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치원교사의 배경변인, 가창능력에 대한 인식과 노래지도 신념에 따른 노래지도 실제

        박형신(Hyoungshin Park) 한국영유아음악교육학회 2023 영유아음악교육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유치원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가창능력에 대한 인식, 노래지도 신념과 노래지도 실제가 어떠하며, 이들 간의 관련성이 어떠한가를 분석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G도의 공사립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171명을 대상으로 유아음악교육 관련 학습경험과 가창능력에 대한 인식 및 노래지도 신념, 노래지도 실제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여 이를 조사·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치원교사의 가창능력에 대한 인식은 그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노래지도 신념은 학력과 유아음악교육 관련 수강 과목 수, 자격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노래지도 실제의 경우 학력과 자격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또 유치원교사의 노래지도 신념, 유아음악교육 관련 수강 과목 수, 가창능력에 대한 인식 순으로 그들의 노래지도 실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래지도를 위한 유치원교사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유아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가창 활동을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지원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singing ability, singing teaching beliefs and singing teaching practic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For this purpose, 171 teachers working at the public kindergarten in G province were surveyed and analyzed by collecting data on learning experience related to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erception of singing ability, teaching beliefs in singing, and practices in teaching singing.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ercep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singing ability was not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while the teaching beliefs in singing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urses and qualification level related to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In addition, the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beliefs in singing, the number of classes related to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and the perception of singing ability were found to affect their practices in singing teach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tudy discussed specific support measures to strengthen the professionalism of kindergarten teachers for singing instruction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singing activiti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우수등재

        창작국악동요를 활용한 통합예술활동이 유아의 국악흥미도와 음악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이하나(Hana Lee),박형신(Hyoungshin Park) 한국음악교육학회 2021 음악교육연구 Vol.50 No.4

        이 연구는 창작국악동요를 활용한 통합예술활동이 유아의 국악흥미도와 음악창의성에 미 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W시 소재 두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31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에는 창작국악동요를 활용한 통합예술활동을 적용하고, 비교집단 에는 창작국악동요 지도와 누리과정에 기초한 통합활동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실험집단의 국악 흥미도와 음악창의성 평균이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창작국악동요를 활용한 통합예술활동이 유아의 국악흥미도를 높이고 음악창의성을 증진할 수 있 는 교수⋅학습방법으로 유아교육현장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integrated arts activities based on created Korean children’s songs on young children s interest in Korean music and musical creativity. For this purpose, 31 five-year-old children from two daycare centers located in W city were classifi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Integrated arts activities based on created Korean children’s songs were appli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results, the mean of the experimental group for interest in Korean music and musical creativ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mparison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tegrated arts activities based on created Korean children’s songs can be applied to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as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that can increase young children s interest in Korean music and promote their musical creativity.

      • KCI등재

        유아교사의 유아놀이권리 인식과 놀이지원 실제가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놀이지원 실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예나 ( Jo Yena ),박형신 ( Park Hyoungshi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연구 Vol.42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유아놀이권리 인식과 놀이지원 실제가 어떠한가를 살펴보고, 이들 변인이 궁극적으로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어떠한 가를 분석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G도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283명과 이들 중 체계적 표집법을 통해 선별된 26명의 유아교사가 담당하는 유아 38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유아놀이권리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유아교사의 놀이지원 실제는 학력과 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유아교사의 학력, 유아놀이권리 인식이 놀이지원 실제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교사의 유아놀이권리 인식이 그들의 놀이지원 실제를 매개로 유아의 ‘놀이상호작용’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는 유아로 하여금 또래와의 긍정적으로 상호작용을 통하여 질 높은 놀이를 경험하도록 지원하기 위해서는 유아교사의 유아놀이권리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놀이지원을 위한 실제적인 역량을 강화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s role to provide high-quality play experiences to children.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 to play and the practice of play support, and examine which paths of these variables ultimately affect the children’s peer-play interaction.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283 teachers and 385 children of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G provi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 to play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play interaction’ through their play support pract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 to play and to strengthen their practical capacity for play support, in order to support the children to experience high-quality play through positive interaction with their peers.

      • KCI등재

        전래동요에 기초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이은숙 ( Lee Eunsook ),박형신 ( Park Hyoungshi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5

        본 연구는 전래동요에 기초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문헌 분석을 실시하고 유아교육 전문가와 현장교사로 구성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여 프로그램의 구성 지침과 시안을 완성하였다. 또한 현장교사의 타당도 검증과 예비연구를 거쳐 ‘자신과 타인, 자연을 존중하며 더불어 살아가는데 필요한 역량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기본생활습관과 효, 존중, 배려, 협동을 내용으로 하며, 전래동요 익히기-관심가지기-경험하기-가치 확인하기-실천하기 단계로 전개되는 실천중심의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 개발된 프로그램이 만 5세 유아의 인성, 사회적 유능감, 국악능력 및 국악흥미도에 미치는 효과가 어떠한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래동요에 기초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성을 함양하고 사회적 유능감을 증진하며 국악능력과 국악흥미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는 전통예술을 활용한 인성교육의 이론적 근거와 시사점을 제공하고, 전래동요에 기초한 실천중심 인성교육의 방법을 제안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young children’s charact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For this purpose, program construction guidelines and a draft proposal were prepared utilizing literature analysis as well as focus group interviews conducted with a group of young children’s education experts and teachers in the field. A practice-centered young children’s character education program was then developed after adequacy verification by active teachers and pilot study. The program goals were set as following. First, to ‘cultivate children’s ability required to respect themselves, others and the nature to live together with.’ Second, to educate children with basic living habits, filial duty, respect, considerateness and cooperation. The program implementation from children’s perspective involved several steps including learning traditional children’s songs, getting interested in the subject, experiencing, affirming values, and putting into practice. The program implementation from children’s perspective involved several steps including learning traditional children’s songs, getting interested in the subject, experiencing, affirming values, and putting into practice. Furthermor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the developed program on 5-year-old children’s character, social competence, musical ability, and interest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As the result of analysis, it was observed that the young children’s charact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traditional children’s songs exerted positive influence to children’s character cultivation, social competence, musical ability, and interest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n providing theoretical basis for character education using traditional art. Its implications are relevant in proposing a method of practice-centered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traditional children’s so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