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소기업중심 경제구조의 실현방안에 관한 연구

        백필규 중소벤처기업연구원 2016 중소기업정책연구 Vol.1 No.2

        세계사에 유례없는 경제기적을 가져다준 우리나라의 대기업 중심의 불균형 성장전략은 낙수효과의 소멸, 고용없는 성장, 양극화 현상 심화 등으로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에 대한 대 안으로 중소기업 중심경제구조가 논의되고 있다. 바람직한 중 소기업 중심경제구조는 공정한 경쟁환경하에서 준비된 창업과 부단한 혁신경영을 통해 강소기업이나 중견기업으로 원활한 기업성장이 이루어지면서 일자리 창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대중소기업간 및 중소기업과 근로자간 동반성장이 이루어지는 경제구조로 정의된다. 이러한 경제구조의 실현을 위해서는 중 소기업의 혁신경영과 지원정책의 혁신이 필요하다. 중소기업의 혁신경영에서는 인재경영, 투자경영, 기술경영, 글로벌경영, 오 픈경영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요청된다. 지원정책에서는 창업 중심 패러다임의 정착, 기업규모보다는 혁신과 업력 중심의 정 책지원, 불공정거래의 원인이 되는 대기업집단의 소유지배구조 의 개선, 불공정거래의 실태를 알리는 정보공개와 이에 입각한 강력한 제재, 낙수효과를 대신하여 분수효과를 높이는 혁신적 정책이 필요하다. 아울러 이러한 방안을 강력히 실행할 수 있 는 정책수립능력과 실행능력을 갖는 중소기업부 수준 이상의 추진기구의 설치가 필수불가결하다. Korea's large enterprise-centered Unbalanced growth strategy which has led to economic miracle unprecedented in the world history is confronted with the limit due to the extinction of trickle-down effect, jobless growth, the deepening of polarization and so on. As an alternative strategy, SME-centered economic system is discussed nowadays. SME-centered economic system is defined as one that promotes company growth into small giants or high potential enterprises through prepared startups and ceaseless innovation management, facilitates job creation, and enhances mutual growth of large enterprises & SMEs and SMEs & employees under the fair competition environment. In order to realized this kind of economic system, the innovation management of SMEs and the innovation of SME support policy are needed. With regard to the innovation management of SMEs, paradigm shift into human resource management, investment management, technology management, and open management are required. Regarding SME support policy, innovative policies are needed to suppress the straw effect and strengthen the trickle-up effect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startup-focused paradigm, support of the policy based on innovation or firm age(not firm size), improvement of corporate governance of large enterprise groups which causes unfair trad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which will show the actual condition of unfair trade practices, strong sanctions against them and innonative policies raising the fountain effect On behalf of the trickle-down effec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execution organization with policy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capacity at the level higher than the SME Department level.

      • 중소기업인력지원특별법 개편방안 연구

        백필규 중소벤처기업연구원 2017 중소기업정책연구 Vol.2 No.4

        "As several amendments have been made allopathically to the Special Act which was legislated to solve the SME manpower shortage in 2003, the Act has many problems in terms of its system and effectiveness. Therefore, the Special Act needs to be revised as follows; First, reflecting the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jobs crunch, shift from the large company-centered economy to the SME-centered economy, a policy switch to the wage-led growth strategy and the advanc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necessary to make an amendment to the purpose of the Special Act. Second, in order to maintain the logicality and consistency of the Special Act, the current legal system based on the specific policies of the SME Administration needs to be reconstituted into the system based on the general classification criteria of SME manpower issue and its current chapters and sections needs to be reorganized accordingly. Third, the policy promotion organization of the Special Act needs to establish its leadership as an department to control the SME manpower support project, and when other government departments plan and implement their own projects, it is necessary to institutionalize the consultation with the Minister of the SMEs and Startups. " 중소기업인력난의 해결을 위해 2003년 제정된 특별법은 그 동안 많은 개정이 대증적으로 이루어지면서 법률의 체계성과 실효성 측면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부분이 적지 않다. 따라서 인력특별법은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개편할 필요가 있다. 첫째, 인력특별법의 목적은 제정당시와 크게 달라진 환경, 즉 일자리 부족, 대기업 중심 경제의 중소벤처기업중심경제로 의 전환, 소득주도 성장전략으로의 전환과 4차 산업혁명의 진 전이라는 환경변화를 반영한 내용으로 개편한다. 둘째, 인력특별법의 체계는 법체계의 논리성과 일관성을 확 보하기 위해 중소기업청의 특정정책을 전제로 한 법체계를 중소기업 인력문제의 일반적 분류기준에 입각한 체계로 재구 성하고 기존의 장과 조항을 재배치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인력특별법 정책추진기구에서는 중소기업 인력지원사 업의 총괄부처로서 중소벤처기업부의 리더십을 확립하고 타 부처의 사업에 대해서도 계획 수립과 실행과정에서 중소벤처 기업부 장관과의 협의를 제도화시킬 필요가 있다.

      • 창업국가의 조건 : 미국, 이스라엘. 핀란드, 중국의 사례분석

        백필규 중소벤처기업연구원 2017 중소기업정책연구 Vol.2 No.1

        The importance of starting up businesses is on the rise because of the lack of jobs owing to low growth, job destruction or substitution due to the adv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ge and the necessity of life-long jobs resulting from the advent of homo-hundred age. Analyzing USA, Israel, Finland and China which are called start-up n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enterprise ecosystem, they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they make great exertions to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foster start-up talents. Second, the accumul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original technology is the driving force of technological start-ups in the four countries. Third, because they raise funds through investment rather than loan, they don't fear the risk of start-up failures and can restart businesses in case of business failures. Fourth, Israel and Finland whose domestic markets are very narrow adopted a strategy of competing on the global market from the beginning. Fifth, they have established the enterprise ecosystem where people with good business ideas can receive help even though they lack capacities necessary for business start-ups. Lastly, they have the policy enforcement organization which builds a cooperative system with relevant government ministries and organizations and fulfill its duties efficiently with a clear vision and strategy of start-up nation. Our country needs to make great efforts to realize a start-up nation, taking these conditions of start-up nation into consideration. 저성장에 의한 일자리 부족, 인공지능시대의 도래로 인한 일자리 소멸이나 대체, 평균수명 100세시대의 도래에 따른 평 생 일자리 필요성 등의 이유로 창업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 다. 창업국가로 일컬어지는 미국, 이스라엘, 핀란드, 중국 4개 국을 기업생태계의 관점에서 분석하면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 다. 첫째 창업교육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준비된 창업인재를 육성하고 있다. 둘째 원천기술의 축적과 사업화가 기술창업의 원동력이다. 셋째 융자보다는 투자중심의 자금조달이 이루어져 창업실패의 위험을 두려워하지 않고 실패해도 다시 도전할 수 있다. 넷째 내수시장이 아주 작은 이스라엘, 핀란드 등은 처음 부터 글로벌 시장에서 승부하는 전략을 택했다. 다섯째 아이디 어만 뛰어나면 창업에 필요한 능력이 부족해도 주변에서 도와 주는 창업생태계가 구축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명확한 창업국 가의 비전과 전략을 갖고 관련부처나 단체의 협력을 이끌어내 면서 효율적으로 일을 수행하는 정책추진기구가 있다. 우리나 라도 이러한 창업국가의 조건을 참고하여 창업국가를 실현해 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 일본의 중소기업정책시스템

        백필규 중소벤처기업연구원 2016 중소기업정책연구 Vol.1 No.1

        Japanʼs SME Agency which was founded in 1948 has changed its SME support philosophy through the legislation of the SME Basic Act in 1963, the complete revision of the SME Basic Act in 1999, and the legislation of the Small & Micro Enterprise Basic Act in 2014. The 1963 SME Basic Act aimed at correcting the disadvantage and closing gaps through the modernization of SMEs in order to ameliorate the ʻdual structureʼ problem of widening gaps between large companies and SMEs. The 1999 SME Basic Act, which was revised to reflect the transformation of economic conditions and SMEs, considered SMEs as the driving force of business start-up and management innovation and provided support measures to realize their potentialities. As economic recovery was delayed and the gaps between large companies and SMEs were widened because of long-term depression called ʻlost 20 yearsʼ, the Small & Micro Enterprise Basic Act was legislated in 2014 which emphasized the role of small and micro enterprises as the driving force to achieve the goals of both economic growth and gap settlement. Japanʼs SME policy, which is characterized as indirect support on the premise of business self-help and inter-firm cooperation, is about halfway between that of the U.S. focusing on the principle of free market and that of Korea based on deep government intervention. Korea needs to overcome business start-up slump based on Japan's experiences and to examine switchover to indirect support system through the strengthening of relational financing, inter-firm cooperation and consulting. 1948년 중소기업청의 설립과 함께 시작된 일본의 중소기업정책 은 1963년의 중소기업기본법 제정, 1999년 중소기업기본법의 전 면적 재개정, 2014년 소기업기본법제정을 통해 중소기업지원철학 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1963년의 중소기업기본법은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격차 확대라는 ʻ이중구조ʼ 문제의 개선을 위해 약자인 중소기업의 근대화를 통한 불리시정과 격차해소를 목표로 했다. 경제환경과 중소기업의 변화를 반영하여 1999년 개정된 중소기업 기본법은 중소기업을 약자가 아닌 창업과 경영혁신의 주역으로 간주하고 그 실현을 위한 지원정책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ʻ잃어 버린 20년ʼ이라고 불리우는 장기불황으로 경제회복이 되지 않고 격차만 다시 확대되는 상황에서 경제성장과 격차완화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주역으로 소기업의 역할을 강조하는 소기업기본 법이 2014년 등장하였다. 일본 중소기업정책의 특징을 국제비교의 관점에서 보면 작은 예산으로 기업의 자조노력과 기업간 협력을 전제로 간접지원하는 방식으로 시장원리를 중시하는 미국과 정부 개입의 정도가 큰 한국과의 중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한국은 일 본의 경험을 참고로 하여 창업부진요인을 극복하고 관계형 금융 이나 기업간 협력, 컨설팅등의 강화를 통해 시장의 실패를 최소화 하는 간접자원방식으로의 전환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 대학생의 중소기업 취업인식의 실태와 결정요인 분석

        백필규,고종욱 신용보증기금 2016 중소기업금융연구=Journal of SME finance Vol.3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n SME employment, examine SME employment problems and their causes and find out measures to reduce the mismatch of labor supply & dem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re exists considerable mismatch between the rewards expected by college students and those actually provided by SMEs. With regard to skills required by SMEs, there exists mismatch between college students’ self-appraisal and SMEs’ evaluation. College students lack in information on SMEs. In addition, the mismatches of rewards, skills and information have negative effects on SME employment rate. Based on these findings, solutions for the mismatch problems are suggested as follows; College students need to realize that most of them cannot help seeking their jobs in SMEs and to take efforts to understand more sufficiently on the conditions of SMEs; SME employers need to provide rewards consistent with the expectations of job seekers and release information on the conditions of their companies; and there is a need for government to implement a policy to support those efforts.

      • 이명박, 박근혜 정부의 중소기업 정책

        백필규 중소벤처기업연구원 2016 중소기업정책연구 Vol.1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valuate the Lee Myung-bak government's and Park Geun-hye government's SME policy in the perspective of business ecosystem. Lee Myung-bak government's SME policy focused on deregulation and trickle-down effect, whereas Park Geun-hye government's SME policy emphasized business start-ups and trickle-up effect. With regard to the SME policy outcomes in terms of business ecosystem process, they achieved good results such as quantitative increase of start-ups, innovative SMEs and re-startups, whereas they demonstrated problems such as overabundance of small-scale enterprises due to low startup survival rate and growth stagnation and increase of marginal businesses due to structural adjustment delay. With regard to the SME policy outcomes in terms of business ecosystem network, they showed problems such as a gap between education and industrial manpower demand because of weak industry-university- institute collaboration, lack of research institutes' high tech commercialization and start-ups, funding structure focusing on collaterals and loans, domestic big business-dependent market system, unfair trade system replacing trickle-down effect with straw effect, poor collaboration among SMEs. In order to take the lead in growth and job creation, SMEs need not to improve individual problems of business ecosystem but to systematically innovate its interrelated problems. 본 논문의 목적은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의 중소기업 정책을 기업생태계의 관점에서 내용과 성과를 평가하는 것이 다. 이명박 정부의 중소기업 정책은 기업성장과 낙수효과론을 중시하는 정책이었고, 박근혜 정부의 중소기업 정책은 창업과 대기업 지원을 중시하는 정책이었다. 중소기업 정책의 성과를 기업생태계의 프로세스 측면에서 보면 창업과 혁신형 중소기업, 재창업의 양적 증대 등의 성과가 나타나고 있지만, 낮은 창업생존율과 성장정체로 인한 영세 기업비중의 과다, 구조조정 지연으로 인한 한계기업 비중의 증대 등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중소기업 정책의 성과를 기업생태계의 네트워크 측면에서 보면 산학연 협력의 부진으로 기업현장의 인력수요와 괴리된 교육, 연구기관 고급기술의 사업화와 창업 부진, 담보와 융자 중신의 자금조달구조, 국내 대기업에 종속된 판로구조, 낙수효과가 빨대효과로 대체된 불공정거래구조, 중소기업간 협력의 부진등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중소기업이 성장과 고용창출의 주역이 되기 위해서는 기업 생태계의 개별문제의 개선이 아닌 상호 연결된 문제의 체계적 혁신노력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