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연체험활동에 참여한 부모들의 경험이 갖는 의미

        서동미(Seo Dong-Mi),김명애(Kim Myung-Ae),이광자(Lee Kwang-Ja)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생명과학교실의 자연체험활동에 참여한 부모들의 경험과 그 경험이 의미하는 바를 해석해 봄으로써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부모의 자연체험활동 과정에 대한 참여관찰과, 저널분석을 통해 부모들은 자연과의 관계와 자녀와의 관계가 변화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부모들의 경험은 자연체험이 일상에서 체험으로 습득되며, 생태계에 대한 이해뿐 아니라 생명에 대한 존중과 공동체적 삶의 가치를 통한 자신의 성장을 가져오고, 이런 느낌을 경험한 부모들은 그들의 자녀와도 함께 공유하고 싶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유아의 생태적 가치관과 삶의 방식을 위해서는 유아에게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부모들의 의식변화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며, 이를 위해 부모에게 자연을 접하고 자연을 이해할 수 있는 부모교육이 주어져야 한다고 제안한다. This paper provides basic(fundamental) materials by analyzing the experience of parents participating and what the experience of parents means. Based on observing parents' participating in the nature experience activities and analyzing their journals, the relationship of participants with both nature and children showed change. The experience of parents shows that nature experience is acquired through everyday experiences, and parents can grow by understanding not only the ecosystem, but in regard to the life and the community. Moreover, the experience of parents shows that parents who feel this way want to share it with their children. In our conclusion, we argue that the change of parents' awareness, which affects their children closely, is preferentially required for the ecological value and lifestyle of the children. For this,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parents to help them experience and understand nature.

      • KCI등재후보

        유아들의 수학적 경험이 발생하는 상황과 교사의 중재 방법 탐색

        서동미(Seo Dong Mi)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유치원의 하루 일과 중 유아들은 어떠한 상황에서 수학적 경험을 하며, 이때 교사는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치원의 만 4세 학급 유아들을 참여 관찰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들의 놀이 상황’,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상황’, ‘유아 스스로 배우기를 원하는 상황’, ‘유아가 자신의 유능함을 드러내고자 하는 상황’에서 수학적 경험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유아들이 비형식적인 방법으로 수학적 경험을 할 때 교사는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본 결과, ‘개입의 적절한 시기를 결정하기’, ‘질문으로 유아가 수학을 배우도록 돕기’, ‘다른 활동과 통합하기’로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xamine in what situation young children have mathematical experiences during their daily routine at a kindergarten operating activity oriented inclusive curriculums, and what roles teachers play in such situatio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observed four year old children at a kindergarten offering activity oriented curriculums and analyzed collected dat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young children had mathematical experiences in "playing situation", "problem solving situation", "situation when the children want to learn by themselves", and "situation when they try to display their competence. In the results of examining what roles teachers can play when young children have mathematical experiences by informal methods, we observed teachers" roles of helping children"s mathematical learning through "determining the proper time of guidance", "asking questions", and "making efforts to integrate with other activities.

      • KCI등재후보

        예비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전공만족도, 직무수행효능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서동미(Seo, Dong Mi),엄은나(Eom, Eun Na)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2020 영유아교육지원연구 Vol.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전공만족도, 직무수행효능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지역의 3년제 유아교육과 재학생 31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학년에 따라 자아탄력성, 전공만족도, 직무수행효능감, 진로성숙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1,2학년과 3학년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자아탄력성, 전공만족도, 직무수행효능감, 진로성숙도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자아탄력성과 전공만족도, 직무수행효능감이 예비유아교사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교사들이 유아교사의 삶을 준비하고 직업세계로 안정적인 입문을 할 수 있도록 자아탄력성 및 전공만족도와 직무수행효능감 향상을 지원하는 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go-resilience, major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on their career maturity.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319 students of the three-year colleg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the collected result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ego-resilience, major satisfaction, job performance efficacy, and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the grad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nd in particula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raders group and the third graders group. Second, it is found out that there are static correlations among the ego-resilience, major satisfaction, job performance 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to each other. Third, it was found that ego-resilience, major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efficacy wer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career matur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mong the variables, the effect of ego-resilience on career maturity was found to be the highest, followed by major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efficacy in order. These results imply the need for immediate previous education programs that supports the improvement of ego-resilience, major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efficacy so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can prepare for the lif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be provided with a stable entry into the professional world.

      • KCI등재

        예비교사의 유아 수학교육내용에 대한 분석

        서동미(Seo Dong Mi),이영미(Lee Young Mi)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예비 유아교사들의 수학교육내용에 대한 지식 정도를 수학교육내용에 대한 개념도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유아 수학교육을 수강하는 60명의 예비교사이다.<BR>  예비교사들의 개념도 분석 결과 예비교사들은 분류, 수의 기초개념 이해하기, 순서짓기, 공간과 도형, 측정, 통계, 컴퓨터 등을 유아 수학교육 내용의 상위 개념으로 생각하였다. 이런 결과는 예비교사들이 생각한 상위개념이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이나 NCTM에서 제시하는 수학교육 내용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교사들은 6차 유치원교육과정 탐구 생활영역에 비추어볼 때 수학교육내용에 대해 비교적 정확한 지식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수학 교육 내용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는 정도나 종속개념의 수, 위계는 상위개념마다 차이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service teacher"s knowledge about early childhood mathematics instructional content. Concept mapping was used to investigate Preservice Teachers" knowledge about early childhood mathematics instructional content. Subjects were 60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attending early childhood mathematic course.<BR>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view classification, basic concept of numbers, seriation, spatial and geometry, computer, measurement, and statistics as the most crucial concepts needed to be learn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what the preservice teachers as the most crucial concepts are in match with at the sixth version of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and "National Council of Teacher of Mathematics(NCTM). In terms of rank, there was ‘basic concept of numbers’(2.62), ‘spatial and geometry’(2.62), ‘classification’(2.56). And in terms of amount of subordinate concepts, there were ‘basic concept of numbers’ and ‘seriation’. It means that preservice teachers possess knowledge about ‘basic concept of numbers’. Also, in terms of point of character, there were ‘basic concept of numbers’(0.23), and ‘classification’(0.17) in order. The ‘basic concept of numbers’ showed the higher frequency usage and were ranked higher. It means that teachers-in-training stress the ‘basic concept of numbers’ in the content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BR>  It appears that preservice teachers have the knowledge for the sixth version of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However, there is a gap in the number of teachers who fully understanding the lessons taught in that field according to the subordinate concept. These teachers tend to teach only the areas in which they fully understand.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fully prepare these preservice teachers to be able to teach all areas of study to the student. The teachers need to be taught in a more practical way so that they are able incorporate them in their future lesson plans. They need to continue to learn new ways of teaching and to keep what they have learned in the past.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성, 정서조절 전략능력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서동미(Seo, Dong-Mi),김지현(Kim, Ji-Hyun),조성욱(Cho, Sung-Wook)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7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성 및 정서조절 전략능력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 예비유아교사 3,4학년 26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성과 정서조절전략능력, 교사효능감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각 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회성과 정서조절 전략능력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조절전략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사회성이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났으며 교사효능감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사회성과 정서조절전략능력, 사회성 모든 부분에서 개인차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사회성과 정서조절 전략능력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성이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며 정서조절 전략능력 중 주의재배치 행동은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소수일지라도 사회성 또는 정서조절 전략능력이나 교사효능감이 낮은 예비유아교사를 파악하여 개별적으로 지원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며, 예비유아교사가 교직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와 확신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성과 정서조절 전략능력을 파악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과 진로상담 체계와 실질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service child teachers’ sociality,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teacher efficacy. And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for 267 sophomore and senior students of pre-service child teachers. This study conducted a descriptive statistical research to investigate pre-service child teachers’ sociality,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teacher efficacy, performed correlation analysis for correlations between respective factors, carried out regression analysis to explore the effect of sociality and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on teacher efficacy.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pre-service child teachers’ sociality,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teacher efficacy were found to be relatively high at the level and have a significant personal differenc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sociality and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Third, it was found that sociality affected teacher efficacy and that attention relocation behavior among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ffected teacher efficacy.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dividual support by finding out pre-service child teachers with low levels of sociality,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teacher efficacy. And this proposes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non-subject programs, career guidance system and practical support by finding out pre-service child teachers’ sociality and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in order for them to have positive expectation and confidence.

      • KCI등재

        유치원 삶 속에서 유아들이 겪는 수학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서동미(Seo Dong Mi),염지숙(Yeom Ji So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유치원 하루 일과에서 유아들이 어떠한 수학경험을 하는가를 알아보고 그러한 경험이 유아들에게 주는 의미를 찾아냄으로써 유아들에게 더 나은 수학교육을 제공하기위한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만4세 파랑반의 하루 일과에 대한 참여관찰, 유아와 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유아들은 반복되는 일과와 교사의 계획에 의한 활동을 통해서 통합된 수학경험을 한다. 유아들의 수학경험은 또래, 교사와의 대화를 통한 수학경험의 확장,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수학경험의 확장, 놀이를 통한 수학경험의 확장을 의미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에게 의미 있는 수학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교사가 정해진 답을 요구하기보다는 열린 대화를 통해 유아와 함께 수학적 사고를 구축해 가는 것, 수학경험으로 초대하는 풍부한 환경을 구성해 주는 것, 충분한 놀이 경험을 제공하여 유아가 수학을 즐거운 과정으로 느끼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hildren's mathematical experiences in their kindergarten classroom and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s to find out the better way of providing mathematics education for children.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in the kindergarten classroom and interviews with teachers. The result showed that the children in this study experienced mathematics through both everyday routines and planned activities by the teacher. The meaning of children's mathematical experiences were the expansion of mathematical experiences through the dialogue between reacher and child or child and child, the interaction with environment, and the play.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for teachers to construct the mathematical ideas with children through true dialogues, provide children with rich mathematical environment and joyful play experiences.

      • KCI등재

        교육봉사활동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교사 자질 함양에 대한 기대와 자기평가

        서동미(Seo, Dong-Mi),엄은나(Eom, Eun-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expectation and selfevalua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nhancement through teacher volunteer activity. For this purpose, data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of third and fourth grade student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were analyzed.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high expectation about the enhancement of teacher qualification through the service volunteer activities. Self‐evaluation level was lower than expected. In addition, particularly, the result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ime of classroom service, the way of classroom assignment, and whether to have the pre‐education and post‐evaluation of college and volunteer organizations. The expectation and self‐evaluation of teacher’s qualification enhancement through the education volunteer activiti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areas of teacher qualification. Through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systematic pre‐education and reflective evaluation for the educational volunteer activities, and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be part of a single class and have plenty of time for in‐class volunteer activities, which can help provide a useful experience in the enhancement of teacher qualification. 본 연구는 교육봉사활동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교사 자질 함양에 대한 기대와 자기평가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유아교육과 3,4학년 재학생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교육봉사활동을 통한 교사 자질 함양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높은 기대를 나타냈다.자기평가수준은 기대에 비해 낮았으며, 특히 학급 내 봉사활동 시간, 담당학급 배정방식, 대학 및 봉사활동기관의 사전교육 및 사후평가 유무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였 다. 교육봉사활동을 통한 교사 자질 함양에 대한 기대와 자기평가는 교사 자질의 전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육봉사활동 사전교육 및 반성적 평가를 체계적으로 실시하고, 예비유아교사가 단일 학급에 소속되어학급 내 봉사활동 시간을 충분히 갖도록 하는 것이 교사 자질 함양에 유익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후보

        교사로 성장하는 과정을 통해 본 ‘좋은 교사’의 의미 탐색

        서동미(Seo Dong-Mi),전우경(Chun Woo-Kyeong),엄은나(Eom Eun-Na)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0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한 유치원 교사가 초임 시기부터 원감이 되기까지의 경험을 회고해봄으로써 좋은 교사가 되기 위해 노력해온 과정에서 나타난 변화와 그러한 경힘들 속에 내재되어 있는 ‘좋은 교사’의 의미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경력 13년의 유치원 원감교사이며, 심층 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의 경력이 증가함에 따라 유아, 수업, 학부모 및 동료교사와의 관계에 대한 교사의 관점이 질적으로 변화하였다. 유아에 대한 관점은 통제해야 할 대상에서 개별 유아를 수용하는 관점으로, 수업에 대한 관점은 이론-실제의 갈등에서 이론-실제의 균형 찾기로, 학부모에 대한 관점은 가르치는 입장에서 공감하는 입장으로, 그리고 동료교사와의 관계에 대한 관점은 심리적 의지 대상에서 전문적 도움을 주고받는 대상으로 변화되었다. 또한 그러한 경힘들의 의미를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좋은 교사란 ‘타인을 사랑하고 배려하는 교사’, ‘자신을 사랑하고 존중하는 교사’, ‘협력하는 교사’, ‘잘 가르치는 교사’를 의미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hanges in the process of making efforts to be a good teacher and to clarify the meanings of "a good teacher" by recalling the course of a kindergarten teacher from the first appointment as a teacher until being the director of a kindergarten. The participant of this study was a kindergarten director with 13 years" experience,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 depth interview and participant observ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teacher"s views on the relations with children, classes, parents and colleague teachers were changed along with the increase of experience. In the teacher"s views, children were changed from the subjects to be controlled to individuals to be accepted, classes from conflicts between theories and practices to finding balance between theories and practices, parents from those to be taught to those to sympathize with, and colleague teachers from the objects for psychological dependence to the objects for the exchange of professional help. In the course of restructuring the meanings of these experiences, it was found that "a good teacher" means one who loves and considers others, loves and respects himself or herself, cooperates with others, and teaches children well.

      • KCI등재

        교사-유아의 과학적 대화 분석에서 나타난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

        서동미(Seo Dong-Mi),박은주(Park Eun-Ju),조형숙(Cho Hyung-So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교사와 유아의 과학적 대화를 분석하여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을 알아보고, 그러한 유형이 어떠한 배경과 맥락에서 발생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만5세반 유아들과 담임교사였다. 연구자는 교실에의 참여관찰 및 담임교사와 유아들과의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 외에도 유아들의 작품 및 교사의 수입계획안을 수집하였다. 그 후 과학적 대화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함으로써 교사의 다양한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은 ‘과학적 탐구 관련 질문하기, 과학내용지식 설명하기, 탐구의 방향 제안하기, 과학적 태도 칭찬 및 격려하기, 유아의 과학적 아이디어 수용하기, 유아의 질문이나 제안 회피하기, 앞선 반응하기와 자문자답하기로 범주화 할 수 있었고, 이 유형들은 다양한 맥락에서 발생됨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교사의 언어 상호작용 유형들은 그 발생맥락에 따라 유아들의 과학적 학습에 긍정적인 지원을 하거나 제한함을 볼 수 있었는데, 이는 맥락에 적합한 교사의 과학적 대화기술이 유아들의 과학 관련 경험 및 학습을 향상시킴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types of teacher's verbal interaction in scientific discourse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and to look into the context in which the types of verbal interaction emerged.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30 5-year-old children and their classroom teacher. The data was collected mainly by participant observation in the classroom, and interviews with the classroom teacher and students. Artwork by the children, and the teacher's lesson planning log were obtained.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teacher's different types of verbal interaction in scientific discourse with the children. The teacher's verbal interactions were broken into 7 categories: asking questions related to scientific inquiry, explaining scientific facts, proposing the direction of inquiry, encouraging scientific inquiry attitude, accepting children's scientific ideas, avoiding children's questions or suggestions, and responding in advance and the teacher answering his or her own questions without waiting for the children's responses. The interaction types were observed in different contexts. It was found that the types of teacher's verbal interactions supported or limited young children's scientific experiences or learning according to the emerging context. It means that teachers' scientific conversation skills which is suited to the contexts improve children's science related experiences and learning.

      • KCI등재후보

        2세 영아의 의사소통 의도와 이에 대한 또래와 교사의 반응

        서동미(Seo, Dong-Mi),김경란(Kim, Kyung-Ran)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0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2세 영아들을 대상으로 의사소통 시도의 의도와 이에 대한 또래와 교사의 반응을 탐색하기 위하여 2세반 영아 10명과 교사 2명을 참여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2세 영아들은 교사와 또래에게 ‘자기주장하기’ 위해서 그리고 상대방에게 ‘관심보이고 동조하기’, ‘애정과 위안 나누기’의 의도로 의사소통을 시도하였다. 이에 대해 또래들은 영아와의 친밀도나 힘의 정도에 따라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거나 거부의 의사를 표현하였다. 이에 비해 교사들은 특정한 상황을 제외하고는 영아의 ‘자기주장’과 ‘관심 끌고 동조하기’, ‘애정과 위안 나누기’의 의사소통 의도에 수용적인 반응을 보였다. 위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교육적 시사점을 전달한다. 첫째, 교사는 영아들의 자기주장을 존중해주어야 하며, 소극적으로 자기주장하는 영아들이 말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도록 지도해야 한다. 둘째, 영아들의 관심보이기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민감성이 필요하며, 또래 영아들도 상대방의 관심과 동조하기 의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사는 영아의 애정적 요구를 민감하게 해석하여 반응할 수 있어야 한다. This study performed participant observation of 10 two­year­old toddlers and 2 teachers in order to examine the toddlers’ intention to try communication and peers’ and teachers’ response to the inten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wo­year­old toddlers attempted communication with the intension of ‘self­asserting’ to their teacher and peers, and with intention of ‘showing interest and sympathizing’ and ‘sharing love and comfort’ with others. To these intentions, peers showed a positive response or rejection depending on their intimacy with thetoddler or their strength. On the contrary, teachers showed a receptive response to toddlers’ communication intentions of ‘self­asserting,’ ‘showing interest and sympathizing’ and ‘sharing love and comfort.’ These results give educational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teachers should respect toddlers’ self­assertion, and help toddlers passive in self­assertion express their emotion in word. Second, in order to recognize toddlers’ intention of showing interest, teachers should be sensitive and help peer toddlers recognize others’ intention of showing interest and sympathizing. Lastly, teachers should be able to read and respond sensitively to toddlers’ demand of lo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