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채점자에 따른 운동기능평가 비교 및 대학체육에 학생평가 적용 가능성 검토

        석창혁,서성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20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scores measured by different evaluators on the characteristics of tennis and swimming, and to verify the objectivity among the evaluators.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83 people who are taking tennis and swimming classes at B and C universities in A city. A total of eight evaluators who consisted of two professors, teaching assistants, experienced students, and beginner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Four evaluators were assigned to each clas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peated measures ANOVA,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tennis and swimming skill test scor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valuators. Second, tennis skill test scores were less objective by evaluators. Third, swimming skill test scores had good objectivity for each evaluators.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ttention should be paid to applying student evaluation to tennis courses in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is a concept of a pilot test conducted to identify problems and overall tendency before directly participating students in the evaluation during physical activity classes in university. Research that expanded the number of evaluators and participants, and further studies that applied more in-depth analysis methods should be conducted. 이 연구는 숙련도 및 전문성이 다른 채점자에 의해 평가된 테니스와 수영 기능평가 점수의 차이를 확인하고 심사자 간 객관도를 검증하여, 학생평가를 대학체육에 적용하는 것이 과연 적절한가를 검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참여자는 A시 소재의 B대학과 C대학에서 테니스와 수영 과목을 교양수업으로 수강하고 있는 88명의 대학생과 8명의 채점자 집단으로 구성하였다. 테니스와 수영 기능을 검사하기 위한 도구로는 선행연구에서 개발되어 타당도 검증을 실시한 주관적 운동기능평가표를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분석, 반복측정분산분석,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채점자에 따라서 테니스 및 수영 기능평가 점수에는 차이가 있었다. 둘째, 테니스 기능평가 점수는 채점자별 객관도가 낮았다. 셋째, 수영 기능평가 점수는 채점자별 객관도가 양호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생평가를 대학체육의 테니스 과목에 적용하는 것은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이 연구는 대학 체육 수업 시 학생을 평가에 직접 참여시키기 전에 전반적인 경향을 확인하고 문제점을 식별하고자 시행한 사전검사(pilot test)의 개념이며,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채점자 및 연구 참여자의 확대와 보다 심층적인 분석방법을 적용한 후속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평영(Breast Stroke) 평가 요소 탐색 및 타당도 검증

        석창혁,이상원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9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ubjective motor skill test that can evaluate breaststroke performance and to verify its validity and inter-rater reliability. The subjects were 59 cadets who took swimming class at Korea Military Academy. The research proceeded in the order of establishing the breaststroke concept through literature review, drafting the evaluation table, validating the content validity, preliminary investigation, the 2nd expert meeting, determining the final evaluation table, verifying convergence validity, and objectivity. As a result, the subjective motor skill test measuring breaststroke was developed with six categories and 14 items consisting of pressing, collecting, stretching, staging, kicking, and synthesis, and the response scale was determined to be 'yes-moderate-not at all'. In order to confirm the convergence validity of the developed inventory,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subjective evaluation score and the objective data showed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good level was shown to support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inventory. As a result of calculating ICC(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reviewers, the objectivity of the developed inventory with high correlation was secured. The inventory through the process of validity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will contribute to presenting the objective evaluation criteria to cadets, and is expected to be used as a meaningful material for setting class goals and developing appropriate programs. 이 연구는 평영(Breast Stroke) 영법 수행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주관평가표를 개발하고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육군사관학교에서 수영 교과목을 수강하는 생도 59명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한 평영 개념 정립, 평가표 초안 작성, 내용 타당도 검증, 예비조사, 전문가 회의, 평가표 최종본 작성, 수렴타당도 검증, 객관도 검증 순으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 평영을 측정하는 주관평가표는 누르기, 모으기, 뻗기, 발접기, 발차기, 종합동작으로 구성된 6개의 영역과 14개의 평가항목으로 개발되었고, 응답 척도는 ‘그렇다-보통이다-아니다’로 결정되었다. 개발된 평가표의 수렴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주관평가 점수와 평영 25m 기록 및 발차기 횟수와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한 결과, 양호한 수준의 상관을 나타내어 개발된 평가표의 타당성을 지지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주관평가표의 객관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심사자 간의 유목 내 상관계수를 산출한 결과, 높은 수준의 상관을 보여 객관도를 확보하였다.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과정을 거쳐 개발되어진 주관 평가표는 생도들에게 보다 객관적이고 신뢰할 만한 평가 기준과 방법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며, 수업의 목표와 방향의 설정 및 적합한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악천후 시 대체되는 체육입시 실기종목의 타당도: 100m 달리기를 중심으로

        석창혁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7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9 No.2

        Many universities are adopting 100m running as a practical skill for entrance examination. They also provide alternatives in case of bad weather or weather conditions where it is not possible to run 100 meters outdoors. However, it is doubtful if the alternatives could be correctly measured the variables to be measured through 100m runn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eight alternatives that replace 100m running.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3 first grade students of A university. and we measured the records of 9 items including 100m running, 10m shuttle running, 20m shuttle running, 25m shuttle running, 30m shuttle running, 40m shuttle running, 60m running, burpee test, and standing long jump. the collected date were analyz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validity of each items was verified by calculating pearson's r between 100m running and the 8 alternatives. As a result, 10m shuttle running and burpee test are somewhat lacking for men and women to substitute 100m running for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and the validity of 20m shuttle running, 25m shuttle running, 30m shuttle running, 40m shuttle running, 60m running and standing long jump was acceptable. These results could contribute to improve the institutional problems of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and the environment for fairness. Lastly, it is suggested that further research will be studied considering the number of cases and the ratio of gender. 국내의 많은 대학은 100m 달리기를 입시의 실기 종목으로 채택하고 있고, 악천후나 기상이변 시 야외에서의 수행이 불가능 할 경우를 대비하여 이를 대체하는 종목들도 안내하고 있다. 그러나 100m 달리기를 대체하는 8가지 종목들이 과연 100m 달리기를 통해서 측정하고자 하는 변인을 올바르게 측정하는지 의문이 제기된다. 따라서 이 연구는 100m 달리기를 대체하는 8 종목들의 타당도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A대학교 1학년 33명으로 구성하였고, 100m 달리기, 10m 왕복달리기, 20m 왕복달리기, 25m 왕복달리기, 30m 왕복달리기, 40m 왕복달리기, 60m 달리기, 버피테스트, 그리고 제자리멀리뛰기를 포함한 총 9종목의 기록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분석을 통해 이루어졌고, 100m 달리기와 이를 대체하는 종목들 간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여 각 종목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10m 왕복달리기와 버피테스트는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대학입시 실기 종목으로 100m 달리기를 대체하기에는 타당성이 다소 결여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20m 왕복달리기, 25m 왕복달리기, 30m 왕복달리기, 40m 왕복달리기, 60m 달리기, 제자리멀리뛰기는 양호한 타당도 수준을 보여, 100m 달리기를 대체하는데 적합하다고 여겨진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 입시 실기의 제도적 문제를 개선하고 보다 공정한 입시 환경을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연구대상의 사례수와 성별의 비율을 고려한 후속 연구가 진행되기를 제언한다.

      • KCI등재

        대학생들의 교양체육 수영수업 참여동기에 대한 귀납적 내용분석

        석창혁(Seok, Chang-Hyeok),이승훈(Lee, Seung-Hoon),공성배(Kong, Seong-Bae) 한국체육과학회 2018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7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motivation factors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physical education swimming class by using inductive content analysis approach.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28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swimming classes from the second semester of 2016 to the first semester of 2018. The participants answered an open-ended question asking them for their motives of swimming class participation, and triangulation was applied to ensur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data analysis.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factor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in swimming classes are categorized as educational motivation(24.5%), physical healthy motivation(14.8%), psychological motivation(40.3%), social motivation(9.0%), and environmental motivation(11.4%).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ntinuing interest and research on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physical education facilities, institutional system, swimming education contents in university physical activity classes should be continued.

      • KCI등재

        초등학생에게 적용된 태권도 수련 중재 프로그램: 체계적 문헌고찰

        석창혁 ( Seok Chang-hyeok ),권태동 ( Kwon Tae-dong ),이승훈 ( Lee Seung-hoon ) 대한무도학회 2017 대한무도학회지 Vol.19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근거 기반 실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해서 태권도 수련이 초등학생의 체력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가를 확인하고, 구체적인 수련 형태(강도, 기간, 빈도, 시간)를 조사하는 데 있다. 논문 데이터베이스는 KISS, RISS, 그리고 DBpia가 사용되었으며, 초등, 태권도, 체력 등의 주제어를 사용하여 논문을 검색하였다. 검색된 논문 226편 중 연구 선별 기준에 적합한 10편이 최종적으로 선정되었고,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초등학생에게 적용된 태권도 수련 중재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순발력, 민첩성, 근지구력, 유연성, 신체조성, 그리고 평형성의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초등학생의 체력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태권도수련 프로그램은 60분으로 구성(준비운동-본운동-정리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본동작, 품새, 겨루기, 격파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셋째, 초등학생의 체력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수련 프로그램의 적정 강도는 결과가 일치하지 않았다. 넷째, 초등학생의 체력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수련 프로그램의 적절한 기간은 12주, 수련 빈도는 주 5회가 가장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conduct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studies examining the effects of physical fitness on taekwondo training in elementary students and 2) to present specific principle about taekwondo training (i.e., intensity, frequency, period, & volume) based on the findings. Databases (i.e., KISS, RISS, & DBPIA) were used for literature search with predefined keywords (e.g., elementary, taekwondo, & physical fitness). A total of 226 potential studies were identified and 10 studies were finally selected for the data abstraction. Based on the results, a taekwondo training was determined to be evidence based. First, the taekwondo training in elementary students had positive effects on quickness, agility,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body composition, and balance. Second, It was recommended that the effective taekwondo training to improve the level physical fitness should be composed of warm up(10min), main exercise(40min), and warm down(10min). and Including basic movement, poomsae, kyorugi, break, and basis fitness training in the program is effective for elementary students. Third, an appropriate intensity of the program that affects physical fitness was drawn an inconsistent result. Lastly, a proper duration, frequency, and volume sere 12 weeks, 5 day/week, and 60 min/day, respectively.

      • KCI등재

        원심성운동의 지속시간이 혈압, 심박수, 혈중 젖산, 당에 미치는 영향

        석창혁(Seok, Chang-Hyeok),권영우(Kwon, Yeung-Woo) 한국체육과학회 2017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duration of eccentric(2-second vs. 4-second) muscle contractions and their effect on circulatory factors(blood pressure, heart rate) and metabolic substrate (lactate, glucose) using acute resistance exercise. Ten college-aged males were randomized and assigned to one of the two eccentric acute exercise groups that incorporated different patters of contraction. The control group utilized two-second-eccentric contractions while the 4second group performed four-second eccentric contraction. For every repetition, all two groups utilized two-second concentric contractions. All participants completed acute resistance exercise at intensity of 80-85% of 1RM. Blood pressure measured before, immediately after exercise, 5. 10, 15, 20min post exercise. Heart rate measured before, immediately after exercise, 1min post exercise. Lactate, and blood glucose concentration measures before, immediately after exercise, 30min post exercise. Significant group×time interaction effects were found for blood glucose concentration. Blood glucose data indicated that the 2s and 4s group experienc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immediately after exercise and 30minutes post periods and thus exercise induced decrease was more higher during 4second eccentric exercise than during 2second one. While heart rate did not reach significance but there was a trend towards a difference with 4s eccentric exercise. No other significant group×time interaction effects were found for the variables.

      • KCI등재

        스포츠 이벤트 품질이 참가자의 관계품질에 미치는 영향

        석창혁(Seok, Chang-Hyeok),조태수(Cho, Tae-Soo) 한국체육과학회 2020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ultimate direction for the services that sports events should pursue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participants to regenerate into the desired events by confirming how the quality of sports events affects the relationship quality of participant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Cronbach"s α),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WIN Ver. 20.0 and AMOS 20.0 progra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Sports event quality(environment quality factor, interaction factor, result quality factor) had a positive effect on trust factor. Sports event quality(physical environment quality factor, interaction factor, result quality factor) had a positive effect on flow factor. Relationship quality factors(trust factor, flow factor) ha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factor.

      • KCI등재

        주관적 크롤영법 기능검사 평가표 개발 및 대학교 교양체육에 적용 가능성 평가

        석창혁(Chang-hyeok Seok)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7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9 No.1

        이 연구는 크롤(crawl) 영법의 기능을 검사할 수 있는 주관적 평가표를 개발하고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여, 대학 교양수영 강좌에 적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양으로 수영을 수강하는 대학생들의 크롤영법을 검사하기 위한 주관적 기능검사 평가표를 제작하기 위해서 선행연구와 문헌고참을 통한 개념 정립 후 올바른 수영의 자세를 구조화하여, 전문가 집단의 회의를 통해 내용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평가표는 4개의 세부 동작(팔, 다리, 호흡, 종합동작)으로 구분, 총 18개의 문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평가는 3단계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였다. 개발된 주관적 크롤영볍 기능검사 평가표가 올바르게 크롤 기술을 측정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A시 소재의 대학교에서 교양수영 강좌를 수강하는 대학생 48명파 B체육 중·고등학교에 소속된 수영 선수 29명의 자료를 연구 분석에 적용하였다. 개발된 주관적 크롤영볍 기술검사 평가표의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t-test와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두 개발된 주관적 크롤영볍 기술검사 평가표의 타당도를 지지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주관적 크롤영볍 기능검사 평가표는 대학교 교양수영 깅좌에 적용하는데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subjective crawl-swim skill test and to deter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skill test to physical activity courses in colleges. To develop the skill test inventory literature review and constructing correct crawl-swim technique were conducted followed by the expert review for content validity. Final version of the inventory consists of four major parts (stroke, kick, breathing, and overall) with 18 items. A three-point scale was employed for the inventory; Inferior-Moderate-Superior. Data from 77 subjects (48 college students and 29 middle & high school swimming athletes) was used for group difference tests and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50-meter crawl swimming records and test scores. The subjective crawl-swim skill test discriminated the groups based on their swimming skill levels and the test score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respective swimming records. In summary the inventory is applicable to evaluate and grade college students in physical activity courses even though it might be insufficient to test expert level swimmers and athletes.

      • KCI등재

        청소년용 신체적 자기효능감 질문지 개발 및 타당성 검사

        석창혁(ChangHyeokSeok),(HyukChung) 한국체육학회 2013 한국체육학회지 Vol.52 No.4

        이 연구는 청소년(중고등학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질문지 개발에 초점을 두었다. 검사도구 개발절차는 Benson(1998)이 제안한 삼단계 타당화 프로그램에 따라 수행되었다. 개념 검토단계를 통해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개념을 정립한 후 101개의 예비문항을 제작하였고, 전문가 회의와 사전조사를 통해서 61개의 초안문항을 선별하였다. 내적 구조검토 단계에서는 세 차례에 걸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5요인 18문항이 추출되었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구조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내적일관성 신뢰도와 검사-재검사를 실시하여 개발된 질문지의 신뢰도를 점검하였다. 또한 외적 관계검토 단계에서는 개발된 질문지가 체력 우수 집단과 비우수 집단 간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수준의 차이를 구별하는지 확인하였고, 유사한 개념인 신체적 자기개념과의 관련성을 보여줌으로써 추가적인 타당도의 근거가 제시되었다. 최종본인 신체적 자기효능감 질문지(PSEQ; Physical Self-efficacy Questionnaire)는 달리기 효능감, 운동참여 효능감, 체형 효능감, 근력 효능감, 및 외모 효능감 등 5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 및 정의되었다. 결론지으면,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에게 적용할 수 있는 검사도구를 개발 및 제시하였으며, 차후 청소년들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수준을 측정하는데 PSEQ의 사용을 권장하는 바이다. This study mainly focused on developing and validating a scale measuring adolescents' physical self-efficacy. The procedure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framework of construct validation suggested by Benson (1998). One hundred and one items were genera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an open-ended question survey. The pool of items was then reduced to 61 items through content validity and a pilot study. Throughou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ive factors with 18 items were extracted and confirmed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Concerning reliability the results of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tests were acceptable. Additionally, two analyses were conducted: 1) an independent t-test for two heterogeneous groups (high physical ability vs. low physical ability), and 2)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measures from the Physical Self-Efficacy Scale (PSEQ) and the Physical Self-Concept Scale. These results provided the evidences showing validity of the PSEQ. The final form of the PSEQ consists of five factors (Run, Exercise Participation, Body Type, Strength, and Appearance efficacies). In conclusion, the use of the PSEQ with robust validity and stability presented in this study is recommended to measure the levels of adolescents' physical self-efficacy.

      • KCI등재

        한국어판 신체적 자기효능감 척도의 타당도 검증

        석창혁(Chang Hyeok Seok),(Hyuk Chung)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2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4 No.2

        이 연구에서는 윤영철(2008)이 한국어로 번역하여 제시한 신체적 자기효능감 척도(PSES-K)의 심리측정학적 특성을 검사하였다. 전체문항을 한 경우와 PPA요인에 대한 내적일관성 신뢰계수는 양호한 반면 PSPC요인의 신뢰계수는 낮게 나타났다. 탐색적 요인분석에서도 PSPC요인에 포함된 문항들 다수가 낮은 요인 적재값을 갖거나 어느 요인에도 포함되지 않는 결과를 보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에 따르면 대부분의 적합도 지수에서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대조되는 두 집단을 이용한 평균비교, 신체적 자기개념 점수와의 상관분석, 체지방률과의 상관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요약하면, PSES-K는 세밀한 번역과정을 거쳐 제시된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를 이용한 신체적 자기효능감 측정은 부적합한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번역에 사용된 원본 검사지가 외국에서 1980년대 초반에 개발되었다는 점에서 기인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국내에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신체적 자기효능감 검사지의 개발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Korean Physical Self-Efficacy Scale (PSES-K). Evidences for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were presented in a series of analyses. Whil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ies for PPA subscale and the scale were acceptable the coefficient alpha for PSPC subscale was problematic.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re were four items showing relatively low factor loadings. Most indices resulted from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poor fit then the two factor model might be regarded as inappropriate for measuring physical self-efficacy in undergraduate students. For external validity, three analyses such as t-test for two heterogeneous groups,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measures from the PSES-K and the Physical Self-Concept Scale, and correlations between the measure of the PSES-K and the percent of body fat were conducted. In summary developing a new scale was recommended rather than revising the PSES-K, which was translated from the scale developed in 198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