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 수학의 역사

        박춘성,Park, Choon-Sung 한국수학사학회 2006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Vol.19 No.1

        본 논문에서는 고대 Greece, 고대 Babylonia 등에서 시작한 수학의 발전 과정과 19세기 이후 집합론을 바탕으로 공리주의적 방법으로 현대수학이 발전하였음을 알아보고 특히 위상수학의 발전과정을 요약해 보았다. The thesis is about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starting from the old Greece and the old Babylonia. The modem mathematics has been developed, based on the set theory in the axiomatic method since the 19th century. The primary impetus of this thesis will be to summary the development of topology.

      • KCI등재

        창의ㆍ인성의 특성과 학교에서의 발현을 위한 방안 탐색

        박춘성(Choonsung, Park)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0 창의력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창의ㆍ인성 교육의 의미와 의의를 살펴보고, 대두 배경이된 다양한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창의ㆍ인성 교육이 학교현장에 구현되기 위해서 필요한 제반 조건들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창의ㆍ인성 교육은 미래 사회를 대비하는 교육의 방향이며, 궁극적으로 학교 현장의 변화를 견인하고자 하는 실제적인 노력으로 볼 수 있다. 지금까지 창의교육과 인성교육이 별개의 내용으로 교육된 문제점을 집어보고, 이 문제점의 대안으로서 창의ㆍ인성 교육의 대두 배경을 살펴보았으며, 학교에서 이를 실현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veal the evolved of personality education in korea and argue the alternative approach of creativeㆍcharacteristic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is a important part to child development. Character Education is a national movement creating schools that foster ethical, responsible, and caring young people by modeling and teaching good character through an emphasis on universal values that we all share. It is the intentional, proactive effort by schools to instill in their students important core, ethical values such as respect for self and others, responsibility, integrity, and self-discipline. But unlike other lesson plan, personality education have many problems. Many other country have personality education in the world, because personality education is important. In our society must educate a child for personality educaion to preparation future society. Alternative approach is creative character education. The concept of “Creative character education” as a alternative approach is need and solve the problem in korea education. Conducting creative character education or character building is not easy, so needed many energy. Teachers often struggle with how to get students to achieve at a higher level. CreativityㆍCharacter education made it up to higher level achievement.

      • KCI등재후보

        자기보고식 영재판별검사 프로파일 분석

        박춘성(Park Choon su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06 영재와 영재교육 Vol.5 No.2

          본 연구는 자기보고식 영재판별평정검사의 타당한 사용을 위해서 자기보고식 영재평정검사를 제작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자기보고식 영재판별검사의 실제 사용에 대한 함의를 얻는데 있다. 본 연구는 영재집단, 1종오류집단, 2종오류집단, 일반집단을 설정하였다. 4개의 준거집단 설정을 위해서 영재학급ㆍ일반학급과 지능ㆍ수학ㆍ과학 표준화검사를 사용하였다.<BR>  영재집단과 2종오류집단은 평정자가 달라도 같은 양상의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반면, 1종오류집단과 일반집단은 평정자간에 프로파일의 양상이 다른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영재판별검사를 사용하여 영재판별을 하기 위해서는 교사, 부모, 학생의 평정결과가 일치하여야 함을 제안하였고 다양한 연령 및 다양한 영재(예술, 체육)들에게 추가연구를 제안하였다.   Due to the relevance between screening and program eligibility,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assessment tool for identification of the giftedness could promote the quality of education on gifted children. The new theories of Giftedness emphasize the multi-dimensionality of outstanding abilities.<B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focuses on profile of giftedness. The participants were 319 gifted children from three gifted schools, 293 regular students from the ordinary schools, and their teachers and parents.<BR>  In this study, criterion groups were used. Criterion groups were composed of true positive and true negative groups, which means real gifted and real ordinary children, respectively.<B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BR>  First, the rating of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predict the gifted group and type two error group effectively. Second, the rating of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predict the ordinary group and type one error group uneffectively<BR>  In conclusion, giftedness is based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rating result are fitt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related to research design, test tool, participants.

      •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성적우수 학생과 성적부진 학생의 특성

        박춘성(Park Choon Seong),남정현(Nam Jeung Hyun),권선방(Kwun Sun Bang),박명숙(Park Myung Sook) 한국교육실천연구학회(한국교육포럼) 2007 韓國敎育論壇 Vol.6 No.1

        이 연구는 고등학교에 입학한 후 학교에서 실시한 고사 결과 우수한 성적을 보인 학생들과 성적이 부진한 학생들이 각각 어떤 특징을 보이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대상은 부산 시내에 있는 일반계 고등학교 남학생 301명이다. 검사도구로는 자기효능감, 성취동기, 부모와 의사소통, 학습방법, 스트레스 대처양식 검사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적우수 집단은 성적부진집단에 비해 자기효능감에서, 특히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적으로는 큰 의미를 둘 정도는 아니고, 더욱이 사회적 자기효능감 면에서는 거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성적우수 집단과 성적 부진집단은 성취동기에서 대단히 큰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은 어느 집단 간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지 않아 아버지와의 의사소통 유형은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적우수 집단과 성적부진집단은 학습방법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다섯째, 스트레스 대처양식에서는 어느 집단 간에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여섯째, 학업성취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취동기와 학습방법이었다. This study aims to know traits between good grades group and bad grades group in an academic school. So, this study performed questions for all students of a school year which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o be based on schoolwork accomplishments. Contents of questionnaires included self-efficacy, fulfillment motives,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s, study methods, ways against stresses which might affect schoolwork accomplishments among domains of mentality. The results of experiments are as follows: First, good grades group were found to be more self-efficacy, especially general self-efficacy, than bad grades group. Second, two groups(good grades group and bad grades group) were found to be greatly correlation of direct proportion for accomplishment motives. Third, communications to father were found not to be affected because of few significant differences. So, it was not affected schoolwork accomplishments. Fourth, two groups were found to have great differences for study methods. Fifth, ways against stresses were found not to be significances. Sixth, factors that affected for schoolwork accomplishments were accomplishments motives and study methods.

      • KCI등재

        영재아와 일반아간 학교 및 가정 부적응 유형차이

        박춘성(Park Choon Sung),이정규(Lee Jeong Kyu) 한국영재교육학회 2008 영재와 영재교육 Vol.7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영재학생들의 학교와 가정, 그리고 기타 부적응 유형에 대한 탐색적 연구의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4~6학년의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을 비교 분석하여 학교, 가정, 기타 상황에서의 부적응 유형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사이에 학교, 가정, 기타의 부적응 유형에 공통점과 차이점이 존재하고 있으며, 영재학생만의 독특함을 반영한 부적응 유형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영재학생들은 모든 분야에서 뛰어난 적응 양태를 지닐 것이며, 특히나 공부에 대한 부적응은 없을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그러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집단역동에 필요한 친구문제 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는 공부 문제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영재들을 위한 문제 행동의 개입은 이러한 영재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세워져야 할 것이다. Mentally deficient students need special help, no one denies. But many people forget entirely those students on the opposite end of the intelligence spectrum. Gifted students suffer unnecessarily in their life at school, home and others having trouble with intrapersonal conflict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choolwork and forming appropriate social role models. Although some things are being done to remedy this situation, more needs to be done to prevent the waste of fine young minds. The study address crucial topics in the field, including maladjust for gifted students, considerations in school, home and others. As a results, maladjust problem are differ between gifted student and general students. So, if plan for educational intervention on gifted students then needs for characteristic of the gifted students. Thus any attempt to help a troubled gifted student must address characteristic of the gifted students or it is doomed to fail.

      • KCI등재
      • 유아교육에서의 다층 자료 분석 - 종단적 경험 연구에서의 다층 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박춘성 ( Park Choon-sung ) 한국실천유아교육학회 2017 실천유아교육 Vol.22 No.1

        본 연구는 최근 종단 연구 자료의 급증으로 유아부터 성인까지의 다양한 종단적 변화를 산출 할 수 있는 데이터들이 공개되고 있다. 따라서 유아교육에서도 이러한 자료를 활용하여 종단분석을 실시하고 있는데, 종단분석 방법은 아직까지 많은 소개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필요를 바탕으로 종단연구 방법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다층자료분석 방법(Hierarchical Linear Model)을 소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층자료분석의 이론과 실제 분석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HLM 프로그램 활용방법 및 해석 방법을 포함한 전체적인 내용을 다루었다. Longitudinal designs, or designs in which the dependent variable is measured over time, are common in the field of education. Linear regression probably is the most familiar technique of data analysis, but its application is often hamstrung by model assumptions. For instance, if the data has a hierarchical structure, quite often the assumptions of linear regression are feasible only at local levels. We will investigate an extension of the linear model to bi-level hierarchies.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HLM) is a statistical technique that allows used for analyzing data in a clustered or “nested” structure, in which lower-level units of analysis are nested within higher-level units of analysis.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allows the data to be structured in at least 2 levels. For longitudinal design, the first level is the repeated measure (time or condition) nested within the second level, which is the person-level data.7 The first level captures the within-subject variation, whereas the second level describes the between-subjects variability. In this article, we introduce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 KCI등재후보

        학업 우수아와 일반 학생의 심리사회적 특성 비교를 통한 학업우수아 지도방안 연구

        박춘성(Park, Choon Sung),원경림(Won, Kyung Rim) 한국영재교육학회 2009 영재와 영재교육 Vol.8 No.3

        본 연구는 중학교 학업우수아와 일반학생의 심리사회적 특성비교를 통한 학업우수아 지도방안 마련을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학업우수아와 일반학생을 비교하여 학업관련 적응전략과 비동조 행위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 자료를 중심으로 특히 학업우수아들을 추출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학업성취수준이 상위 10%에 속하는 학생들을 추출하여 학업우수아로 선정하고, 10% 이외의 집단으로 분류한 후, 학업관련적응전략특성과 비동조행위별로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내재적 동기, 통제기대, 자아효능감, 자원관리전략, 학습관련비동조적행위, 학습이외 학교내 비동조행위, 학교내 비동조적 행위를 연구대상 변인으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학업우수 학생들이 일반학생에 비하여 모든 내재적 동기 특성, 통제기대, 자기효능감이 일반학생보다 높고, 자원관리 전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동조행위를 분석하여 적응행동상의 특징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관련 비동조행위, 학업 외 학교내 비동조행위, 학교내 비동조행위, 학교외 비동조 행위, 비동조 행위 인식을 선정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그 결과 학업우수아들은 일반학생보다 학습관련 비동조 행위가 낮지만, 학습이외의 학교 내 비동조적 행위는 일반학생과 비 교하여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동조 행위 인식에 있어서는 학업우수아들이 교내비폭력이 더 빈번하게 일어난다고 진술하고 있었고, 특정학생 따돌림, 언어적 협박이나 모욕에 대한 경험이 일반학생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게 일어난다고 인식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인식은 무엇보다 학업우수아들이 느끼는 문제 상황과 그 심각성을 드러내는 것이기에 이 문제에 대한 사회적 해결방안이 시급하게 논의될 필요가 있음을 말해준다. 연구 결과 학업우수아들의 학습관련 혹은 학교내 비동조 행위 보다는 사회적 관계 맺음에 있어서의 부정적 영향력이 상당하다는 점이 밝혀졌다. 따라서 이 부분을 고려한 지원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향후 교육계의 보다 나은 발전을 위해서는 지식 및 교과 중심의 영재교육과 더불어 인성, 리더십 교육을 병행하여야 함을 지적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를 밝히면서 중학교 학업 우수아에 대한 추후연구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search for social-psychological charateristic between high-achieving students and normal student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to compare high achieving middle school students with general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ir academic adaptive strategies and Non-adaptive behavior. The high achieving group consisted of the top 10% of academically high achieving students while the general group consisted of the rest of the students. This study analyzed variables such as Intrinsic motivation, expected self-control, self-efficacy, resource management strategy, study related non-adaptive behavior, study not related non-adaptive behavior, non-adaptive behavior in school. The results indicated that high-achieving group had, on average, higher Intrinsic motivation, expected self-control, self-efficacy, and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than the general group. Furthermore, high-achieving students had, on average, lower levels of study related non-adaptive behavior than the general group,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udy not related non-adaptive behavior. As for the perception of Non-adaptive behavior, high-achieving students tended to perceive a higher level of school violenc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applications were considered.

      • KCI등재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진로교육 적용 탐색

        박춘성(Choon Sung, Park) 한국영재교육학회 2015 영재와 영재교육 Vol.14 No.1

        본 연구는 영재교육프로그램의 진로교육 적용방법을 탐색하면서 현행 진로교육 문제점의 해결방안을 탐색하였다. 영재교육 프로그램 중 ET/RDM, PCM, Purdue 3단계 심화학습모형, TU모형에서 제시하는 진로교육 방법들을 살펴보고, 진로교육이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논의하였다. 또한 일반교육에서 추진중인 진로교육의 문제점으로 지적된 내용을 영재교육 프로그램이 어떻게 적용 될 수 있는지를 밝혔다. 본 논의에 의하면 영재교육 프로그램은 진로교육 추진상의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학생의 진로관련 재능발달에 적용이 가능하였다. 이러한 해결 가능성을 위해서는 먼저 영재진로교육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함을 밝혔다. Reflecting the recent trends and needs of career education, this study set out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gifted education and career education. The recognition of the special needs of gifted students within their general education indicates the likelihood that these needs should extend to the provision of career education.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gifted education and career educ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first, focused on study for the career education in school, and then reviewed related gifted education program for career education. Career education as a part program in gifted education such as ET/RDM, Purdue, PCM, ALM, TU program. So the relation argued in this study. The findings showed that problem in career education was resolved by gifted education program. Even though career education have many problem in schools, gifted program will be solve problem not only for gifted education but also for general education.

      • KCI등재후보

        통합창의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박춘성(Park Choon sung),이경화(Lee Kyung hwa),김진희(Kim Jin hee)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3 창의력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유아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통합창의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 유아는 서울시 관악구에 위치한 C어린이집에서 만 4세 유아 20명을 무선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0명씩 무선배치 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유아통합창의성 검사'(이경화, 2012)를 사용하였으며, 사전검사를 실시 후 집단 간 동질성을 확인하고, 실험을 실시한 후, 사후검사에서도 같은 방법으로 검사를 실시하여 집단 간 차이를 검정하였다. 실험과정에서 실험집단 유아들에게는 10차시로 구성된 통합창의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통제집단 유아들은 표준보육과정인 누리과정의 4월-5월에 해당하는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통합창의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통제집단의 유아들에 비해 창의성 총점과 창의성 하위요인의 일부(유창성, 독창성, 도형의 완성도, 주제, 비관습성, 새로운 요소 첨가)에서 향상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서 유아의 창의성 계발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합창의프로그램을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아교육현장에 시사점을 줄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integrated creativity program' on creativity of young children. Thus the research problem of this study was set up as follows ; How does 'The integrated creativity program' affect young children's creativity(creative thinking ability and creative personalit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selected 20 young children randomly, who belonged to C kindergarten in Gwanak-gu, Seoul. They were dived into 2 groups randomly,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ith 10 children each. The Integrative creativity test for young children(Lee, 2012) was applied as pre and post test for measuring children's creat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young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were exposed to 'The integrated creativity program showed higher scores than the children who were in the control group exposed to an ordinary education program. Total creativity score (language creativity, drawing creativity) and some of sub-factors of creative thinking ability were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s children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s children. However, the differences of creative personality was not significant.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in fluency, originality, which are sub-factors of language creativity. But imagination of creative thinking ability was not signific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