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의 인장접착강도

        변승민 慶北大學校 齒科大學 1994 慶北齒大論文集 Vol.11 No.2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를 교정용 브라켓 접착제로 사용시 그 접착강도를 측정해 봄으로써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의 임상적 효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교정 치료를 위해 발거한 소구치에 자가중합형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인 Shofu GlasIonomer Cement(Shofu Co., U.S.A.)와 GC Fuji I (GC Co., Japan), KETAC- CEM(ESPE Co., West Germany)을 분말-액 비율을 달리하여 소구치용 표준형 에지와이즈 브라켓을 접착한 후 15분간 실온에 방치하였다가 증류수에 침적하여 37℃ 항온조에 보관하였다. 보관한 후 24시간 및 3개월 후에 만능시험기로 인장접착강도를 측정하고 브라켓의 탈락양상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분말-액 비율을 1로하고 24시간 침적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KETAC-CEM이 가장높은 인장접착강도를 나타내어(p<0.05) 브라켓 접착시 임상적 유용성이 있으리라 생각되며,Shofu GlasIonomer Cement와 GC Fuji Ⅰ은 접착강도가 매우 낮았다. . 분말-액 비율을 증가시킬때 인장접착강도는 대체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 침적시간이 경과할수록 인장접착강도는 대체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 브라켓의 탈락 양상은 법랑질과 접착제의 경계부에서 탈락하여 치질에 잔존하는 접착제가 거의 없는 경우가 가장 높은 비율(54.2%)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은 브라켓과 법랑질에 부분적으로 붙어서 탈락한 경우 (36.7%)였으며, 접착제와 브라켓 경계부에서 탈락한 것(9.1%)이 가장 적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tensile bond strength of three commercially available glass ionomer cements as orthodontic bracket adhesives. 120 premolars extracted for orthodontic treatment were prepared for bonding and standard edgewise brackets were bonded with Shofu GlasIonomer Cement (Shofu Co., U.S.A.), GC Fuji I(GC Co., Japan), KETAC-CEM(ESPE Co., West Germany) with different P/L ratio. The tensile bond strength was tested by Instron testing device after 24hours and 3months from bonding. After debracketing, bracket bases were examined to determine the failure si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KETAC-CEM showed the highest bond strength other than measurement after 24 hours and at its original P/L ratio, and seemed to have clinically a proper bond strength. It seemed, however, that both Shofu GlasIonomer Cement and GC Fuji I had an inappropriate bond strength. . The incorporation of additional powder into the mixture improved the tensile bond strength. . Prolonged storage time improved the tensile bond strength. . Of the failure, failure occured at the tooth-adhesive interface(54.2%) was the most common type. The second type of failure(36.7%) was combination type, where part of the adhesive remained on the tooth and part on the bracket. And the last type of failure(9.1%) occured at the adhesive-bracket interface.

      • KCI등재

        IoT 환경에서 Tyagi 등이 제안한 사용자 인증 및 키 동의 스킴에 대한 취약점 분석

        변승민,이학준 한국엔터프라이즈아키텍처학회 2023 정보기술아키텍처연구 Vol.20 No.3

        Wireless Sensor Networks play a key role in IoT. A wireless Sensor Network is a network in which a plurality of wireless sensor nodes are interconnected to collect and transmit information. Wireless Sensor Networks use wireless technology to communicate between nodes. It also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IoT devices, and unlike existing networks, it is not intended as a means of communication, but rather as an automated remote information collection. Wireless Sensor Networks are mainly used to collect sensor data, can collect and analyze real-time data, are used in various fields of unmanned, and are used in various IoT applications such as smart cities, smart homes, and smart grids. However, Wireless Sensor Networks are vulnerable to security because nodes generally do not have tampering protection. Therefore, user authentication and key agreement protocols are an important field of research in Wireless Sensor Networks. Recently, Tyagi et al. proposed a user authentication and key agreement protocol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that improved security vulnerabilities, but this paper analyzes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protocol proposed by Tyagi et al. to reveal that it is vulnerable to offline ID, PW guessing attack, bits mismatch, no perfect forward secrecy, no provision of revocation and insider attack.

      • KCI등재

        IoT 환경에서 보안성이 강화된 사용자 인증 기법

        변승민,이학준 한국EA학회 2023 정보기술아키텍처연구 Vol.20 No.4

        IoT에서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전송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무 선 센서 네트워크는 소형의 센서 노드들이 무선 통신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데이터를 수집하고 전송하 는 형태의 네트워크이다. 이러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센서 노드를 주로 응용 환경에 배치하고, 자율 적으로 네트워크를 형성한 후, 센서 노드로부터 얻은 물리적 정보들을 무선으로 수집하여 감시, 제어 등의 용도로 활용하는 기술이다. 하지만 센서 노드는 무선 통신을 사용하기 때문에 공격자가 도청, 중 간자 공격 등을 사용해서 센서 노드에서 데이터를 가져갈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사용 자 인증 및 키 합의 프로토콜은 중요한 연구 분야이다. 본 논문에서는 Tyagi 등이 제안한 무선 센서 네 트워크의 취약점을 보완한 인증 방식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보안 분석을 한 결과 Stolen smart card attack, Offline password guessing attack, Identity guessing attack, Insider attack, User forgery attack 등 여러 공격에 안전하고, 제안한 프로토콜은 계산 비용, 통신 비용 측면에서도 효율적이다. In IoT, Wireless Sensor Networks (WSNs) play a crucial role in the real-time collection and transmission of data. A wireless sensor network is a network in which small sensor nodes are interconnect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o collect and transmit data. This wireless sensor network is a technology primarily deployed by situating sensor nodes in various application environments. After autonomously forming a network, it collects physical information wirelessly from sensor nodes and utilizes it for purposes such as monitoring and control. However, since sensor nodes use wireless communication, attackers can potentially eavesdrop on or intercept data from sensor nodes using methods such as man-in-the-middle attacks. Therefore, user authentication and key agreement protocol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stand out as crucial areas of research.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uthentication method that addresses vulnerabilities identified by Tyagi et al. in wireless sensor networks. The security analysis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protocol is resilient against various attacks, including stolen smart card attack, offline password guessing attack, identity guessing attack, insider attack, and user forgery attack. Furthermore, the proposed protocol proves to be efficient in terms of computational and communication costs.

      • SCOPUSSCIEKCI등재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의 인장접착강도

        변승민,권오원 대한치과교정학회 1996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6 No.3

        브라켓 접착제로서 현재까지 널리 사용되어 온 복합레진의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 교정영역에서도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의 사용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를 교정용 브라켓 접착제로 사용시 그 접착강도를 측정해 봄으로써 그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의 임상적 효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교정 치료를 위해 발거한 소구치에 자가중합형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인 Shofu GlasIonomer CEment(Shofu Co., U.A.A.)와 GC Fuji I(GC Co., Japan), KETAC-CEM(ESPE Co., West Germany)을 분말-액 비율을 달리하여 소구치용 표준형 에지와이즈 브라켓을 접착한 후 15분간 실온에 방치하였다가 증류수에 침적하여 37℃ 항온조에 보관하였다. 보관한 후 24시간 및 3개월 후에 만능시험기로 인장접착강도를 측정하고 브라켓의 탈락 양상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분말-액 비율로 1로하고 24시간 침적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KETAC-CEM이 가장 높은 인장접착강도를 나타내어(p<0.05) 브라켓 접착시 임상적 유용성이 있으리라 생각되며, Shofu GlasIonomer Cement와 GC Fuji I은 접착강도가 매우 낮았다. 2. 분말-액 비율을 증가시킬 때 인장접착가도는 대체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3. 침적시간이 경과할수록 인장접착강도는 대체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4. 브라켓의 탈락 양상은 법랑질과 접착제의 경계부에서 탈락하여 치질에 잔존하는 접착제가 거의 없는 경우가 가장 높은 비율(54.2%)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은 브라켓과 법랑질에 부분적으로 붙어서 탈락한 경우(36.7%)였으며, 접착제와 브라켓 경계부에서 탈락한 것(9.1%)이 가장 적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tensile bond strength of three commercially available glass ionomer cements orthodontic bracket adhesives. 120 premolars extracted for orthodontic treatment were prepared for bonding and standard edgewise brackets were bonded with Shofu GlasIonomer Cement (Shofu Co., J.S.A.), GC Fuji I(GC Co., Japan), KETAC-CEM(ESPE Co., West Germany) with different P/L ratio. The tensile bond strength was tested by Instron testing device after 24hours and 3months from bonding. After debracketing, bracket bases were examined to determine the failure si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KETAC-CEM showed the highest bond strength other than measurement after 24 hours and at its original P/L ratio, and seemed to have clinically a proper bond strength. It seemed, however, that both Shofu GlasIonomer Cement and GC Fuji I had an inappropriate bond strength. 2. The incorporation of additional powder into the mixture improved the tensile bond strength. 3. Prolonged storage time improved the tensile bond strength. 4. Of the failure, failure occured at the tooth-adhesive interface(54.2%) was the most common type. The second type of failure(36.7%) was combination type, where part of the adhesive remained on the tooth and part on the bracket. And the last type of failure(9.1%) occured at the adhesive-bracket interf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