퍼미스를 이용한 세마는 법랑질표면에 불규칙한 흠집을 만들고 청결하지 못한 표면을 만들었다. 4. 10% 폴리아크릴산용액으로 표면조건화된 법랑질에 대한 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의 브라켓 전단 결합강도는 38% 인산용액으로 부식된 법랑질에 대한 치과교정용 레진접착제의 그것과 유의차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는 10% 폴리아크릴산용액으로 표면조건화시킨 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에 의한 브라켓 접착은 통상적으로 사용되어온 치과교정용 레진접착제에 의한 브라켓 접착을 대체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surface conditioning with 10% polyacrylic acid, etching with 38% phosphoric acid, and polishing with a slurry of pumice on shear bond strengths of light-cured glass ionomer cement, chemically cured glass ionomer cement, and a composite resin to enamel, and to observe the failure patterns of bracket bondings. Shear bond strengths of glass ionomer cements were compared with that of a composite resin. Metal brackets were bonded on the extracted human bicuspids after enamel surface treatments, and samples were immersed in the 37℃ distilled water bath, and shear bond strengths of glass ionomer cements and a composite resin were measured on the Instron machine after 24hrs passed, and the deboned samples were measured in respect of adhesive remnant index. Scanning electron micrographs were taken of enamel surfaces after various treatments. The data were evaluated and tested by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those results were as follows. 1. Shear bond strength of light-cured glass ionomer cement showed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chemically cured glass ionomer cement. 2. Shear bond strengths of light-cured and chemically cured glass ionomer cements to enamel treated with 10% polyacrylic acid and 38% phosphoric acid showed statistically higher than those with a slurry of pumice. 3. According to scanning electron micrographs, enamel surface conditioned with 10% polyacrylic acid is slightly etched and cleaned, that etched with 38% phosphoric acid is severely etched, and that polished with a slurry of pumice is irregulary scretched and not completely cleaned. 4. After debonding, light-cured glass ionomer cement to enamel treated with 10% polyacrylic acid showed less residual materials on the enamel surface than composite resin to enamel etched with 38% phosphoric acid. 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hear bond strength of light-cured glass ionomer cement to enamel treated with 10% polyacrylic acid and that of composite resin to enamel etched with 38% phosphoric acid.

      • SCOPUSKCI등재

        다층금속배선공정 중 세정 공정에서 발생하는 텅스텐 부식

        이원규,신강섭 한국화학공학회 2001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39 No.5

        다층금속배선공정에서 금속배선과 하부의 비아 플러그의 오정렬로 텅스텐이 노출되는 경우에 앞선 플라즈마 공정에서 발생하는 양이온에 의한 전하축적으로 금속배선층의 전위가 상승되어 플러그 텅스텐이 알칼리 용액에서 부식이 된다. 이와 같은 플라즈마 공정수행에서 기인되는 전하축적에 의한 부식은 금속식각 후 감광막 제거공정이 주원인이었다. 전하축적에 의한 비아 플러그내와 텅스텐의 부식현상은 전하축적의 주요 단계로 확인된 감광막 제거공정에서 RF형 보다 마이크로웨이브형 플리즈마 감광막 제거장치를 사용하는 것과 플라즈마 발생 시 기체조성 조절에서 산소에 수소성분이 함유된 기체를 첨가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부식감소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비아 플러그 상부의 금속배선막 상부에 절연막인 실리콘산화막을 하드마스크(hard mask)로 사용하는 경우도 텅스텐 부식 방지효과가 있었다. In multilevel metallization process, when tungsten plugs have been exposed by misalignment between metal lines and via plugs, tungsten plug could be easily corroded in alkali solution due to positive charging into metal layers from ions generated by plasma. In this study, we have found that photoresist ashing process among several plasma processes was a main cause of positive charging. Here are results for reducing or eliminating tungsten corrosion: Choosing microwave-type plasma asher showed the better results than RF-type for reducing corrosion opportunity of tungsten. Oxygen in plasma ambient was highly ionized which leaded positively charging of metal lines during plasma photoresist ashing process. However, gas species containing hydrogen atoms, i.e. H₂, H₂O and N₂/H₂ mixture, showed the reducing effect of positive charging by capturing or neutralizing activity of hydrogen atom in oxygen ion rich environment. And also the effect of dielectric hard mask deposited over metal layer on the reduction of positive charging could be confirmed.

      • SCOPUSSCIEKCI등재

        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의 브라켓 접착후 시간 경과에 따른 전단결합강도의 비교연구

        이기수,임호남,박영국,신강섭 대한치과교정학회 1995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5 No.5

        이 연구는 시간 경과에 따라 폴리아크릴산 용액으로 표면 조건화된 법랑질에 대한 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의 브라켓 전단결합강도를 인산용액으로 부식된 법랑질에 대한 치과 교정용 레진 접착제의 그것과 비교하여 브라켓을 접착할 때 상용되어 온 치과교정용 레진 접착제를 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며 시멘트로 대체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구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발거된 사람 소구치의 법랑질 표면을 각각 10% 폴리아크릴산용액과 38% 인산용액으로 처리한 후, 각각 시판되고 있는 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의 일종(Fuji Ⅱ LC)과 화학중합형 치과교정용레진접착제의 일종(Mono-Lok 2)으로 법랑질 표면에 금속브라켓을 접착하고, 시편을 실온에서 5분, 15분 방치한 후, 37℃의 증류수 속에 1일, 35일동안 침지시킨 후, 브라켓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접착파절 패턴을 관찰하였다. 브라켓 접착 5분과 15분 후의 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의 브라켓 전단결합강도는 치과교정용 레진 접착제의 그것보다 유의성 있게 높았다. 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와 치과 교정용 레진 접착제의 브라켓 전단결합 강도는 브라켓 접착 1일 까지 증가하였으나 1일군과 35일군의 그것 사이에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는 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가 브라켓 접착제로서 임상적인 유의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effects of time on shear bond strengths of a light-cured glass ionomer cement and chemically cured resin cement to enamel, and to observe the failure patterns of bracket bondings. Shear bond strength of a light-cured glass ionomer cement were compared with that of a resin cement. Metal brackets were bonded on the extracted human bicuspids. Specimens were subjected to a shear load(in and Instron machine) after storage at room temperature for 5 and 15 minutes; after storage in distilled water at 37℃ for 1 and 35 days. The deboned specimens were measured in respect of adhesive remnant index. The data were evaluated and tested b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t-test, and thos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hear bond strength of light-cured glass ionomer cement is higher than that of resin cement at 5 and 15 minutes. 2. The shear bond strength of both light-cured glass ionomer cement and resin cement increase with tim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ose of both 1 day group and 35 day group 3. Light-cured glass ionomer cement is suitable as orthodontic bracket adhesives

      • PEMFC 고분자 전해질막의 운전온도에 따른 성능변화

        이호(Lee, Ho),신강섭(Shin, Kang-Sup),박권필(Park, Kwon-Pil)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7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7 No.11

        PEMFC의 상용화 진입에 있어서 걸림돌 중의 하나가 열화(degradation)에 의한 성능감소이다. PEMFC 고분자 막의 열화가 PEMFC 성능 감소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고분자 막의 성능 감소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무가습/OCV조건에서 성능 감소가 잘 된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OCV/무가습 조건에서 과산화수소나 라디칼이 많이 형성될 수 있다는 것과, OCV조건에서 사용되지 못하는 수소와 산소의 gas-crossover 가 많기 때문이라는 것 그리고 무가습 조건에서 수소와 산소의 분압이 높아 gas-crossover 가 유리하고 악의 건조에 따른 물리적인 영향 등등이 거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같은 조건에서 Cell 운전온도가 막열화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OCV 여려 조건 에서 단위전지 실험을 한 후 I-V, 수소 투과도, 임피던스, FER(fluoride emission rate)등을 측정해 그 결과를 검토 분석하였다. OCV/Anode 무가습 조건이 알려진 대로 막열화 가속조건 이었음을 확인하였고, 실험 결과 Cell 운전온도가 10?C증가 할 때마다 FER(fluroide emission rate)이 즉 막 열화속도가 약 2배정도 증가함을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