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슬관절 반월상 연골 낭종의 관절경적 치료

        배대경,윤경호,권오수,신동준,임양진,Bae, Dae-Kyung,Yoon, Kyung-Ho,Kwon, Oh-Soo,Shin, Dong-Jun,Im, Yang-Jin 대한관절경학회 2002 대한관절경학회지 Vol.6 No.1

        목적 : 슬관절에 반월상 연골 낭종에 대한 관절경적 감압술과 동반된 반월상 연골 파열에서 시행한 절제술 또는 봉합술의 임상적 결과에 대해 분석하여 보았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 4월부터 2001년 10월까지 반월상 연골 낭종으로 진단되어 관절경적 치료를 받은 19명, 19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5례, 여자가 14례였고 평균 연령은 38.9세(22세$\~$58세), 평균 추시 기간은 18개월(3개월$\~$36개월)이었다. 주된 증상은 슬관절의 동통, 압통, 종창이 각각 18례, 13례, 4례에서 보였으며, 7례에서 종물의 촉지가 가능하였다. 반월상 연골 파열을 동반한 16례는 반월상 연골 부분 절제술 또는 봉합술과 함께 슬관절 내로 낭종의 감압술을 시행하였고, 낭종만 보였던 2례는 관절경적 낭종 감압술만을 시행하였으며, 1례는 반월상 연골 부분 절제술과 관혈적 낭종 제거술을 시행하였다. 평가는 수술 전후 증상의 소실여부, 슬관절의 운동범위, Tegner 활동도와 Lysholm score 및 낭종의 재발 여부를 조사하였다. 결과 : 낭종의 위치는 외측이 12례$(64\%)$, 내측이 7례$(36\%)$였고 외측은 주로 전방에, 내측은 주로 후방에 위치하였다. 17례$(89.5\%)$에서 반월상 연골의 파열이 동반되었는데 내측이 7례, 외측이 10례로, 2례는 반월상 연골 파열을 동반하지 않았다. 파열 양상은 수평 파열이 9례, 수평 및 판상 파열이 2례, 판상 파열이 1례, 양동이 손잡이 형 파열이 1례, 복합 파열이 4례였다. 전례에서 수술 후 동통의 소실과 Tegner 활동도는 수술 전 평균 3.3점에서 수술 후 5.5점으로, Lysholm score는 수술 전 평균 68.5점에서 수술 후 93.4점으로 향상되었다 평균 18개월(3개월$\~$36개월) 추시 상 낭종이 재발된 경우는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반월상 연골 낭종의 12례$(64\%)$가 외측에 발생하여 내측에 비해 많았으며 17례$(89.5\%)$에서 반월상연골 파열이 동반되었고 파열의 형태는 수평 파열이 15례$(79\%)$로 가장 많았다. Purpose : To analyze the clinical result of the arthroscopic decompression of meniscal cyst and meniscus resection or repair of meniscus tear. Materials and Methods : From April 1994 and October 2001, 19 patients with diagnosis of meniscal cyst associated with tears of the meniscus were treated by arthroscopic meniscal resection or repair with decompression of the cyst. The mean age was 39.8 years(range, 22-58years). The follow-up period ranged from 3 months to 36 months with an average of 18 months. Seven of 19 patients had tenderness over the joint line with palpable mass. Treatment consists of arthroscopic resection or repair of meniscal tear with decompression of the cyst through transmeniscal approach. Open excision of cyst was performed in one case. Clinical evaluation was performed using Lysholm knee score and Tegner activity. All cases were executed proper treatment using arthroscopy. Results : Twelve cysts involved the lateral meniscus$(64\%)$ and seven cysts were on medial cyst$(36\%)$. Most of lateral meniscal cysts were located in anterior one-third and medial meniscal cyst were on posterior one-third. Meniscal tear were observed in seventeen cases$(89.5\%)$ and most tears were horizontal$(79\%)$. Preoperative symptom disappeared and no cyst recurrences were observed at last follow-up(mean follow-up: 18 months). Conclusion : Meniscal cysts involved lateral side in $64\%$ and most of them were associated with meniscus tear$(89.5\%)$ which consists of mainly horizontal component$(79\%)$.

      • KCI등재
      • KCI등재

        퇴행성 슬관절염에서 시행한 미세천공술의 임상적 및 방사선적 중기 추시 결과

        배대경(Dae Kyung Bae),윤경호(Kyoung Ho Yoon),송상준(Sang Jun Song),노정호(Jung Ho Noh),김만호(Man Ho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6

        목적: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에서 미세천공술 후 중기 추시 결과를 보고하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10월부터 2006년 4월까지 관절경적 미세천공술을 시행받은 환자 중 4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6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적 평가는 Baumgaertner의 슬관절 기능평가방법을 이용하였다. 방사선학적 평가는 술 전과 최종 추시시 슬관절 방사선사진에서 관절 간격의 변화와 역학적 축의 내측 전위 정도를 계측하였다. 결과: Baumgaertner 점수는 최종 추시시 7.0이었고, 73.1%에서 양호 이상이었다. 전후면 및 측면 방사선사진상 관절 간격은 술 전 2.74 ㎜, 1.91 ㎜, 최종 추시시 4.22 ㎜, 3.85 ㎜이었다. 역학적 축의 내측 전위 정도는 술 전 평균 57.5%, 최종 추시시 45.8%이었다. 매년 추시시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가 대부분에서 변화 없이 유지되었으나, 4예에서 술 후 평균 4.1년에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에서 미세천공술 후 동통의 감소, 관절 간격의 증가, 하지 정열의 호전을 관찰할 수 있었다, 중기 추시시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는 지속적인 체중부하에도 변화를 일으키지 않고 유지되었다. Purpose: To evaluate midterm results after microfracture in osteoarthritic knee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October 1997 and April 2006, 67 osteoarthritic knees, with minimum 4-year follow-up, underwent microfracture. Baumgaertner scores were evaluated to determine clinical results. Radiological results were assessed based on joint space widening and improvement of mechanical axis deviation. Joint space widening was calculated by comparing the preoperative joint space with the final follow-up joint space. Varus deformity was evaluated on orthoroentgenogram and recorded as a percentile of the point at which the mechanical axis intersected a line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knee to medial border of the medial tibial condyle. The figure was expressed as MA%. Results: The average Baumgaertner score at final follow-up was 7.0. The average joint space changed from 2.74 ㎜ to 4.22 ㎜ on AP radiographs and from 1.91 ㎜ to 3.85 ㎜ on lateral radiographs. Average MA% was 57.5% preoperatively and 45.8% at final follow-up. Clinical and radiological improvements were maintained in most cases followed for more than 4 years. Four patients had total knee arthroplasty after an average of 4.1 years. Conclusion: We noted pain relief, joint space widening, and improvement of mechanical axis after microfracture for degenerative arthritis of the knee. Maintenance of clinical and radiological improvement was observed at midterm follow-up.

      • KCI등재

        후방십자인대 보존형 슬관절 전치환술 전후의 후방 경사각 변화

        배대경(Dae Kyung Bae),윤경호(Kyoung Ho Yoon),송상준(Sang Jun Song),노정호(Jung Ho Noh),김만호(Man Ho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2

        목적: 후방십자인대 보존형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수술 전 후 후방 경사각을 계측하여 분포를 비교하고, 그 임상적 의의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6월부터 2005년 5월까지 NexGen<SUP>®</SUP> 후방십자인대 보존형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받은 20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추시 기간은 평균 39.8개월이었다. 두 명의 관측자가 각각 수술 전 후 근위 경골 골수강의 중앙점을 기준으로 한 후방 경사각(PSA-A)과 근위 경골 피질골의 전연을 기준으로 한 후방 경사각(PSA-B)을 계측하였다. 술 전 후방 경사각에 따른 수술 전 후 변화를 Pearson correlation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임상적 결과로 최종 추시시 American Knee Society의 Knee and function score와 슬관절의 운동범위를 조사하였다. 결과: PSA-A는 술 전 평균 1l.4±4.8°, 술 후 평균 6.0±2.8°이었고, PSA-B는 술 전 평균 13.6±4.9°, 술 후 평균 8.1±2.9°이었다. 술 전 PSA-A는 6.0°에서, PSA-B는 8.1°에서 차이가 클수록 수술 전 후 후방 경사각의 차이가 증가하였다(PSA-A: r=0.837, p=0.000; PSA-B: r=0.834, p=0.000). Knee and function score는 술 전 평균 52.9, 55.8이었고 최종 추시시 평균 97.4, 89.7이었다. 슬관절의 운동범위는 술 전 평균 128.0°, 최종 추시시 129.7°이었다. 결론: 후방십자인대 보존형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후방 경사각은 근위 경골 골수강 기준으로 6.0±2.8°가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analyze the pre- and postoperative posterior tibial slope angle (PSA) of performing cruciate-retaining total knee arthroplasty (TKA) and to identify the ideal value of the PSA in relation to the clinical result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ne 1999 to May 2005, 202 TKA with a NexGen<SUP>®</SUP> cruciate-retaining knee were performed in 160 patient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39.8 months. The pre- and postoperative PSA referenced by the proximal tibial medullary canal (PSA-A) and the proximal tibial anterior cortex (PSA-B) were measured by two independent observers. The knee and function scoring system of the American Knee Society and the range of motion of the knee at the last follow-up were evaluated as the clinical results. Results: The mean PSA-A was 11.4±4.8° preoperatively and 6.0±2.8° postoperatively, and the mean PSA-B was 13.6±4.9° preoperatively and 8.1 ±2.9° postoperative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operative PSA increased as the preoperative PSA-A changed from 6.0° and the PSA-B changed from 8.1°; these finding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based on a simple linear regression (PSA-A: r=0.837, p=0.000; PSA-B: r=0.834, p=0.000). The knee and function score of American Knee Society improved respectively from 62.9 and 55.8, preoperatively, to 97.4 and 89.7 respectively, at the last follow-up. The range of motion of the knee joint was 128.0° preoperatively and 129.7° at the last follow-up. Conclusion: In cruciate retaining total knee arthroplasty, PSA-A is mostly distributed within 3.2-8.8°, and a reasonable range of PSA-A is 6.0±2.8°.

      • KCI등재

        대퇴골의 관절외 변형이 있는 환자에서 관절내 교정에 의한 슬관절 전치환술

        배대경(Dae Kyung Bae),송상준(Sanng Jun Song),윤경호(Kyoung Ho Yoon),노정호(Jung Ho Noh),이세민(Se Min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5 No.3

        목적: 대퇴골의 관절 외 변형을 가진 환자에서 관절 내 교정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의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대퇴골의 관절 외 변형을 동반한 23예에서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였다. 연령은 평균 58.0세이었고, 추시 기간은 평균 54.7개월이었다. 미국 슬관절학회의 슬관절 점수, 기능 점수를 조시하였고, 역학적 축을 계측하였다. 변형의 위치가 원위부에 위치한 권(Ⅰ군, 16예)과 근위부 또는 간부에 위치한 군(Ⅱ군, 7예)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슬관절 점수는 술 전 평균 47.8, 최종 추시 시 평균 91.6이었고, 기능 점수는 술 전 평균 46.9, 최종 추시시 평균 89.1이었다. 역학적 축은 술 전 평균 내반 7.7˚, 술 후 평균 내반 1.0˚이었다. 최종 추시시 슬관절 점수는 Ⅰ군 90.1, Ⅱ군 95.0, 기능 점수는 Ⅰ군 87.8, Ⅱ군 92.1이었다. 술 후 히지의 역학적 축은 Ⅰ군 내반 2.0˚, Ⅱ군 외반 1.3˚이었다(p=0.042). 결론: 대퇴골의 관절 외 변형을 가진 환자에서 관절 내 교정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 후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심한 변형이 대퇴골 원위부에 위치한 경우 하지 정렬의 교정이 불완전할 수 있으므로 주의하어야 한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result of total knee arthroplasty (TKA) using an intra-articular correction in patients with extra-articular deformity of the femur. Materials and Methods: We performed 23 TKAs in 23 patients with extra-articular deformity of the femur. The mean age was 58.0 years and the follow-up period averaged 547 months. The American Knee Society's knee and function score were evaluated, and the mechanical axis (MA) was measured. Sixteen knees with a deformity in the distal third of the femur were assigned to group Ⅰ and 7 knees with a deformity in the proximal or middle third were assigned to group Ⅱ. Between groups differences in results were analyzed Results: The average knee score was 47.8 preoperatively and 91.6 at the last follow-up. The average function score was 46.9 preoperatively and 89.1 at the last follow-up. The MA averaged varus was 7.7˚ preoperatively and 1.0˚ postoperatively. The average knee score at the last follow-up was 90.1 in group Ⅰ and 95.0 in group Ⅱ. The average function score at the last follow-up was 87.8 in group Ⅰ and 92.1 in group Ⅱ. The MA averaged varus was 2.0˚ in group Ⅰ and 130 in group Ⅱ (p=0.042). Conclusion: TKA in conjunction with intra-articular correction produced satisfactory results for patients with an extra-articular deformity of femur. The possibility of incomplete correction of limb alignment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especially in cases with a severe deformity at the distal third of the femur.

      • KCI등재

        CAS를 이용한 개방형과 폐쇄형 경골 근위부 절골술에서 네비게이션 장치와 방사선 사진 상 계측지의 비교 분석

        배대경(Dae Kyung Bae),송상준(Sang Jun Song),윤경호(Kyung Ho Yoon),곽상준(Sang Joon Kwak) 대한정형외과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4 No.5

        목적: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경골 근위부 절골술에서 개방형과 폐쇄형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와 방사선 사진 상 계측치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하여 개방형 절골술을 시행한 32예와 폐쇄형 절골술을 시행한 5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교정각은 역학적 축 백분율이 62%가 되도록 계획하였다. 절골 전, 후 역학적 축을 계측하고, 방사선 사진 상 계측치와 비교하였다. 개방형과 폐쇄형 절골술에 따른 술 후 역학적 축의 방사선 사진 상 계측치와 네비게이션 장치상 계측치의 차이와 술 후 후방 경사각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결과: 개방형 절골술에서의 술 후 평균 역학적 축은 네비게이션 장치 상 외반 2.7°, 방사선 사진 상 외반 4.0°이었고, 폐쇄형 절골술에서의 술 후 평균 역학적 축은 네비게이션 장치 상 외반 3.5°, 방사선 사진 상 1.6°이었다 (p=0.000). 술 후 후방경사각의 변화는 개방형 절골술에서 5.3°증가하였고, 폐쇄형 절골술에서 1.8°감소하였다(p=0.000). 결론: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절골술은 수술 중 교정각을 확인함으로써 정확성을 기할 수 있다. 술 후 역학적 축의 네비게이션 계측치와 방사선학적 계측치의 차이는 체중 부하라는 외력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므로 이를 고려해야 한다. Purpose: We want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the measured values between a navigation system and radiographs when performing open and closed wedge high tibial osteotomy (HTO) under the control of a navigation system. Materials and Methods: Thirty-two open wedge HTOs and 51 closed wedge HTOs were performed using a navigation system. The postoperative mechanical axis percent, which was planned on the navigation system, was 62%. The mechanical axis (MA) was measured before osteotomy and after fixation on the navigation system, and these were compared with the measured values from the radiographs. The difference of the postoperative MA between the navigation system and the radiographs was compared according to the type of HTO. The alteration of the tibial posterior slope angle was also compared. Results: For the open wedge HTO, the mean MA after fixation was valgus 2.7° on the navigation system and the postoperative MA was valgus 4.0° on the radiograph. For the closed wedge HTO, the mean MA after fixation was valgus 3.5° on the navigation system and the postoperative MA was valgus 1.6° on the radiograph (p=0.000). The mean tibial posterior slope angle was increased by 5.30 after the open wedge HTO and it was decreased by 1.80 after closed wedge HTO (p=0.000). Conclusion: Performing HTO with a navigation system could increase the surgical accuracy because the navigation system checked the intraoperative correction angle in real time. Weight bearing makes a difference for the postoperative MA between the navigation system and radiographs. Thi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according to the type of HTO.

      • KCI등재

        슬관절 재치환술 시 심한 골 결손에 사용한 구조적 동종골 이식

        배대경(Dae Kyung Bae),윤경호(Kyoung Ho Yoon),김선구(Seon Goo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2

        목적: 슬관절 재치환술 시 심한 골 결손이 있는 환자에서 구조적 동종골 사용 후,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2 년 1월부터 2003 년 2월까지 슬관절 재치환술을 시행한 158명의 환자, 184예 중, 골 결손이 심하여 구조적 동종골 이식술 시행 후 추시 가능하였던 48명의 환자, 52예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고, 술 후 추시 기간은 평균 5년 6개월이었다. 모든 예에서 신선 동결된 대퇴 골두를 동종골로 사용하였다. 임상적으로 미국 슬관절 학회의 임상적 평가 방법을 이용하였고, 방사선학적으로 이식골의 유합 여부, 수술 전후 대퇴 경골 각의 변화 및 미국 슬관절 학회의 방사선학적 평가 방법에 따라 삽입물 주위의 방사선 투과선을 관찰하였다. 결과: 슬관절 점수는 술 전 평균 38.6점에서 술 후 평균 82.6점으로 증가하였고, 기능 점수는 술 전 평균 30.3점에서 술 후 평균 76.4점으로 향상되었다. 방사선 사진상, 모든 예에서 이식골의 골 유합을 보였고, 대퇴 경골각은 술 전 평균 외반 1.8도에서 술 후 평균 외반 6.2도로 교정되었다. 방사선 투과선은 모든 예에서 4점 이하였고, 삽입물 주위에 2 ㎜ 이상의 방사선 투과선을 보인 예는 없었다. 결론: 슬관절 재치환술 시 골 결손이 심한 예에서 대퇴 골두 동종골 이식술은 매우 유용한 방법이라 생각된다. Purpose: To analyze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results after revision total knee arthroplasty using a structural allograft for large bone defects. Materials and Methods: 184 cases of revision total knee arthroplasty were performed from January 1992 to February 2003. Among them, 52 knees in 48 patients with the use of structural allograft for the management of large bone defect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ose 52 knees have been followed until recently.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5 years and 6 months. Fresh-frozen femoral head was used as the structural allograft in all knees. The clinical rating system of the American Knee Society was used for the clinical assessment. Union at the allograft-host bone junction, femoro-tibial angle and periprosthetic radiolucent lines using a radiographic evaluation of American Knee Society were analyzed radiographically. Results: At the final follow-up, the mean preoperative knee and function score improved from 38.6 points to 82.6 and 30.3 to 76.4, respectively. Radiographically, union of the allograft to the host bone was observed in all knees. The average femoro-tibial angle was corrected from 1.8° in valgus. to 6.2°. The radiographic evaluation revealed no evidence of loosening. Conclusion: Revision total knee arthroplasty using a femoral head allograft is an appropriate surgical method for treating large bone defect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