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융·복합 공간정보산업의 유형 분류에 관한 연구

        석상묵(Seok, Sangmuk),송기성(Song, Ki Sung),권회윤(Kwon, Hoe Yun),황정래(Hwang, Jung Rae) 한국측량학회 2016 한국측량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6 No.4

        본 연구에서는 공간정보산업의 체계적인 모니터링을 위하여 융·복합 공간정보산업 유형 분류 모델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융·복합 공간정보산업의 정의를 재정립하고, 제안된 모델을 기반으로 국내에서의 공간정보 활용 동향을 분석하였다. This study proposed a classification model for geospatial information convergence industry in order to monitor geospatial information industry systematically. For this purpose, a definition for geospatial information convergence industry is reestablished and proposed model applied to analyze domestic trends of geospatial information utilization accordingly.

      • SCOPUSKCI등재
      • 범죄예방 정책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지역방범지수(RCPI) 개발

        석상묵(Seok, Sangmuk),권회윤(Kwon, Hoe Yun),송기성(Song, Ki Sung),이하경(Lee, Ha Kyung),황정래(Hwang, Jung Rae) 한국측량학회 2017 한국측량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7 No.4

        본 연구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체계적인 범죄예방 활동 지원을 위한 GIS 기반 지역방범지수 개발방법을 제시하였다. 경기도 A시를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지역방범지수 적용결과 31개 동별로 공간적 편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도시환경의 가장 작은 행정구역인 행정동 수준에서 지역사회의 범죄안전도 평가가 가능함을 보였다. In this study, we proposed Regional Crime Prevention Index(RCPI) as part of crime safety assessment in urban environments. The estimation of RCPI in City A of Gyeonggi-do showed relative differences in 31 administrative districts(dong), indicating that it is also possible to evaluate the crime safety in the local community on the level of the dong, the smallest administrative district in the urban environments.

      • KCI등재

        야생동물 서식지 패치와 로드킬 핫스팟의 상관관계 연구

        석상묵 ( Sangmuk Seok ),이지영 ( Jiyeong Lee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5 환경영향평가 Vol.24 No.3

        도로의 개발 등과 같은 선형적인 개발로 인해 생태계 파편화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야생동물 로드킬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로드킬 저감대책의 일환으로 생태통로 및 유도펜스, 경고표지판 등 다양한 구조물의 설치를 통해 로드킬 저감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그간 국내에 설치되어 온많은 구조물들은 입지선정 및 목표종 선정, 관리 등의 미흡으로 인해 그 실효성에 대하여 많은 문제점이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정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로드킬 저감을 위한 구조물 설치구역 선정 시 실제 이용 대상이 되는 목표종의 선정 및 분석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로드킬 지점과 야생동물 서식지 패치 간의 관계성을 파악하여 야생동물 서식지 패치의 공간적 위치가 로드킬 저감을 위한 정책마련 시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표종은 선행연구를 통해 오대산 국립공원의 다람쥐로 선정하였으며, 다람쥐의 서식지 선호도 분석을 통해 서식변수를 선정, 중첩하여 다람쥐 서식지 패치를 도출하였다. 이후 로드킬 발생지점 정보와 Getis-Ord Gi 분석을 활용하여 로드킬 핫스팟을 도출하고, 서식지 패치-도로 간의 거리와 Gi Z-score 간의 상관분석을 통해 두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두 변수 사이의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남에 따라 서식지 패치와 도로가 인접할수록 Gi Z-score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ecosystem fragmentation due to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causes road-kill phenomenon. When making policy for reducing road-kill it is important to select target-species in order to enhance its efficiency. However, many corridors installed in Korea have been raised issues about their effectiveness due to lack of considerations such as target-species selection, site selection, and management, etc. In this study, we are to grasp relationship between road-kill area and habitat patches and suggest that spatial location of habitat patches should be considered a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when making policy for reducing road-kill. Habitat patches were presumed from overlying suitability index that chosen by literature review and road-kill hotspot was determined by Getis-Ord Gi analysis. Afterwards, we performed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Gi Z-score and the distance from habitat patches to the roads. As a result, there i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wo variables, It affects the Gi Z-score going up if the habitat patches and the roads become closer.

      • KCI등재

        수요자 요구 분석을 통한 공간정보산업 진흥 전략에 관한 연구

        석상묵(Sangmuk Seok),송기성(Ki Sung Song),황정래(Jung Rae Hw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7

        공간정보산업은 타 산업과의 융·복합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강점을 가진다. 이러한 목적 으로 국내에서는 점차 위축되어가는 국내 공간정보산업의 진흥을 위하여 융·복합 산업 활성화에 관한 정책 및 추진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공간정보산업의 진흥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세부 전략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민간의견 수렴체계 구축, 데이터 품질 고도화, 홍보 고도화 등 정책·데이터·서비스 측면에서의 수요자 요구사항에 따른 27개 전략이 도출되었으 며, 중요도 평가 결과 변이계수가 0.11-0.20 사이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나 전문가 간의 합의가 원만하게 이루어졌음을 보였 다. 융·복합 산업이 각종 기술과 정보 등의 결합을 통해 발전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감안할 때, 다양한 분야의 수요자에 대한 요구사항을 반영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결과는 향후 공간정보산업 진흥에 관한 중·장기 로드 맵 수립 시 기초 자료로서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geospatial information industry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nverge with other industries to create new value. Therefore, efforts are underway to promote the growth of this dwindling national industry by endorsing policies and initiatives to promote its convergence with other industries. In this study, feedback was collected from experts in various fields through three rounds of polls using the Delphi method. The poll result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hindrance to the growth of the geospatial information industry and to build a comprehensive solution to this problem. As a result, 27 strategies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users' requirements related to policy, data and service, including the demands for establishing public polling methods, enhancing data quality and advertisement. Since the coefficient of variance fell between 0.11 and 0.20 in the importance evaluation, an amicable consensus was reached between the experts. Considering that the convergence of industries is achieved through the integration of various types of technology and information,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requirements of users in different industries. In this resp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a useful base for constructing mid-to-long term road map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geospatial information industry.

      • 공간정보 표준 선순환체계 수립에 관한 연구

        석상묵,이지영,Seok, Sangmuk,Lee, Jiyeong 한국공간정보학회 2015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3 No.4

        The basic purpose of standardization is to enhance economic feasibility and increase efficiency in the field of production, consumption, and distribution, etc. Therefore, standardization field requires circulatory system that can not only produce standards but develop and revise published standards. With such a background, to activate standards and promote systematic standardization activities, the government proposed establishing circulatory system for geospatial information standards in the National Geospatial Information Standardization Project in 2011. However, the result of analysis show that the current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NSDI) standardization system caused a various problems including duplicate publication of standards because domestic NSDI standardization field have repeated production activities of standards without conformity assesment and certification activities. With a view to establishing circulatory standardization system, this study suggests ways of improving current domestic standardization system by reestablishing the cycle structure and circulatory system for geospatial information standards. Through this study, we could determine strategic direction for virtuous circle of geospatial information standards in macro level and it can be effectively utilized in term of planning mid-and-long-term roadmap for establishing NSDI standardization system. 표준화의 목적은 생산, 소비, 유통 등 여러 분야에 있어 능률 증진 및 경제성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기본 목적으로 한다. 즉, 표준화 분야는 표준의 생산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활용 및 유지 관리가 지속적으로 순환될 수 있는 순환체계의 구축이 요구되는 분야이다. 이에 정부는 2011년 국가공간정보 표준화 연구를 통해 공간정보 표준의 활성화 및 체계적인 표준화 활동 추진을 위해 공간정보 표준 선순환체계의 구축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현행 공간정보 표준체계 분석 결과, 국내 공간정보 표준화 활동은 별도의 적합성 평가 인증 활동 없이 표준의 생산만을 반복하여 표준의 중복제정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표준의 생산 및 활용, 유지 관리 활동이 지속적으로 순환될 수 있는 표준 선순환체계의 구축을 위하여, 순환의 특징에 따라 표준 순환체계의 구조와 공간정보 표준 순환체계를 재정립하고 이에 따라 요구되는 각 구성요소들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공간정보 표준의 선순환을 위한 거시적 관점에서의 전략적 방향성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이는 향후 국가공간정보 표준체계 정비에 관한 중장기 로드맵 수립 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건물통합도면과 연계한 지진 시 지반 액상화 위험지도 작성 방안 연구

        김종관(Kim Jong-Kwan),한진태(Han Jin-Tae),박가현(Park Ka-Hyun),석상묵(Seok Sangmuk) 대한공간정보학회 2019 한국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11

        본 연구에서는 재난 예방 및 완화, 준비와 계획, 대응, 복구 전 단계에 걸친 효과적인 재난관리대책 마련을 위해 건물통합도면과 연계한 액상화 위험지도 작성 방안을 제안하였다. 각 지점별로 도출된 지반 액상화 가능성지수(LPI) 및 액상화 심각성지수(LSN)를 기반으로 Kriging기법을 통해 격자형태로 보간하여 포항시를 대상으로 액상화 위험지도를 작성하였다. 이를 국토교통부 건물통합도면 데이터와 연계하여 3차원 공간정보로 표현함으로써, 지진 발생 시 공공시설물 및 다중밀집시설 등 재난피해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건물에 대한 위험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