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아우구스티누스 규칙서에 나타난 기도

        변종찬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07 가톨릭신학 Vol.0 No.11

        Agostino non ha scritto un libro sulla preghiera eccetto Epistola 130, ma si trovano nelle sue Enarrationes in Psalmos e nei Sermones molte preci e la sua dottrina della preghiera. Agostino, come maestro di prece e servo di Dio, insegna il suo pensiero sulla preghiera nella Regola. Innanzitutto, si dice che Agostino sia un fondatore dei monasteri in Africa. Agostino dimostra nella Regola la finalità fondamentale della vita monastica agostiniana come l'esperienza della communione materi- ale e spirituale nella comunità primitiva di Gerusalemme, descritta negli Atti degli Apostoli 4,32-35. Egli ritiene che la preghiera sia un mezzo con il quale si consegue l'ideale di quella comunità. Secondo la Regola, la preghiera comunitaria nel monastero rimane un segno e un mezzo insostituibile della comunione spirituale, per cui è importante per i monaci la fedeltà alla preghiera comunitaria. Inoltre, la Regola, mettendo una prescrizione che nel monastero deve esserci un oratorio, vuole distinguere il luogo destinato alla preghiera dalla sala di lavoro ed esorta alla preghiera privata. È tuttavia molto importante l'interiorità, perchè essa è il fondamento principale della preghiera. Agostino, grazie all'interiorità, può definire la preghiera come il grido a Dio del cuore e il desiderio sgorgato dalla fede, speranza e carità. La preghiera continua ad esigere il desiderio della patria celeste, per cui possiamo dire che la prece ha un carattere mistico e escatologico. La preghiera pure ci fà sospirare per il desiderio del riposo eterno nella città celeste, per cui comporta una radicale conversione del nostro cuore. In questo senso, possiamo dire che la preghiera ha un'efficacia purificatrice e rinnovatrice. Inoltre, la Regola ci dà una prescrizione sull'inportanza del canto nel monastero, perchè il cantare inni e salmi è utile per infiammare i nostri animi d'amore verso Dio. Perciò Agostino esprime con le prescrizioni sulla preghiera nella sua Regola l'armonia fra la preghiera e la vita. Ovviamente è la realiz- zazione della vita comunitaria come "un'anima e un cuore protesi verso Dio". Essa non è altro che la costruzione della comunità la quale anela il riposo nella città di Dio come pellegrina sulla terra. Per questo, Agostino inivita i cristiani a lodare Dio con tutti. Ecco la preghiera gra- zie alla quale possiamo essere una comunità di adoratori di Dio viven- te in ognuno di noi. 아우구스티누스는 「서한」130을 제외하면 기도에 관한 체계적인 글을 남기지 않았지만, 그의 시편 주석과 강론 안에서 우리는 많은 기도와 그것에 대한 가르침을 발견하게 된다. ‘기도의 스승’으로서 그리고 ‘하느님의 종’으로서 아우구스티누스는 자신의 규칙서를 통해 기도에 관한 그의 사상을 요약 정리해서 말하고 있다. 무엇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아프리카 수도원의 창시자로 일컬어진다. 규칙서에서 아우구스티누스는 수도 생활의 근본 목적을 사도행전 4,32-35에서 묘사하고 있는 초기 예루살렘 공동체의 영적, 물적 친교 체험으로 제시한다. 이러한 이상적 모습을 추구하기 위한 도구로서 그는 기도를 말하고 있는 것이다. 규칙서에 따르면, 수도원에서 행해지는 공동기도는 영적 친교의 표징이요 도구이기에 수도자들은 공동기도에 대한 성실성을 지녀야 한다. 또한 규칙서는 수도원 내에 기도소를 설치할 것을 명함으로써 작업실과 기도의 장소를 명확하게 구분하고자 하며, 개인기도에 대해 권고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내향성이라는 기도의 기본 법칙이다. 이 원칙에 따라 아우구스티누스는 ‘하느님께 올리는 마음의 외침’으로 그리고 ‘믿음과 희망과 사랑에서 나오는 열망’으로서 기도를 정의한다. 기도는 우리로 하여금 천상 고향에 대한 열망을 계속해서 요구하기에, 기도는 신비적이요 종말론적이다. 또한 기도는 천상 고향에서 누리게 될 영원한 안식을 희망하게 하기에, 우리의 계속적인 회심을 가져온다. 이러한 의미에서 기도는 정화자요 쇄신자로서 나타난다. 또한 규칙서는 수도원 내에서 성가의 중요성에 대해 규정하는데, 이는 성가를 통해 우리의 영혼이 하느님을 향한 사랑으로 뜨거워지는데 유익하기 때문이다. 결국 아우구스티누스는 기도에 관한 규칙서의 규정을 통해 기도와 삶의 조화를 말하고 있다. 즉 “하느님을 향하는 한 영혼과 한 마음”으로서 공동생활의 실현인 것이다. 지상의 순례자로서 하느님 나라에서 누릴 안식을 열망하는 공동체를 건설하는 것이다. 때문에 아우구스티누스는 그리스도인들이 자신들 존재의 모든 것 안에서 하느님을 찬미하도록 초대한다. 바로 이것이 기도이며, 이를 통해 우리는 서로 안에 살아계시는 하느님을 공경하는 공동체로 살아가게 해준다.

      • KCI등재
      • KCI등재

        치프리아누스의 sacerdos 개념에 대한 이해

        변종찬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10 가톨릭신학 Vol.17 No.-

        그리스도교 공동체 안에서 교계제도가 온전히 형성될 때까지 오랜 시간이 요구되었다. 이 과정에서 episcopus, presbyter, diaconus 등의 성서상의 단어들이 주교와 신부 그리고 부제를 가리키는 용어로 자리하였다. 특기할 것은 여기에 sacerdos라는 단어도 삽입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전통에 치프리아누스도 자리하고 있다. 그는 “교회는 주교들 위에 세워지며, 교회의 모든 행위는 이 동일한 공동체 지도자들을 통해 통치된다.”고 확인한다. 그리고 이러한 그리스도교 공동체의 수장인 주교의 직무를 제시하기 위해 카르타고의 주교는 여러 표현을 사용한다. 곧 주교는 지도자(praepositus)요, 목자(pastor)이며, 통치자(gubernator)이고, 제사장(antistes)이며, 사제(sacerdos)이고, 통솔자(rector)이다. 통치자로서 주교는 무엇보다 신앙의 수호자요 교사의 역할을 수행하며, 이러한 교도권과 통치권은 주교의 고유한 교좌(cathedra)가 지니는 권위로 표현된다. 또한 통치자로서 주교는 전례 집전자라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치프리아누스는 이 점을 강조하기 위해 episcopus와 sacerdos를 동의어로 제시한다. 무엇보다 sacerdos는 ‘미사와 기도를 통해 사람들에게 하느님의 은총을 전하는 도구’이다. 달리 말하면, sacerdos는 ‘거룩한 것을 행할 권한을 갖고 있는 사람’이기에 성체성사를 봉헌할 수 있는 사람인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sacerdos와 희생 제사를 봉헌하는 제단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주교의 교도권과 통치권이 고유한 하나의 교좌(cathedra)를 통해 표현되듯, 희생 제사를 바치는 주교의 역할 역시 하나의 제단(altar)을 통해 나타난다. 이토록 verus sacerdos는 하나의 교좌와 하나의 제단을 소유한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여기에 치프리아누스는 ‘합법적 주교들 상호간의 친교’라는 요소를 첨가한다. 이 세 조건은 왜 치프리아누스가 주교에게만 sacerdos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는지 분명하게 제시한다. 공동체의 지도자요 성체성사의 집전자로서 그리스도를 대리하는 치프리아누스의 sacerdos의 개념은 어디에서 온 것인가? 무엇보다 치프리아누스가 늘 자신의 스승이라고 칭하는 테르툴리아누스를 꼽을 수 있다. 하지만 테르툴리아누스는 몬타누스주의에 빠지면서 교계제도와 사제직에 대해 다른 입장을 취하게 된다. 그렇기에 테르툴리아누스는 치프리아누스의 sacerdos 개념에 대해 제한적 영향력만을 행사하였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의미에서 볼 때, 우리는 치프리아누스의 또 다른 원천으로 히폴리투스(Hippolytus)의 저서라고 알려져 있는 「사도 전승」(Traditio apostolica)을 생각한다. 왜냐하면 이 작품이 3세기 초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보편교회를 위한 가장 오래된 전례 문헌집이기 때문이다. 또한 아프리카 교회가 교계제도와 교회의 가르침 등에 있어 로마 교회에 종속적이었음을 전제한다면, 「사도 전승」이 치프리아누스에게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두 원천을 통해 치프리아누스는 sacerdos라는 명칭을 통해 episcopus의 역할을 공동체의 지도자요 따라서 성찬의 주례자로서 그리스도를 대리하는 사람으로 동시에 제시한다. It took a long time for the whole hierarchy to be made up in Christian community. In this process Biblical vocabularies were selected. For example, “episcopus” for a bishop, “presbyter” for a priest, “diaconus” for a deacon. And it should be especially noted that “sacerdos” were also added for a priest. Cyprian is located in such a tradition. He asserted that Ecclesia is founded on the bishops, and all the acts of Ecclesia are ruled by the bishops, the very leaders of this community. Cyprian, the bishop of the Church in Carthage, expressed offices of a bishop who is a governor of Christian community as variable names such as praepositus(a leader), pastor(a shepherd), gubernator(a helmsman), antistes(a priest), sacerdos(a bishop) and rector(a ruler). Especially Cyprian employed the term “sacerdos” only for a bishop. This study focuses much attention on his usage of this term ‘sacerdos’, and provides three reasons why he employed the term only for a bishop. Firstly, a bishop as a governor must be the guardian and the teacher of faith. The authority of his own cathedra is a symbol of his governorship and magisterium. Presiding at a liturgy is another significant role of a bishop. Because of these things, Cyprian suggested that “sacerdos” was a synonym for episcopus. The second reason is that “sacerdos” is ‘an instrument transferring God’s blessing to people through Mass and prayer’. In other words, as “sacerdos” is ‘the one qualified to do holy things’, he is able to offer the Eucharist. In this sense “sacerdos” is inseparable from an altar where we offer Sacrifice of Christ. As a cathedra shows magisterium and governorship of a bishop, so does an altar the bishop’s role of offering Sacrifice of Christ. Having only one cathedra and only one altar characterizes verus sacerdos. Thirdly, “Communion between legitimate bishops” was added. Where does the concept “sacerdos’’ of Cyprian, which implies the Vicar of Christ as a leader of Christian community and an executor of the sacraments, come from? We might think that concept was derived from Tertullian whom Cyprian always called his master. Since Tertullian, however, fell into the Montanism, each of them, Tertullian and Cyprian, took his own view of hierarchy and priest’s ministry. Therefore Tertullian had a restricted influence on the term “sacerdos’’ of Cyprian. In the meantime, “Traditio apostolica” known as Hippolytus’ writing could be thought as another source of Cyprian because this work is the oldest collection of liturgical documents for the Catholic Church back in the early 3rd century. Moreover as we consider the Church in Africa was subject to the Church in Rome in terms of the hierarchy and dogma, we can’t exclude the possibility of influence of “Traditio apostolica” on Cyprian. The term “sacerdos” of Cyprian that had been formed in these two sources presents the role of “episcopus” as the leader of the community and the Vicar of Christ presiding at the Eucharist.

      • KCI등재

        치프리아누스의 Sacerdos 개념에 대한 이해

        변종찬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10 가톨릭신학 Vol.0 No.17

        그리스도교 공동체 안에서 교계제도가 온전히 형성될 때까지 오랜 시간이 요구되었다. 이 과정에서 episcopus, presbyter, diaconus 등의 성서상의 단어들이 주교와 신부 그리고 부제를 가리키는 용어로 자리하였다. 특기할 것은 여기에 sacerdos라는 단어도 삽입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전통에 치프리아누스도 자리하고 있다. 그는 "교회는 주교들 위에 세워지며, 교회의 모든 행위는 이 동일한 공동체 지도자들을 통해 통치된다.“고 확언한다. 그리고 이러한 그리스도교 공동체의 수장인 주교의 직무를 제시하기 위해 카르타고의 주교는 여러 표현을 사용한다. 곧 주교는 지도자(praepositus)요, 목자(pastor)이며, 통치자(gubernator)이고, 제사장(antistes)이며, 사제(sacerdos)이고, 통솔자(rector)이다. 통치자로서 주교는 무엇보다 신앙의 수호자요 교사의 역할을 수행하며, 이러한 교도권과 통치권은 주교의 고유한 교좌(cathedra)가 지니는 권위로 표현된다. 또한 통치자로서 주교는 전례 집전자라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치프리아누스는 이 점을 강조하기 위해 episcopus와 sacerdos를 동의어로 제시한다. 무엇보다 sacerdos는 ‘미사와 기도를 통해 사람들에게 하느님의 은총을 전하는 도구’이다. 달리 말하면, sacerdos는 ‘거룩한 것을 행할 권한을 갖고 있는 사람’이기에 성체성사를 봉헌할 수 있는 사람인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sacerdos와 희생 제사를 봉헌하는 제단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주교의 교도권과 통치권이 고유한 하나의 교좌(cathedra)를 통해 표현되듯, 희생 제사를 바치는 주교의 역할 역시 하나의 제단(altar)을 통해 나타난다. 이토록 verus sacerdos는 하나의 교좌와 하나의 제단을 소유한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여기에 치프리아누스는 ‘합법적 주교들 상호간의 친교’라는 요소를 첨가한다. 이 세 조건은 왜 치프리아누스가 주교에게만 sacerdos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는지 분명하게 제시한다. 공동체의 지도자요 성체성사의 집전자로서 그리스도를 대리하는 치프리아누스의 sacerdos의 개념은 어디에서 온 것인가? 무엇보다 치프리아누스가 늘 자신의 스승이라고 칭하는 테르툴리아누스를 꼽을 수 있다. 하지만 테르툴리아누스는 몬타누스주의에 빠지면서 교계제도와 사제직에 대해 다른 입장을 취하게 된다. 그렇기에 테르툴리아누스는 치프리아누스의 sacerdos 개념에 대해 제한적 영향력만을 행사하였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의미에서 볼 때, 우리는 치프리아누스의 또 다른 원천으로 히폴리투스(Hippolytus)의 저서라고 알려져 있는「사도 전승」(Traditio apostolica)을 생각한다. 왜냐하면 이 작품이 3세기 초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보편교회를 위한 가장 오래된 전례 문헌집이기 때문이다. 또한 아프리카 교회가 교계제도와 교회의 가르침 등에 있어 로마 교회에 종속적이었음을 전제한다면,「사도 전승」이 치프리아누스에게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두 원천을 통해 치프리아누스는 sacerdos라는 명칭을 통해 episcopus의 역할을 공동체의 지도자요 따라서 성찬의 주례자로서 그리스도를 대리하는 사람으로 동시에 제시한다. It took a long time for the whole hierarchy to be made up in Christian community. In this process Biblical vocabularies were selected. For example, “episcopus” for a bishop, “presbyter” for a priest, “diaconus” for a deacon. And it should be especially noted that “sacerdos” were also added for a priest. Cyprian is located in such a tradition. He asserted that Ecclesia is founded on the bishops, and all the acts of Ecclesia are ruled by the bishops, the very leaders of this community. Cyprian, the bishop of the Church in Carthage, expressed offices of a bishop who is a governor of Christian community as variable names such as praepositus(a leader), pastor(a shepherd), gubernator(a helmsman), antistes(a priest), sacerdos(a bishop) and rector(a ruler). Especially Cyprian employed the term “sacerdos” only for a bishop. This study focuses much attention on his usage of this term ‘sacerdos’, and provides three reasons why he employed the term only for a bishop. Firstly, a bishop as a governor must be the guardian and the teacher of faith. The authority of his own cathedra is a symbol of his governorship and magisterium. Presiding at a liturgy is another significant role of a bishop. Because of these things, Cyprian suggested that “sacerdos” was a synonym for episcopus. The second reason is that “sacerdos” is ‘an instrument transferring God’s blessing to people through Mass and prayer’. In other words, as “sacerdos” is ‘the one qualified to do holy things’, he is able to offer the Eucharist. In this sense “sacerdos” is inseparable from an altar where we offer Sacrifice of Christ. As a cathedra shows magisterium and governorship of a bishop, so does an altar the bishop’s role of offering Sacrifice of Christ. Having only one cathedra and only one altar characterizes verus sacerdos. Thirdly, “Communion between legitimate bishops” was added. Where does the concept “sacerdos” of Cyprian, which implies the Vicar of Christ as a leader of Christian community and an executor of the sacraments, come from? We might think that concept was derived from Tertullian whom Cyprian always called his master. Since Tertullian, however, fell into the Montanism, each of them, Tertullian and Cyprian, took his own view of hierarchy and priest’s ministry. Therefore Tertullian had a restricted influence on the term “sacerdos” of Cyprian. In the meantime, “Traditio apostolica” known as Hippolytus’ writing could be thought as another source of Cyprian because this work is the oldest collection of liturgical documents for the Catholic Church back in the early 3rd century. Moreover as we consider the Church in Africa was subject to the Church in Rome in terms of the hierarchy and dogma, we can’t exclude the possibility of influence of “Traditio apostolica” on Cyprian. The term “sacerdos” of Cyprian that had been formed in these two sources presents the role of “episcopus” as the leader of the community and the Vicar of Christ presiding at the Eucharis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