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측두하강 및 측인두강의 원발성 종양

        설대위(David J Seel),박윤규(Yoon Kyu Park),조순흠(Soon Heum Cho) 대한두경부종양학회 1989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5 No.1

        There is a difficulty in complete removal of tumor developing at the parapharyngeal space or infratemporal space where they are just under the skull base. We have experienced 3 cases of malignant tumors and 5 cases of benign tumors arising from the parapharyngeal spaces and/or infratemporal space since 1976. We hereby present 8 cases of primary tumors arising in these spaces with a review of anatomical relationship between above spaces, the characteristic symptoms, diagnostic technics, and surgical approaches which should be considered in their management.

      • CANCER OF THE NASAL FOSSAE

        설대위(David J Seel),유봉옥(Bong Ok Yoo),박윤규(Yoon Kyu Park) 대한두경부종양학회 1986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2 No.1

        Nasal fossae의 암이란 비강과 부비동들에서 발생하는 것으로서 환자를 가장 괴롭히며 또한 가장 믿을수 없는 악성종양들중의 하나이다. 비록 본 예수병원 암환자등록부에 의하면 전 암환자의 2.2% 발생빈도로서 주요한 발생빈도를 보이지는 않지만, 이 부위의 암을 치유하는데는 세심하고 철저한 모든 진단적 검사와 과감한 외과 및 치료방사선의 병합치료가 요구된다. 저자들은 지난 22년간 비강 및 부비동(Nasal fossae)에서 발생한 원발성 악성종양중 지유목적의 근치수술을 시행한 68 예를 임상고찰 하였다. 근치수술을 시행했던 68예중 91%에서 제 3 병기 또는 4 병기의 진행된 경우 이었다. 외과적 수술은 한예의 사골동(篩骨洞)종양적출술 및 부분上顎洞절제술 한예를 제외한 66예 모두에서 全上顎洞절제술 (total maxillectomy ) 또는 확장 全上顎洞절제술(extended total maxillectomy) 을 시행하였다. 저자들은 疫學的, 病理學的, 病期및 치료, 재발율과 생존율들을 분석 고찰하였으며 3까지 치료형태를 서로 비교하였다. 즉 수술만 시행한 군, 수술전 방사선 치료 및 수술병합군, 수술과 수술후 방사선치료 병합 군으로 나눴다. 저자들의 예비적(preliminary) 관찰 결과는 2 년간 무병생존율(disease-free 2-year survival )만을 볼때, 수술만 시행한 군에서 40%로써 통계학적으로는 가장 좋았으나 실제는 수술만 시행한 군에서는 단지 40%만이 제 4 病期의 진행된 경우였으나 수술전 방사선치료 또는 수술후 방사선 치료등의 병합치료에서는 제 4 病期의 진행된 상태가 무려 60%나 되었다. 전체적 인 재발율(Overall recurrence rate) 은 68.2%로써 무서울 정도로 높았으며 전체적인 2년 무병율은 23.7%였다. 저자들은 이 분야에서 실패의 원인분석과 치료방법의 선택등에 대한 지침을 제시하고저 한다.

      • PARATHYROID ADENOMA

        설대위(David J Seel),오성수(Sung Soo Oh),박윤규(Yoon Kyu Park),정동규(Dong Kyu Chung) 대한두경부종양학회 1986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2 No.1

        저자들은 부갑상선 선종 3예를 입상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이 있는 환자에서 임상증상들이 각각 서로 달랐으며 증상의 다양성과 여러기관의 침범을 볼수 있었다. 제 1 예는 심한 근 쇄약을, 제 2예는 좌 경골의 낭포성골병변을, 제 3예는 상복부동통, 관절통 및 정신장애를 나타냈다. 全例 모두에서 骨의 鑛物質 消失(demineralization)을 보였고 두 예에서는 경부 종괴가 촉지되었고 나머지 한 예만 전형적인 낭포성 섬유성 골염(Osteitis fibrosa cystica)을 보였다. 3예중 2예는 주세포 선종 (Chief cell adenoma) 이었으며 나머지 한 예는 혼합성 세포형(mixed cell type)이었다. 저자들은 본 질환에 대한 진단기준, 외과적 수술방법 및 수술 성공 여부 판정에 대한 지침을 제시하고저 한다.

      • Cancer of the Hypopharynx

        설대위(David John Seel),정성민(Sung Min Chung),박윤규(Yoon Kyu Park) 대한두경부종양학회 1987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3 No.1

        하인두암은 거의 대부분 이상동(Pyriform Sinus)에서 발생하며 상당한 정도 진행시까지 별다른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다. 저자들은 1966년부터 1985년까지 만 20년간 하인두에서 발생된 암환자 63명을 중심으로 임상 관찰 및 문헌고찰과 함께 발표하는 바이다. 원발병소로는 전체 중 58 명에서 이상동, 하인두벽 (hypopharyngeal wall) 3명, Post cricoid hypo pharynx 와 pharyngopalatine fold에서 각각 1명씩의 발생빈도를 보였다. 저자들은 설저 (base of tongue)암, supraglottic Ca. 및 경부 식도.(rervical esophagus) 암경우는 모두 제외시켰다. 임상증상으로서는 정부 종괴(lump) 가 33예로써 가장 현저했으며 또한 첫증상으로써 연하곤란(dysphagia) 또는 sore throat릅 나타낸 경우는 32예 이었다. 그 외에 hoarseness 가 20예, bloody sputum 4례 및 호흡곤란 2예의 순이었다. 내원까지의 증상기간은 대부분 4∼6개월 이었다 흡연관계는 1일 1값이상의 중등도 흡연 경우는 전체의 58%이었으며 흡연 사실이 있었던 경우는 전체의 88%이었다 연령별 발생빈도는 50대∼60대에서 48명으로서 현저히 높았다 완치 목적의 수술적 치료는 24병에서 시행하였으며 치료 거절은 16명이었다. 치료 거절하였던 환자들 중 81%가 임상적 제4병기였으며 보조적 치료 요법을 실시한 환자들의 78%에서 제4병기였다 또한 완치 목적의 치료 실시 경우의 67% 에서 제4병기였다. 수술요법은 일반적으로 "후두ㆍ인두 적출술 및 양측 경정맥 입파군 곽청술" (laryngopharyngectomy with bilateral jugular dissection) 또는 후두ㆍ인두 적출술 및 동측의 표준 광범위 경부 곽청술(standard radical neck dissection)과 반대측의 경정맥임파군 곽청술을 시행하였다. 3년 이내와 3년 이상무병 상태 (free of disease) 경우가 각각 4명씩이었다. 마지막 예후 추적 조사시까지 무병 상태였던 환자를 포함하여 예후 추적 조사기간 중 추적 실패 경우는 7명이었다 확정된 3년 생존율(determinate 3-year survival rate)은 31% 이었다 수술 사망이 1명 있었으며 재발경우는 9명이었다. 재발부위로는 원발병소 재발이 7명, 경부 재발 1명 및 원격전이가 1명이었으며, 저자들은 이에 대한 실패 원인을 규명코져 하였다.

      • Survival Value of Myocutaneous Flaps in the Management of Epidermoid Carcioma of the Oral Cavity

        설대위(David John Seel),박철영(Chul Young Park),유정준(Chung Joon Yoo),이삼열(Sam uel Lee),박윤규(Yoon Kyu Park) 대한두경부종양학회 1990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6 No.2

        본 논문은 구강암의 근치적 절제술후 결손부위 재건을 위한 근피부판(myocutaneous flaps)이 환자의 생존율에 미치는 의의를 알아보고자 저자들의 경험을 살펴본 것이다. 1974년부터 1988년까지, 만 15년간 98명의 환자들이 구강 및 구인두 부위에 발생한 암으로 절제술을 받았다. 이 중 14명은 하악골 절제술없이 근치적 복합적 절제술(composite resection)을 받았으며, 4명은 방사선 조사후 재발한 경우로서 경부곽청술없이 광범위 단순절제술(enbloc resection)만을 시행받았다. 이들을 제외한 근피부판을 사용또는, 사용하지 않은 COMMANDO를 시행받은 84명의 나머지 환자들을 대상으로 여러가지 술식에 따른 재발율 및 생존율을 비교 분석하여보았다. 1) 술기에 있어서 국소 또는 근피부판을 사용하지않은 표준 COMMANDO술식이 24 예, 전두피부판(forehead flap)을 사용하여 재건한 경우가 12 예, 후경부피부판(Nape flap)을 사용한 경우가 19 예, 큰피부판 또는 골근피부판(osteomyocutaneous flap)을 사용한 경우가 27 예였으며 두 종류의 피부판 복원을 시행한 경우가 2 예였다. 2) 비교정(uncorrected) 2년 무병생존율은 표준 COMMANDO가 14%, 전두피부판을 이용한 COMMANDO가 17%, 후경부피부판 사용 COMMANDO가 35% 이었으며 근피부판을 이용한 COMMANDO에서도 역시 35% 이었다. 3) 병기(stage)에 따른 2년 무병생존율은 제 1병기가 100%, 제 2병기가 45%, 제 3병기가 41% 이었으며, 제 4병기에서는 18% 이었다. 4) 근피부판을 사용한 경우와 조직학적으로 이에 상응하는 제 1대조군, 즉 표준 COMMANDO를 시행했거나 국소피부판(전두피부판 빛 후경부피부판)을 사용한 COMMANDO 경우 들과 비교하였을 때 ,2년 무병생존율은 큰 차이가 없이 대조군 양쪽 모두에서 공히 40% 이었다. 5) 근피부판을 사용한 경우를 제 2대조군, 즉 국소피부판(전두피부판 및 후경부피부판) 복원만을 시행한 경우들과 비교했을 때에도 역시 차이가 없이대조군 양쪽 모두에서 27%의 2년 무병생존율을 보였다. 6) 근피부판을 사용한 경우를 제 3대조군 즉 어떠한 종류의 피부판도 사용하지않고 단순한 표준 COMMANDO만을 시행한 경우들과 비교했을 때는 큰 차이를 보였다. 즉, 근피부판을 사용하여 복원했던 경우는 50%의 2년 무병생존율을 보인데 비해, 표준 COMMANDO만을 시행했던 경우는 25%의 생존율을 보였다. 7) 국소재발율은 표준 COMMANDO에서 25%, 후경부피부판 사용 경우에서 26%, 전두 피부판 사용경우에서 33% 이었으나 근피부판을 사용한 경우는 재발율이 가장 낮아 22% 이 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병기가 진행된 예(stage III & IV)에서 본다면, 표준 COMMANDO에서 67%가 제 3, 제 4병기이었고, 후경부피부판을 사용한 경우는 79%에서 제 3, 제 4병기이었다. 전두피부판을 사용한 예에서는 100% 모두가 제 3, 제 4병기이었고, 근피부판을 사용했던 경우는 96% 에서 제 3, 제 4병기이었던 점을 고려한다면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This paper is a review of our experience with radical resection for cancer of the oral cavity with particular emphasis upon the value of myocutaneous(i.e., musculocutanous) flaps employed in the surgical reconstruction in patient survival. During the past 15 years, 98 patients underwent resection of cancer arising in the oral cavity and oropharynx. Of these, 14 had composite resections in which the mandible was not sectioned, and 4 underwent en bloc resections without neck dissections in the face of post-radiation recurrence. When these excluded, 84 patients who underwent COMMANDO procedures with or without myocutaneous flaps were suitable for analysis of recurrence and survival according to the various surgical technics employed. 1) According to the surgical technic, there were 24 standard COMMANDO procedures in whom no regional or myocutanous flap was used; 12 patients who underwent reconstruction employing a forehead flap; 19 patients in whom a posterior cervical 'nape' flap was employed; 27 patients who underwent myocutaneous or osteo-myocutaneous flap repair; and two patients who had double flap repair. 2) The uncorrected two-year disease free survival was 41% for standard COMMANDOs, 17% for forehead flap COMMANDOs; 35% for nape flap COMMANDOs; and 35% for myocutaneous flap COMMANDO procedures. 3) The two-year disease-free survival by Stage was 100% in Stage I, 45% in Stage II, 41% in Stage III, and 18% in Stage IV. 4) When myocutanous flaps cases were compared with Group I, comprised of matched historical controls including both Standard COMMANDOs and those who had undergone regional flap repairs(that is, forehead and nape flap COMMANDOs)there was no difference, both groups showing a 40% 2-year disease-free survival. 5) When musculocutanous flap cases were compared with Goup II, which was composed of matched historical controis limited to patients who had undergone regional flap repairs(that is, forehead and nape flap cases only)there was no difference, both groups showing a 27% 2-year desease-free survival. 6) When musculocutanous flap cases were compared with Group III, composed of patients who had undergone classic COMMANDO procedures without any sort of flap repair, there was a striking difference; the patients undergoing MC flap repair showed 50% 2-year disease-free survival, whereas the classic COMMANDO cases showed a 25% survival free of disease. 7) Locoregional recurrence was also evaluated in the four categories; for standard COMMANDO cases it was 25%, for nape flap cases 26% ; for forehead flap cases, 33%, and for the musculocutaneous flap cases, the lowest recurrence rate, 22%. These results are of particular significance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proportion of advanced cases(Stage III and IV)in each category was 67% of standard cases, 79% of nape flap patients, 100% of forehead flap cases, and 96% of musculocutaneous flap cases.

      • ORAL AND OROPHARYNGEAL CANCER: TWENTY-YEAR EXPERIENCE IN KOREA

        설대위(David John Seel) 대한두경부종양학회 1985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1 No.1

        구강과 구인두에서 발생되는 유표피암은 전체 예수병원 암환자의 3.9% 를 치지한다. 만 20 년간의 월발성 유표피암 환자 596 명에 대한 고찰결과. 혀 전방 2/3 에서 29%로써 가장 높은 발생 빈도를 보였으며 faucial arch, base of tongue 및 tonsil을 포함한 구 인두는 28%의 발생 빈도를 나타냈다. 그외는 잇몸. 구강저, 구순, 구개 (palate) 및 구강내 점막의 빈도순이었다. 환자 중 153명만이 근치적 치료를 받았다. 1974년 이전에는 치료 정책에 수술만이 활용되었던 까닭으로 역행성 분석결과 74명에서는 수술만 시행케 되었으나, 그 이후의 70명에서는 종합적치료를 시행하였으며 그중 9명은 확실한 방사선요법을 받았다. COMMANDO 수술과 복합절제술(Composite resection)을 시행했던 환자들의 비교검토는 매우 의의가 있었다. 수술만 받은 환자와 비교해 볼때, 수술후 방사선요법을 병행했던 수술환자의 경우에 있어서 재발율은. Stage Ⅲ에서는 50% 에서 41% 로, Stage Ⅳ는 79% 에서 68%로 각각 감소를 보였다. 또한, COMMANDO 수술 경우만 국한시켜 비교할 때는 수술만 받은 환자와 비교할 때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와 비교하여 2년간 무병율(disease free interval)이 수술후 방사선요법을 병행함으로써 17.3% 에서 29.3%로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 기무라씨 질환, 5예 보고

        설대위(David J Seel),박윤규(Yoon Kyu Park),이광민(Kwang Min Lee) 대한두경부종양학회 1989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5 No.1

        기무라씨 질환은 특히 두경부 부위에 피하 종괴를 일으키는 만성염증성, 증식성 질환이다. 저자들은 최근 치험하였던 본 질환 5 예를 한국외과 문헌에 처음으로 보고하는 바이다. 기무라씨 질환은 크게는 ALHE(Angiolymphoide Hyperplasia with Eosinophilia) 의 범주에 속한다. 본 질환의 병리학적 특징은 증식된 lymphoid follicles, eosinophilic infiltration 과 혈관의 증식성이다. 이 질환은 이하선, 악하선 및 상부 경부 부위등에 흔히 종괴를 일으키며 이들 종괴들은 피하조직 뿐만 아니라 타액선과 상부 경부 임파선에까지도 파고 든다. 저자들의 증례 중 한명에서는 서혜부에 종괴가 있었으며 새로이 증식된 혈관과 동상들 (Sinusoids) 로 인하여 혈관 분포가 매우 풍부하였다. 저자들 증례 5 명의 평균 연령은 35세이었지만 한명을 제외한 나머지 모두는 38세 이하이었다. 남녀비는 3:2 이었으며 증상의 평균 기간은 5.2 년이었다. 전례에 있어서 말초 혈액 소견상 Eosinophilia 가 있었다. 전례에서 다발성 종괴들을 보였으며 가끔은 대칭적이기도 하였다. 저자들이 시행한 치료 양상은 수술만 시행한 경우와 수술 및 스테로이드 홀몬요법 시행 경우가 각각 1례씩이었고 수술과 방사선조사 경우가 2례이었으며 나머지 1례에서는 수술, 스테로이드 홀몬요법 및 방사선조사의 복합치료를 실시하였다. 저자들은 기무라씨 질환과 ALHE 질환과의 관계를 고찰해 보았으며 기무라씨 질환의 치료 경험을 보고하는 바이다. Kimura's Disease is a chronic inflammatory and proliferative condition producing subcutaneous masses especially in the head and neck area. This report of our experience with 5 patients with this disease is the first in the Korean surgical literature. Kimura's Disease is thought to be part of the larger spectrum of the entity known as angiolymphoid hyperplasia with eosinophilia (ALHE). It is characterized pathologically by hyperplastic lymphoid follicles, eosinophilic infiltration, and vascular proliferation. It produces masses which are most common in the area of the parotid, submandibular gland and upper neck. These masses occupy the subcutaneous tissues but also extend into salivary tissue and into upper neck nodes. One of our patients had masses in the groin. The tumors are extremely vascular due to the presence of new proliferative vessels and sinusoids. The average age of our 5 patients was 35, but all but one case were younger than 38 years of age. The male: female ratio was 3 : 2, and the average duration of symptoms was 5,2years. All patients had peripheral blood eosinophilia. All had multiple masses, sometimes symmetrical. The management was surgery alone in one case, surgery and steroids in one case, surgery and radiotherapy in two cases, and all three modalities in one case. The relationship of this entity to ALHE and our experience in the management of this disease are presented. A clinicopathological discrepancy alerted us to the existence of Kimura's Disease. A nineteen-year old male presented with subcutaneous masses over both mastoid areas present for 3 years (Case III). When biopsy on each side was reported as 'eosinophilic granuloma' we submitted the slides to an internationally expert pathologist. Symmetrically occurring tumors in the peri-parotid subcutaneous areas did not fit any category of neoplasm or granuloma known to us. The diagnosis, made by Dr. Gist Fan at the Ochsner Clinic, was Kimura's Disease. We found two additional cases in a review of soft tissue eosinophilic granuloma previously reported at Presbyterian Medical Center, and since then have diagnosed two new cases. These five cases constitute the basis for this, the largest series to be reported in Korea. These vascular, tumor-like lesions of the skin, subcutaneous areas and subjacent structures of the head and neck have been a variety of names, such as angiolymphoid hyperplasia with eosinophilia, eosinophilic hyperplastic lymphogranuloma, angioblastic lymphoid hyperplasia with eosinophilia, histioid hemangioma, and epithelioid hemangioma. The history of this disease spectrum dates back to 1937 when Kimm and Szeto (1) reported 7 cases of 'eosinophilic hyperplastic lymphogranuloma' in the Proceedings of the Chinese Medical Journal. In 1948 Kimura and his associates(2) reported additional cases in Japan under the title 'On the unusual granulation combined with hyperplastic changes of lymphatic tissue.' From then until 1966 several hundred cases were reported in China and Japan. The first report from the West was by Wells and Whimster(3) in the British Journal of Dermatology, in 1969. These authors coined the term, angiolymphoid hyperplasia with eosinophilia (ALHE). Since that time a debate has ensued as to whether Kimura's Disease and ALHE are distinct entities, or whether Kimura's is part of the larger spectrum of ALHE, perhaps a later or advanced phase. From the clinical perspective, surgeons should be aware of the diagnosis of Kimura's Disease not only as part of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head and neck tumors but also because these lesions are indolent, and generally require conservative surgical removal as part of the management program. CASE Ⅰ. A 37-year-old female company employee presented in August 1982 with submental swelling of 12 years'duration and with in guinal swelling of 7 years'duration. The submental mass measured 5x5cm. and the inguinal mass was 8×4cm. in size. Perip-heral eosinophilia varying from 14% t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