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편 통합창의성검사(K-ICT-S형)를 통한 대학생의 창의적 능력과 창의적 성격 비교

        배희라(Hee-Ra Bae),이경화(Kyoung-Hwa Lee) 한국영재교육학회 2020 영재와 영재교육 Vol.19 No.3

        This study was attempted in a perspective that if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differences can be easily identified by measuring the creativity of university students easily, the individual creativity can be considered in improving the university curriculu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creativity of university students using the simple integrated creativity test (K-ICT-S type)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creativity domain and sub-variables and the difference by individual backgroun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66 college students who took liberal arts courses at S University, and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18.0 program. The difference between gender and major of university students was confirmed by using the integrated creativity test scores, two independent groups t-test and one-way ANOVA. Also,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and analyz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sub-variables of creative ability, creative personality and integrated creat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ach area of creativity and many sub-factors, and some differences were identified by gender and major in creativity of university student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referred to in the future in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and programs to improve students creativity.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창의성을 간편하게 측정하여 개인별 특성과 개인차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면, 대학 교육과정 개선에 개인의 창의성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라는 관점에서 시도되었다. 따라서 본연구의 목적은 간편 통합창의성검사(K-ICT-S형)를 사용하여 대학생의 창의성을 측정하여, 창의성 영역 및 요인에서의 상관관계와 개인배경 별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S대학교에서 교양과목을 수강한 대학생 666명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대학생의 성별, 전공별 차이는 통합창의성 검사 점수를 이용하여 두 독립집단 t-test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를 실시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창의적 능력, 창의적 성격 및 창의성의 각 요인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창의성의 각 영역과 많은 하위요인에 있어서 정적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대학생의 창의성에 있어서 성별, 전공별 차이가 일부 확인되었다. 따라서 앞으로 대학에서 학생들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육과정과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 본 연구의 결과를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영재판별 검사 여부에 따른 일반유아와 영재유아 간의 자아개념 차이 분석

        정영희(Young-Hee Chung),박송현(Song-Hyun Park),이경화(Kyung-Hwa Lee),배희라(Hee-Ra Bae) 한국영재교육학회 2022 영재와 영재교육 Vol.21 No.2

        본 연구는 일반유아와 영재 유아 간에 자아개념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유아 영재의 정의적 영역에서의 발달을 고려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서울 소재 영재교육연구소에서 영재판별검사(지능검사, 창의성검사, 자아개념검사)를 받은 유아 중 1) 영재로 판별된 유아 163명, 2) 영재로 판별되지 않은 유아 130명, 그리고 3) 영재판별검사 경험이 없는 일반 유치원의 유아 155명의 자아개념검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두 독립집단 t-test와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자아개념에 있어서 영재유아가 일반유아에 비해 낮았으나 도덕자아와 능력자아에서는 차이가 없었고, 전반적으로 영재판별 경험이 없는 일반유치원의 유아의 자아개념이 더 높게 나타났다. 연령 별 차이에 있어서는 세 집단 모두 더 어린 연령의 유아(4세)의 자아개념이 더 높았다. 이와 같이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에서 탁월성을 보여서 영재판별을 받은 유아의 자아개념이 더 낮다는 연구 결과를 통해 앞으로 유아영재교육에 있어서 자아개념과 같은 정의적 특성을 긍정적으로 계발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는 점에 시사점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영재부모에 대한 교육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gifted children in the affective domain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self-concepts between general children and gifted children. Therefore, among the young children who took the giftedness test (intelligence test, creativity test, and self-concept test) at the Gifted Education Research Center in Seoul, 1) 163 children identified as gifted, 2) 130 children not identified as gifted, and 3) 155 children in general kindergarten who have no experience Giftedness Test, the results of the self-concept test were analyzed. For statistical processing, two independent group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overall self-concept of gifted children was lower than that of general children,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moral and ability. In terms of age differences, all three groups had higher self-concepts of younger children (4 years ol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the self-concept of children who were judged gifted like this was lower, it was possible to fin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education of gifted children so that they could positively develop affective characteristics such as self-concept. In addition, education for gifted child’s parents should also be provided.

      • KCI등재

        부모의 창의효능감이 창의적 가정환경을 매개하여 유아의 창의적 성격에 미치는 영향

        최형윤(Choi, Hyung Yoon),이경화(Lee, Kyung-Hwa),배희라(Bae, Hee Ra),김해리(Kim, Hae R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창의효능감과 창의적 가정환경 및 유아의 창의적 성격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부모의 창의효능감이 창의적 가정환경을 매개하여 유아의 창의적 성격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대상은 서울시 동작구에 소재한 국공립어린이집 5개소에 재원 중인 만 3-5세 유아의 부모 262명이었다. 이들에게 창의 효능감 검사, 창의적 가정환경 검사, 유아 창의적 성격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과 SPSS PROCESS macro 3.6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부모의 창의효능감과 창의적 가정환경 및 유아의 창의적 성격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부모의 창의효능감이 유아의 창의적 성격에 미치는 직접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부모의 창의효능감과 창의적 성격의 관계에서 창의적 가정환경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결론 부모의 창의효능감과 창의적 가정환경은 유아의 창의적 성격에 영향을 미치므로 유아의 창의적 성격의 발달을 위해서는 부모가 지닌 창의효능감과 창의적 가정환경을 효과적으로 조성하기 위한 실제적인 전략이 요구된다. 따라서 부모 자신이 지닌 창의적 능력에 대한 이해와 창의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부모교육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며, 유아의 창의적 성격 발달을 위한 물리적⋅심리적 지원이 적절히 반영된 창의적 가정환경의 마련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창의적 성격을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creativity self-efficacy,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children s creative personality, and to verify the effect of parents creativity efficacy on children s creative personality through the mediation of creative home environment.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2 parents of 3-5 years old children attending five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in Seoul. They were tested for creativity self-efficacy,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creative personality tes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SPSS PROCESS macro 3.6.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reativity self-efficacy of parents,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creative personality of children. In addition, the direct effect of creativity self-efficacy of parents on creative personality of children was confirmed, and the creative home environment had a partially mediated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self-efficacy of parents and creative personality of children. Conclusions Since parents creativity self-efficacy and creative home environment affect children s creative personality, practical strategies are required to effectively create parents creativity self-efficacy and creative home environment for children s creative personality develop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arent education plan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and creative ability of the parents themselves, and to make efforts to prepare a creative home environment that properly reflects physical and psychological support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e personality of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to promote the creative personality of young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