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SCIEKCI등재

        하악전돌증의 악교정수술 후 연조직 형태변화에 대한 연구

        성상진,박현도,김재승,문윤식 대한치과교정학회 2000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0 No.3

        악교정수술에 관한 치료계획은 치료결과에 관한 정확한 예측을 바탕으로 수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심미적인 결과를 얻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이다. 성인에서 골격성 하악전돌증의 치료는 하악골후퇴술을 이용한 악교정수술법이 주로 이용되는데, 술후 턱끝의 돌출도가 과도하게 감소되어 하악전진이부성형술을 추가로 시행해야 하는 경우 하악골과 턱 부위의 연조직 변화방향이 상이하게 나타나므로 술후 연조직 변화를 정확히 예측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골격성 하악전돌증을 주소로 악교정수술을 시행한 성인을 대상으로, 상행지시상분할골절단술(BSSRO)만을 시행한 경우(A군) 11명과 하악전진이부성형술(advancement genioplasty)도 같이 시행한 경우(B군) 9명의 경조직과 연조직 변화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술 8개월 이후에 채득된 측모두부계측방사선사진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E-line에 대하여 상순은 더 돌출되고 하순은 더 후퇴되어 입술의 형태가 개선되었으며,하악전진이부성형술을 병행한 경우 하순의 돌출도는 더 개선되었다. 2. 두 군 모두에서 상순은 후방이동하고 비순각은 증가하였다. 3. 술후 B점에 대한 연조직 POGs점의 변화율은 A군에서 84%, B군에서 66%로 나타났으며 두 군간에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 4. 경조직과 계측점의 수직변화량은 A군에서 감소하였다. The treatment plan for orthognathic surgery must be based on accurate predictions, and this can be produced the most esthetic results. Treatment of prognathic mandible in adult is usually orthognathic surgery using mandible set back, but mandible with retruded chin point is needed additional chin augmentation. In this case, the directions between mandible and chin point are different therefore, the prediction of soft tissue reactions must be modified. In this study, we materialize the patients who was taken orthognathic surgery due to prognathic mandible, 11each(Group A) was taken only Bilateral Sagittal Sprit Ramus Osteotomy (BSSRO), 9each(Group B) was taken additional advancement genioplasty. The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y taken 8 months later after orthognathic surgery by this patients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The profile of lips was favorable after surgery due to upper lip to E-line became prominent and lower lip to E-line was retruded. 2.In both group, upper lip moved posteriorly and nasolabial angle was increased. 3.The ratio of the soft tissue profile change in POGs point to skeletal B point movement was 84% in group A and 66% in group B, and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group A and group B. 4.Vertical movement of hard tissue points is decreased in group A.

      • SCOPUSSCIEKCI등재

        성장기 골격성 Ⅰ급 부정교합 환자의 정모두부방사선 계측의 특징

        성상진,문윤식,김정국,정현성 대한치과교정학회 2001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1 No.2

        악안면 기형과 부정 교합의 성공적인 교정 치료를 위하여 안모의 3차원적인 평가가 필수적이지만 교정의사는 주로 측모두부방사선사진에 기초한 진단 및 치료계획에 익숙하다. 이는 정모두부방사선사진에 관한 계측치, 악골의 폭경 성장에 관한 지식과 임상적 의의에 대하여 관심이 부족한 때문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골격성 I 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된 6세에서 16세 사이의 남자 130명과 여자 171명을 대상으로 정모두부방사선사진 상의 두개골 및 상하악골의 폭경을 계측하여, 연령과 경추골 발육지표(CVMI)에 따른 변화 양상을 알아보았다. 다항 회귀모형(polynominal regression models)과 변수선택법(method of variable selection)을 이용하여 적합한 회귀모형(regresslon model)을 각 성별에서 선택하고 이를 이용하여 연령에 따른 각 계측치의 평균 및 개별 계측치(individual measurement)의 70%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을 추정하여 그래프로 작성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모든 폭경 계측치는 나이 또는 CVMI의 증가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으며,6세부터 16세까지의 총변화량은 상악골 폭경보다는 하악골 폭경이 그리고 여자보다는 남자에서 더 많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2.Mx-Mn difference, Mx-Mn width differential, Mx/Mn ratio는 연령과 CVMI에 따른 남녀간의 유의차가 없었다. 3.회귀모형을 이용하여 나이에 따른 남녀 계측치의 평균 및 신뢰구간을 70%로 추정하여 상악골폭경,하악골 폭경, Mx-Mn difference, Mx/Mn ratio에 대한 그래프를 얻었다. 4.한국인의 상하악골 폭경은 성장기 동안 서양인에 비하여 큰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성장기 부정교합 환자의 폭경 성장 평가와 폭경 부조화의 진단에 이용한다면 치아 석고모형 만을 이용하는 한계를 적절히 보완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Three dimensional analysis of malocclusion and craniofacial deformation is essential for the successful orthodontic treatment. But the orthodontists are not familiar with diagnosis and treatment plane based on lateral cephalometric analysis. Since orthodontists do not posses a sufficient knowledge in standard value of posteroanterior cephalometric analysis and of clinical importance for transverse jaw growth. In this study male(n=130) and female(n=171) aged from 6 to 16 and diagnosed as Class I malocclusion were selected to analysis width of cranium, maxilla and mandible on the posteroanterior cephalogram. The changes as a function of chronologic age and cervical vertebrae maturity index(CVMI) were examined. The proper regression model was selected by sex with polynominal regression models and method of variable selection. Mean of each measurements and 70% confidence interval of individual measurement according to age was assesed and a graphs were made. Results are as follows : 1.All the measurements for the width are gradually inclesed as increase in chronologic age and CVMI. From the total amount of change between age 6 and 16, there is a tendency that mandibular width is broader than maxillary width and the width of male is broader than female. 2.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sexual difference in Mx-Mn difference, Mx-Mn width differential, Mx/Mn ratio according to age and CVMI. 3.Mean of each measurement and 70% confidence interval of individual measurement according to age and sex were assessed and graphs were made for maxillary width, mandibular width, Mx-Mn difference, Mx/Mn ratio. 4.The width of maxilla and mandible in Korean children are broader than Western children during growth period.

      • KCI등재

        치조골 상실에 따른 상악 치아군 저항중심의 변화에 관한 유한요소해석

        성상진,김인태,국윤아,전윤식,김성훈,모성서 대한치과교정학회 200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9 No.5

        효과적인 교정치료계획의 수립을 위하여 치열군의 저항중심의 위치에 대한 평가는 필수적이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상악 치열군(4전치, 6전치, 14치아)에서 치조골 손실에 따른 저항중심의 위치변화를 조사해보고자 하였다. 상악 전치열 14개 치아와 치주인대 및 0 mm, 2 mm, 4 mm 손실된 치조골의 3차원 유한요소 모델을 제작하였고 각 치아군(4전치, 6전치, 14치아)별로 치관부를 협측, 설측호선 및 splint wire로 고정하여 치아군 모델을 제작한 후 상악 중절치의 절단연 중점에서 연장된 splint wire에 4전치와 6전치군에는 200 g, 14치아군에는 400 g의 후방 견인력과 압하력을 적용하여 저항중심의 수직적, 수평적 위치를 분석하였다. 4전치군에서 저항중심의 수직 위치는 치조골 0 mm, 2 mm, 4 mm 손실에 따라 중절치의 절단연에서 치근방향 13.5 mm, 14.5 mm, 15 mm, 수평 위치는 후방 12 mm, 12 mm, 12.5 mm, 6전치군에서는 치근방향 13.5 mm, 14.5 mm, 15.5 mm, 후방 14 mm, 14 mm, 14.5 mm, 14치아군에서는 치근방향 11 mm, 13 mm, 14.5 mm, 후방 26.5 mm, 27 mm, 25.5 mm에 위치하였다. 모든 치아군에서 저항중심은 치조골 손실에 따라 치근첨 방향으로 이동하였으나, 치조정과의 거리는 가까워졌고, 4전치군과 6전치군에서 저항중심은 치조골 손실에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였으나, 14치아군에서는 치조골 2 mm 손실 시에는 후방으로 이동하였으나, 4 mm 손실 시에는 전방으로 이동하였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center of resistance of the maxillary teeth in relation to alveolar bone loss. Methods: A finite element model, which included the upper dentition and periodontal ligament,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bone loss (0 mm, 2 mm, 4 mm). The teeth in each group were fixed with buccal and lingual arch wires and splint wires. Retraction and intrusion forces of 200 g for 4 and 6 anterior teeth groups and 400 g for the full dentition group were applied. Results: The centers of resistance were at 13.5 mm, 14.5 mm, 15 mm apical and 12 mm, 12 mm, 12.5 mm posterior in the 4 incisor group; 13.5 mm, 14.5 mm, 15 mm apical and 14 mm, 14 mm, 14.5 mm posterior in the 6 anterior teeth group; and 11 mm, 13 mm, 14.5 mm apical and 26.5 mm, 27 mm, 25.5 mm posterior in the full dentition group respectively according to 0 mm, 2 mm, 4 mm bone loss. Conclusions: The center of resistance shifted apically and posteriorly as alveolar bone loss increased in 4 and 6 anterior teeth groups. However, in the full dentition group, the center of resistance shifted apically and anteriorly in the 4 mm bone loss model.

      • 착자 불균일이 존재하는 브러시리스 DC 모터의 치의 형상에 따른 코깅토크 해석

        성상진(Sangjin Sung),장건희(Gunhee Jang),이청일(Chungill Lee),박상진(Sangjin Park) 대한기계학회 2009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9 No.5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gging torque in brush less DC motors due to the uneven magnetization of permanent magnet and the teeth shape. The excitation frequencies of cogging torque are the harmonics of the least common multiple of pole and slot in ideal brush less DC motors. However, this paper shows numerically and experimentally that the uneven magnetization of permanent magnet generates the harmonics of slot number. It also investigates that their magnitudes are affected by the teeth shape. Therefore, chamfering teeth increases the magnitude of the harmonic of slot number so that the magnitude of cogging torque increases in unevenly magnetized case.

      • SCOPUSSCIEKCI등재
      • SCOPUSSCIEKCI등재
      • SCOPUSSCIEKCI등재

        제 Ⅲ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상악골 전방견인이 성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성상진,백형선 대한치과교정학회 1994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4 No.2

        The method of treatment in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must be chosen according to an etiology and timing of the treatment. Maxillry protraction has been used as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in growing children with maxillary deficiency. The efficacy of maxillary protraction has been viewed as a result of downward-backward displacement of mandible and compensatory dental displacement during the treatment rather than forward-downward growth of maxilla itself. In this study, 104 subjects treated with maxllary protraction, and 19 males and 21 females with known annual growth amount have been chosen longitudinally as treated group and normal group, respectively. And changes in position of maxilla, mandible and dentition have been comparatively analyzed on the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by a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reated group showed more forward movement of maxilla compare to the normal group and the mandible displaced backward compare to the normal group. 2. Downward movement of mandible in treated group was similar to that of normal group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female 12 year old group and downward movement of mandible in treated group was similar to that of normal group. 3. In treated group, maxillary central incisor moved more forward than the normal group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male 8,10 year-old groups and female 8,9,10 year-old groups. In treated group, downward movement of maxillary central incisor was similar to that of the normal group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male and female 7,8 year-old groups.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and the duration of the treatment, the forward movement of maxilla due to maxillary protraction was effective compared to normal growth amount of the normal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