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간 아카이브 활성화의 의미와 과제: 마을공동체 아카이브를 중심으로

        손동유 한국기록학회 2020 기록학연구 Vol.0 No.65

        Twenty years after the Records Managemen Act was first enacted, the archiving environment has changed a lot. The advent of the electronic records environment, the importance of presidential records management, and the importance of managing private records have been a direct background to the 2006 revision of the Records Management Act. The field of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and the field of presidential records management have challenges and limitations, but have been steadily developing. However, in the private sector, archiving has not chang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voluntary activity. Now the maeul-community is calling for a response from the records management community. A society develops when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 cooperate with each other and form healthy check-ups. In the archiving field, it must also become active through cooperation. 기록관리법이 처음 제정된 후 20여년이 지난 지금 기록관리 환경은 많이 바뀌었다. 전자기록환경의 도래, 대통령기록관리의 중요성, 민간기록물관리의 중요성 등은 2006년 기록관리법을 전면 개정하는 직접적인 배경이 되었다. 전자기록관리분야와 대통령기록관리 분야는 과제와 한계가 있지만 꾸준히 발전해 오고 있다. 그러나 민간분야의 아카이빙 활동이 활발해지고 있는 양상에 비해 정책과 제도의 변화는 크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마을공동체 아카이빙의 전국적 움직임은 기록관리계의 대응을 주문하고 있다. 한 사회는 민간영역과 공공영역의 서로 협력하고 건강한 견제관계를 이룰 때 발전하게 된다. 아카이빙 분야에 있어서도 관민의 협력을 통해 사회전반에 걸쳐 활발한 아카이빙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지방의 역사기록관리 활성화 방안 연구

        손동유 한국기록학회 2011 기록학연구 Vol.0 No.28

        This study presents how to vitalize the record management of the provinces by investigating the current issues and by identifying the universality and the distinctiveness of the record management in local agencies. However, it only deals with the system of the record management, focusing on the history of the provinces. Although the related projects conducted by the provinces of Korea consist of various types, including publishing the local history, creating the activities of local cultural institutes, and collecting and organizing the historical records, these have not been active in many regions with insignificant achievements. In this regard, local self-governing bodies need to actively fulfill the duty of the management not only for the administrative archives but also for the historical archives by aggressively interpreting the associated parts suggested by the Act on the Management of Public Archives. Ultimately, it is proper to integrate theses two functions. Moreover, an effective collection is the core part of the record management of history. Therefore, a ‘committee’ with experts should provide in-depth views from planning to post-processing stages. Meanwhile, a consensus on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of the historical archive management between owners and concerned parties should be formed during the collection process. In conclusion, each local autonomous entity should make sure of the active record management of history through establishing their own mid to long-term development plans, securing experts in archive management, as well as providing the service for record contents. 이 연구는 지방 기록관리의 현재 상황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지방 기록관리가 갖는 보편성과 특수성에 대하여 파악한 뒤, 기록관리의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제시한 것이다. 단, 역사기록중심의 관리체계를 주요 논제로 하였다. 우리나라 지방의 역사기록과 관련한 사업을 추진하는 몇 가지 유형은 지역사 발간사업, 지방문화원의 활동, 역사기록수집 및 정리사업 등으로 볼 수 있는데, 현재까지는 많은 지역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 못하며, 그 성과도 미미한 상황이다. 따라서 기록관리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관련 내용을 적극적으로 해석하여 각 지방에서는 행정기록의 관리는 물론이고 역사기록의 관리를 능동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으며, 궁극적으로 양자를 통합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집을 효과적으로 하는 것은 역사기록관리 업무의 관건이다.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위원회’를 두어 기록의 수집계획부터 수집된 이후 프로세스까지 심도있게 수행해야 한다. 그리고 수집과정에서 기록물을 소장하고 있는 사람들과 역사기록 관리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하여 공감대를 최대한 형성하면서 적극적인 홍보를 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지방에서는 저마다의 기록관리 장단기발전계획 수립, 기록관리 전문가 확보, 기록정보콘텐츠 서비스 등을 통해 지역의 역사기록관리가 활성화되도록 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사립대 아카이브즈의 위상과 기능에 관한 연구

        손동유 한국기록학회 2004 기록학연구 Vol.0 No.9

        이 글은 한국의 사립대 아카이브즈의 위상과 기능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다. 대학의 아카이브즈는 민주적 대학운영, 역사와 문화의 정체성 확보, 행정의 효율화를 위하여 반드시 필요하다. 사립대 아카이브즈는 전문성과 독자성에 비추어 볼 때 대학내에서 독립기구화 되어야 하며, 명칭은 ‘OO대학 기록관’이 적당하다. 또한 합리적인 운영을 위해서 ‘운영위원회’와 ‘실무위원회’를 함께 구성해야 한다. 또한 이들 ‘위원회’는 아카이브즈의 위상을 강화하는데에도 도움을 주게 될 것이다. 사립대 아카이브즈는 기본적으로 ① 기록물의 수집, 정리, 분류, 보존 등 관리기능 ② 기록물을 활용한 서비스 기능 ③ 기록관리를 위한 연구기능 ④ 대학사 편찬 및 이에 부합하는 각종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확장된 기능으로는 ① 지역사회와 대학간의 매개 기능 ② 학내 구성원 교육 ③ 디지털 아카이브즈 기능 등을 모색해 볼 수 있다. This study is for why Korean private universities make high position and performance on their archives. It's needless to say that archives of university is desperate for democratic management, historic and cultural identity and administrative efficiency. As for archives of private univeristy, it has to be set by its own organization as the name of '00 university archives' if possible. At the same time both 'administrative structure' and 'working-level structure' should be activated for the better output. It might be helpful to empower itself. Archives of private university have to fulfill these basic role; aqusition, arrangement, classification, preservation etc./service/study of archival science /university history compling. It could be expand to the link between university and local community, open class and digital archive service.

      • KCI등재

        다 같이 돌자 동네 한 바퀴

        손동유 한국기록학회 2021 기록학연구 Vol.- No.70

        다 같이 돌자 동네 한 바퀴 (최은숙 엮음, 작은숲, 2021) 서평

      • KCI등재

        서울기록원의 정체성과 당면과제

        손동유 서울역사편찬원 2015 서울과 역사 Vol.- No.89

        Identity and Roadmap of 'Seoul Archives' Sohn, Dong-you Seoul is a huge city and the capital of the country. Seoul Archives has the representation and symbolism as the first local records & archives management agency. And Seoul Archives is the organization & space to manage the records & archives permanently and systematically. The main function of the Seoul Archives are records management, documentation of private archives in Seoul, preservation of digital records, archives & records services and operational support. Records management is receiving a production record (more than 30 years record retention periods) in connection with the official duties of Seoul, evaluation and screening, and to manage. This includes records the Mayor of Seoul. Documentation of private archives in Seoul is collecting a variety of materials contained in the nature and the life of Seoul citizens and And registration, classification, description, preservation. Seoul Archives is the field of administrative responsibility to communicate directly with citizens of Seoul and a cultural organizations representing Seoul. So, that must be operated as a cultural space and space for education and research to improve the quality of people's lives. Seoul Archives is to be well organized to match the functions. In this study, we propose a manpower scale to 120 people. Also sought the friendly cooperative relations with major agencies in Seoul. Since large-scale projects in terms of budget and physical space should be conducted in the long run. Also in preparation should proceed to develop a specific and careful planning. In this study, we present a roadmap that covers the previous and after establishment Seoul Archives. Before opening to proceed with the core business that meets the functions and oriented in Seoul Archives shall prepare after the actual opening to allow efficient and perfect service. For example,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electronic records after check condition of digital records and environment. Through such preparations, Seoul Archives will have to be established safely. 서울기록원은 우리나라 최초의 지방기록물관리기관으로서 대표성과 상징성을 가진다. 우리나라의 수도이자 거대도시인 서울의 기록물에 대한 수집․관리의 책임을 갖고 체계적으로 영구히 관리하는 공간이자 조직이다. 서울기록원에서 수행하게 될 주요기능은 행정기록관리, 서울기록화, 실물기록 보존, 전자기록 보존, 기록정보 서비스로 정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이 원만하게 수행되도록 하는 기획 및 운영지원 기능도 주요기능에 속한다. 행정기록관리란 서울특별시와 관할기관의 공적 업무수행과 관련하여 생산 또는 접수된 기록 중 보존기간 30년 이상인 기록을 이관 받고, 관리 및 평가․선별하는 기능을 말한다. 여기에는 서울시장 기록물도 포함된다. 서울기록화는 서울시의 특성과 시민의 생활상이 담긴 다양한 기록을 수집하거나 기록화하고, 서울기록원으로 입수된 기록을 등록, 분류, 기술하여 보존하는 것을 말한다. 서울기록원은 단순한 기록물관리기관으로서의 위상과 역할을 넘어서 서울시와 시민이 직접 소통하는 책임행정의 현장, 서울을 대표하는 문화기구로서 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여주는 문화공간, 다양한 교육과 연구가 진행되는 배움의 장으로서 운영되어야 한다. 서울기록원이 위와 같은 지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조직체계가 규모 있게 구성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인력규모를 120명으로 제안하였다. 또한 서울시 내의 주요 관련기관과의 우호적 협력관계를 모색하였다. 서울기록원 건립은 예산과 물리적 공간의 측면에서 대규모 프로젝트이므로 장기적인 안목에서 진행되어야 하고, 준비과정에 있어서도 구체적이고 꼼꼼한 계획을 수립하여 진행해야 한다. 서울기록원의 건립 시점을 중심으로 건립 이전과 이후를 포괄하는 로드맵을 제시하였다. 개관 전부터 서울기록원의 기능과 지향에 부합하는 핵심 사업을 진행하여 실제 개관 이후 효율적이고 완벽한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전자기록 이관에 대한 점검사업을 통해 기본적인 상황을 점검한 뒤에 전자기록물 이관사업을 추진하여 이관 받을 수 있는 전자기록물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준비를 통하여 공공기록물법 시행 이후 처음으로 설립되는 지방기록물관리기관으로서 서울기록원 건립이 안정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민간분야 공동체 아카이빙의 성과와 과제

        손동유 실천민속학회 2019 실천민속학연구 Vol.34 No.-

        기록관리법의 전면개정과 시민사회의 발전 그리고 공동체의 활성화는 기록관리계에도 영향을 미쳐 공동체 아카이브의 다양한 논의와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학계의 연구는 개념적이고 원칙적인 논의를 거쳐 구체적인 방법론으로 서서히 진전되고 있다. 현장에서는 크고 작은 프로젝트, 교육사업, 민간기록활동가 조직결성 등 다양한 양상으로 활발하게 기록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동안 연구와 현장이 연계되지 못한 채 활동하면서 비롯되는 몇 가지 오해와 괴리는 기록관리의 확장을 저해하는 중대한 문제가 되고 있다. 아카이브는 단순히 기록을 관리하는 기구가 아니라 대중들과 호흡하면서 미래지향적인 새로운 생활방식을 생산하는 문화기관으로 거듭나고 있다. 특히, 민간영역에서 공동체 아카이브의 활성화와 정착을 위해서 연구와 현장의 협력이 절실히 필요하다. The complete amendment of the Records & Archives Management Act, the development of civil society and the revitalization of the community also affected the world of archival-science. Now, there are various discussions and attempts on community archives. Research in academia is slowly advancing as a methodology through conceptual and principle discussion. In the field, record activities are actively carried out in various aspects such as project, education, organization of activists. Several misunderstandings and divergences arising from activities that have not been linked to research and field have become a serious problem that hampers the expansion of records management. Archives are not just organizations that manage records. The archive is being transformed into a cultural institution that produces a new life style that is future-oriented with the public. Especially, in order to activate and settle community archives in the private sector, research and field cooperation are urgently needed.

      • KCI등재

        체계적인 구술기록 생산을 위한 제언

        손동유,권용찬 한국기록관리학회 2013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13 No.1

        While academic discussions and methodological researches on oral history are being progressed in Korea, its exploitation has already begun to increase with a variety of methods and approaches in the private sector. Oral history is a new method of research, as well as another process of production of archives. In order to make valuable and highly qualified archives of oral history with the application of the aforementioned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its recognition, environment, process, and method should be improved and developed.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regarded as reasonable that oral history is recognized as a part of the strategy for documentation. Oral history should be produced based on common sense and reasonable judgment, applying empirical know-how rather than logic or principles because it holds a great number of characteristics, which include variable elements in the field of oral history. In addition, its process or documentation methods should be improved and developed, giving consideration to thorough exploitation. The promotion or revitalization of oral history is a signal that announces the advent of new archives and the new subjects of history at the same time. Endeavors to produce highly efficient archives of oral history are expected to be continued with the complex accumulation of empirical assets achieved at academic discussions and its fields. 최근 구술사연구는 학문적인 영역을 넘어 대중적인 소통방법이자 새로운 기록생산 방법으로 자리 잡아 나가고 있다. 이는 그간 학문적인 성과와 과학기술의 발달이 만나 대중에게 효과적으로 전해진 결과이기도 하다. 역사 기록의 부재로 인해 올바른 역사서술을 위하여 기록을 확보하기 위한 차원, 권력중심의 편중된 역사서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역사서술의 주체를 넓히는 차원 등으로 진행되고 있는 구술기록생산은 프로세스 관리를 중심축으로 하여 구술결과물의 형식과 내용 모두가 양질로 확보되어야 한다. 구술기록을 생산 하고자 기획하는 단계에서부터 배경과 목적이 기록화 되고, 구술진행 과정과 산출물 취합과정도 기록화 되어야 한다. 또한 구술방식과 내용에 대한 해제는 물론이고 이들 전 과정에 대한 평가를 통한 개선점 마련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과 맥락이 체계적으로 기록되고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이 구술 프로세스 관리의 핵심이다. 이는 연구진 모두의 역할이고 질 높은 관리를 위해 관리전담자를 두는 것도 필요하다. 구술내용의 맥락을 확보하는 것은 연구자의 몫이다. 하지만 이는 면담현장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준비단계의 충실한 연구에서부터 시작해서 최종단계의 해제로 마무리 된다. 또한 촬영영상과 녹취문은 이용자들에게 서비스되는 산출물을 생산하는 일이므로 숙련되고 전문적인 촬영자와 녹취자가 질 높은 산출물을 생산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프로세스가 원만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적절한 예산확보와 전자적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고에서 상세히 다루지는 못하였지만, 이 모든 프로세스를 전산적 환경에서 관리, 보존, 서비스 할 수 있는 ‘구술아카이브시스템’이 관련 연구자들의 협업을 통하여 만들어지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