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코빈 비극 연구 : John Webster의 The White Devil을 중심으로 John Webster's The White Devil

        배신환 釜山工業大學校 1992 論文集 Vol.34 No.-

        This is a study on John Webster's attitude towards the chaotic situation of the early seventeenth century in England by analysing one of his two great tragedies, The White Devil. John Webster has been generally regarede as a decadent playwright who has 'a very great oiterary and dramatic genius directed toward chaos' as T. S. Eliot put it. That is why he has been blaned for moral nihilism and morbidity, which are supposed to be subversive of the dominant order. It was not until mid-fifties, however, that critics set a high value on Webster's 'integrity of life' without reference to morality. Theefore Webster's tragedies, they suggest, should be read in terms of the art of death rather than of death as mortality and decay. The idea that the integrity of life is of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is still dominant is not to be denied. But Jacobean tragedy is, as J. W. Lever points out, a product of the intellectual fermint and spiritual upheaval. When we consider Webster's stage as an amoral microcosm in which an assertive woman(Vittoria) plays a dominant role surrounded by a malcontent intellect(Flamineo), a passionate tyrant(Bracciano), a Machiavellian revenger(Francisco) and a hypocritical cardinal (Monticelso), we are far from satisfied with the idea of integrity of life. In this study a focus is brought as a corollary not to a cenventional revenge play with justice on the part of the revenger, but to a typical Jacobean play demystifying of state-power and ideology, staged by victims of power.

      • Edgar의 역할에 초점을 맞춘 King Lear 이해

        배신환 釜山工業大學校 1994 論文集 Vol.36 No.-

        It is next to impossible to make a definite and conclusive interpretation of Shakespeare's tragic world view, nor is it possible to take a critic's opinion among the inexhaustible stock of interpretations without losing all the other invaluable gems. My intention, therefore, is to accept the suggestion that one of the useful ways of understanding Shakespear's greatest work is to regard the subplot as a medieval morality play whose optimism can be compared with the pessimistic world reflected on the mainplot. This generally received suggestion, however, has had a tendency to side either with 'something that comes of nothing' or with 'nothing that comes of something', from neither of which do I choose to elicit a conclusion in this paper. Through an intensive analysis of the subplot focused on Edgar's role-playing alongside with the limitations of his enterprise from naive son to outcast beggar to restored son, heir, and finally, perhaps, king. I would rather vindicate my tentative conclusion, 'nothing comes of nothing' with a view to putting forward one more testimony in the trial of Shakespeare and to making a humble contribution to the understanding of chaotic world of King Lear.

      • Hamlet에 광기(狂氣)와 정기(正氣)에 관하여

        배신환 釜山工業大學 1987 論文集 Vol.29 No.-

        따라서 본 논문에서도 주인공의 광기에 관한 결정적인 해석을 할 수 없다는 전제하에서 광기라는 전통적인 수법을 사용한 전설적인 복수 pattern과 Elizabethan revenge plays에서 나타나는 광기 문제를 먼저 검토한 후, 그것을 Hamlet의 경우와 비교하고, Hamlet의 광기를 근원적으로 추적하여 그의 성격과 행동을 살펴보고, 끝으로 행동의 원천이 되는 그의 의식 속에 있는 광기 아닌 정기(正氣)의 의미를 살피고자 한다.

      • Coriolanus에 나타난 Nature에 관하여

        裴信煥 釜山工業大學校 1985 論文集 Vol.27 No.-

        Coriolanus는 Shakespeare의 마지막 사극이며, 동시에 그의 마지막 비극이다. 그러나 이 작품은 그의 종래의 사극이나 비극과는 전혀 다른 성격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 여러 비평가들의 공통적인 의견이다. 사극으로서 이 작품은 그의 영국사극의 기저를 이루고 있는 Tudor Myth와는 거의 관계가 없으며, 비극으로서도 소위 비극의 기준이라고 말할만한 내적 갈등이라든가, 운명의 불가사의한 힘, 초자연의 신비, 형이상학적 명상 같은 것이 없는 작품이다. 그래서 Coriolanus는 「사랑을 받는 작품이라기보다는 칭찬을 받는 작품」이라고 한다. 그 이유는 이 극을 보는 관객은 어느 누구도 주인공과 자기 자신을 동일시하려고 하지 않기 때문에 「좋아할」 까닭이 없을 것이며, 이 극을 칭찬한다는 것은 귀족과 평민의 대립, 개인의 명예와 국가의 위기, 시민의 반란과 외적의 침입이라는 극적 상황에서, 등장하는 모든 인물과 집단이 나름대로의 identity를 가지고 「타당한」 주장을 하기 때문에, 누구든지 어느 한 쪽의 타당성에 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