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교 영어 수업에서 Dictogloss의 효과에 관한 연구

        박정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Lately, it has been recognized that in order to help students develop a productive skill in learning English as their second langage, it is not all that required to provide them with the comprehensible inputs sufficiently. Providing for the comprehensible input may serve to develop the receptive skill, but it is not sufficient to develop the productive skill. 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learners need to be given the opportunities for both inputs and outputs during their learning, as suggested by many preceding studies. Dictogloss is one of methods of providing for the opportunity for output. With such basic conceptions in mind, this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the effects of Dictogloss on students' learning of English as the second language.To this end, the researcher sampled the students in the third year of a middle school; the students were grouped into an intensive learning class because their English performances were at middle or upper level. The sample students were divided into 2 experimental ground subject to Dictogloss and 1 experimental group subject to TIE (Typographical Input Enhancement) without output activities. 2 Dictogloss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again into the homogeneous sub-groups of similar English performances and the heterogenous sub-groups of different English performances.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First, the Dictogloss groups improved their English performances significantly more than the TIE Group.Second, the learning effects of Dictogloss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grammatical forms.Third, the redivision of the Dictogloss groups into the sub-groups according to students' English learning performances did not affect the learning effects significantly.Namely, Dictogloss encouraged the learners to pay attention to what they knew and what they did not knew and thereby, urged them to be engaged in the effective output activities conducing to their English learning.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put forwards in association with the school English education;First, teachers are obliged to provide the learners with the learning challenges including the opportunities for output activities.Second, since Dictogloss is effective not only in grammatical learning of the target language but also in improving learners' ability of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it needs to be applied positively in the English classrooms.Lastly, since Dictogloss aims at a cooperative learning inducing some positive interactions among learners, it should be used as much as possible in English classrooms. 최근 영어 교육에서 학습자들이 제 2 언어를 습득하는데 있어서 생산적인 능력(productive skill)을 기르기 위해서는 단지 이해 가능한 입력을 충분히 제공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인식이 이루어져왔다. 이해 가능한 입력을 제공하는 것으로는 수용적인 능력(receptive skill)은 기를 수 있으나 생산적인 능력을 기르는 데는 충분하지 못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에게 학습하는 동안에 입력 기회뿐만 아니라 출력해 볼 수 있는 기회까지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많은 효과적인 연구들이 있어왔다. 따라서 현 연구는 그러한 연구들과 맥락을 같이하여 출력의 기회를 제공하는 학습 방법인 Dictogloss가 제 2 언어 습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연구는 중학교 3학년 학생들 중 영어 성적이 중위권 이상인 심화반을 대상으로 하였다. 출력의 기회를 제공하는 Dictogloss 수업을 받은 2개의 실험 집단과 출력 활동 없이 시각적으로 강화된 입력 자료를 가지고 활동하는 Typographical Input Enhancement(이하 TIE) 수업을 받은 1개의 실험 집단으로 구성하였다. 2개의 Dictogloss 실험 집단은 다시 학습자들의 성적에 따라 동질 성적 조 편성을 한 집단과 이질 성적 조 편성을 한 집단으로 나뉘어졌다.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Dictogloss에 의한 수업을 받은 실험집단이 TIE에 의한 수업을 받은 실험집단보다 유의미한 성적 향상을 보였다.둘째, Dictogloss의 학습 효과는 문법 형태에 따라 큰 차이가 있었다.셋째, Dictogloss 학습의 조 편성 시 학습자들의 수준에 따라 조 편성 방법을 달리한 것은 학습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즉, Dictogloss가 학습자들로 하여금 목표어에 대해 자신이 알고 있는 것과 알지 못하는 것 사이의 차이를 주목하게 하여 제 2 언어 습득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효과적인 출력 활동이 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현장에서의 영어 교육과 연계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첫째, 교사는 학교 현장에서 학습자들에게 출력 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를 포함하는 학습 과업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둘째, Dictogloss는 목표어의 문법 학습에 효과적일뿐만 아니라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능력을 모두 향상시켜줄 수 있다는 점에서 수업 시간에 적극 활용되어야 한다.마지막으로, Dictogloss는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유발하는 협동 학습으로서 영어 수업 시간에 많이 활용될 필요가 있다.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대학입시 학생부종합전형 자기소개서의 분석

        박정주 한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 문 요 약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대학입시 학생부종합전형 자기소개서의 분석 논문제출자 박 정 주 지 도 교 수 임 준 묵 본 연구는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자기소개서의 분석을 다루고 있다. 대학입학전형에서 자기소개서는 지원자의 잠재능력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중요한 데이터이지만, 그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입시 학생부종합전형의 평가 자료 중의 하나인 자기소개서에 대해서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다양한 분석을 통해서, 자기소개서의 특성을 찾아내어 지원자에 대한 이해도를 제고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A대학교 20XX학년도 학생부종합전형의 지원자 3,302명의 자기소개서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자기소개서를 자연어처리 등 분석이 용이한 형태의 자료로 변환한 후 기술통계, 군집분석, 토픽분석, 감정분석 등의 기법을 이용하여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런 분석결과를 통하여 문·이과, 성별, 합격여부 등으로 자기소개서의 다양한 특성을 분석할 수 있었다. 분석결과의 하나로 ‘교내활동’을 중심으로 기술한 자기소개서 공통문항 2번이 다른 문항에서보다 다양한 특성이 나타나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각 문항별로 문·이과, 성별, 합격여부에 따른 자기소개서의 공통점 및 차이점 등의 다양한 특성을 발견함으로서 지원자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서 학생부종합전형 평가의 수준을 높임과 동시에 평가에 대한 시간적인 한계를 극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본 논문은 텍스트마이닝을 사용하여 분석한 다양한 논문 중 대입전형 자기소개서를 바탕을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대학입학전형운영의 공정성 및 효율성 제고를 위한 기초연구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중학교 3학년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전류에 의한 자기장 실험의 분석 및 개선

        박정주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Hans Christian Oersted's observation of the deflection of a compass needle near a current-carrying wire is an evidence that the magnetic field is generated by electrical current. 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indings in the science history and this experiment is included in all the science textbooks for third graders in middle school in Korea. However, the experiment cannot be performed easily as a laboratory activity due to the lack of quantitative description of experimental conditions and other precautions. And furthermore the design of commercially available kits for the experiment is not sufficiently elabor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how to improve the experiment kit and set up the optimum quantitative conditions for the experiment. To achieve this,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measure the magnetic field by the deflection angle of a compass needle near a straight current-carrying wire as a function of current and distance from the wire. The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the magnetic field strength is proportional to the electrical current and the inverse of the distance. The errors of measured values relative to the theoretical values are calculated and discussed. And based on these measurements and analyses, the optimum experimental conditions and precautions are suggested.

      • 기능성 나노입자/Enzyme 하이브리드 다층박막에 기반 한 electrochemical Biosensor에 대한 연구 : Enzyme의 전기적인 성질을 이용한 선택적인 Multilayer Films Patterning과 이를 통한 electrochemical Biosensor에 대한 연구

        박정주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LbL(Layer-by-Layer) 다층박막은 1990년대 초 독일 마인츠 대학의 Decher 교수에 의해 소개된 이래로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LbL 다층박막은 각각의 물질들 간의 상호 인력 (정전기인력, 수소결합, 공유결합)을 통하여 흡착시킬 수 있으며 기판의 크기나 형태에 관계없이 다층박막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박막의 두께를 수 나노미터에서 수백 나노미터까지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통해 초소수성 표면이나 전기전자 소자 또는 광학 소자 등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시킬 수 있다. 특히, LbL 다층박막과 패터닝 (patterning)을 결합시킨 다층 초박막 패터닝은 실제 응용소자로 제작하는데 있어서 필수 공정이므로 많은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지금까지 보고된 기존의 다층 초박막 패터닝 방법은 금 박막이 코팅된 표면 위에 소수성 물질인 alkanethiol의 micro-contact printing 기법을 이용하여 선택적인 위치에 흡착시켜서 소수성의 성질을 가지고 있는 영역에서는 박막을 성장 시키지 않고, 소수성의 물질이 흡착되지 않은 영역에서만 다층 초박막을 선택적으로 성장시키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효소(enzyme)와 같이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물질이 코팅된 기판위에 다층박막 패터닝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열처리, UV처리, 독성용매 등을 이용한 방법들에 의해 효소활동의 제한을 받아서는 안 된다. 즉, 바이오 물질을 이용한 다층 초박막 패터닝은 바이오 물질에 직접적으로 물리적, 화학적 손상을 야기하지 않는 안정적인 공정이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바이오 물질을 이용한 선택적인 패터닝을 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방법대신 생물학적 활성에 전혀 손상을 주지 않는 새로운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 다중검출과 향상된 민감도를 갖는 효소기반의 전기화학 바이오 센서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검출기능 물질들이 전기화학적으로 활성화된 박막내부에 삽입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높은 민감도를 갖기 위해서 검출하고자 하는 물질의 분자와 감지물질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이 요구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효소가 코팅된 표면 위에 촉매 성질을 갖는 금속 나노 입자들의 다층박막 패터닝을 하게 되면 집적도의 향상과 뛰어난 민감도를 갖는 전기화학 바이오센서를 제작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본 연구자는 pH 변화에 따라 정전기적 전하가 가역적으로 양전하 또는 음전하로 변하는 효소의 화학적 성질을 사용하여 바이오 물질의 생물학적 활성에 전혀 손상을 주지 않고 유기/유기, 유기/무기 간의 선택적인 다층박막 패터닝이 가능한 새로운 방법을 연구하였다. 또한 본 연구자는 이러한 새로운 패터닝 방법을 이용하여 보다 집적화된 촉매 성질과 함께 효율적인 전기화학 바이오센서를 만들 수 있음을 연구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효소의 일종인 카탈라제(catalase)의 가변적인 정전기적 성질을 이용하여 효소 박막층과 유기 또는 금속 나노 입자층 사이에 인위적으로 정전기적 척력을 반복적으로 야기 시킴으로써 선택적인 영역에서만 다층박막의 성장을 유도, 다층박막 패터닝을 구현하고, 더 나아가 이렇게 구현된 다층박막 패터닝으로 만든 전기화학 바이오센서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측정함으로써 패턴 되지 않을 때 보다 민감도가 더욱 향상되고 집적화된 센서 기능을 보일 수 있다는 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는 새로운 다층 초박막 패터닝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나타나는 집적화된 촉매효과를 통해 다양한 바이오센서 및 전기전자 소자로의 적용이 가능한 연구이다. Selective organic/organic and organic/metal nanoparticle multilayer patterns are prepared using the pH-induced properties of an enzymatic surface without any hydrophobic alkanethiol or photolithiographic processes which can cause a loss in enzyme activity. Furthermore, the electrochemical sensors fabricated from patterned polyelectrolyte/Pt_(NP) multilayers more effectively exhibit metal and biocatalytic properties than those of unpatterned electrochemical sensors.

      • 노인 여성의 체육활동에 따른 우울증에 관한 연구

        박정주 이화여자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여성의 체육활동에 따른 우울증에 관한 연구로써,노인여성의 체육활동 참여를 증가시켜, 보다나은 건강한 생활을 도모하며 나아가 노인여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은 서울시 중구(S동, G동, J동), 서대문구(D동)와 경기도 분당구에 거주하고있는 만60세 이상의 노인여성으로체육활동 참여자 145명, 비참여자 171명으로 총36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회수된 자료는 SPSS/win ver. 7.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분석방법은 평균, 빈도수, 표준 편차를 구하고 가설검증을 위하여 ANOVA 분석 및 X^ 2 -test, t-test를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자료분석결과를 기초로 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여성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증의 차이는 나이가 많을수록,학력, 경제수준이 낮을 수록, 건강상태가 나쁘다고 생각할수록 노인여성의 우울 정도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여성의 체육활동 유무에 따른 우울증의 차이는 체육활동에 참여한 노인여성이 참여하지 않은 노인여성에 비해 7가지요인(중심적우울증상, 흥미상실, 불행감, 초조감, 인지적 비효율성, 사회적 철수경향, 의욕부진)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1). 셋째, 노인여성의 체육활동 참여 종목에 따른 우울증의 차이는 배드민턴,아쿠아로빅, 스포츠댄스, 체조, 등산, 게이트볼 순으로 우울증의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study was focused on perceiving how physical exercise can effect depression of old women, have the depressed women participate more in such physical activity, and ultimately providing fundamental material for a more healthy and improved life. To accomplish its purpose, the subject of this study used questionnaire with a total of 361 women aged over 60, including 145 who take physical exercise and 171 who don't, from the areas of Joong-gu(S-dong, C-dong, and J-dong), Seodaemun-gu(D-dong) of Seoul, and Bundang-gu of Kyung-gi province participated as examines for the study. The statistics was drawn from the SPSS/win ver. 7.5 program based on the recollected material. Averages, frequencies,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drawn for analysis, and the anova analysis and the x²-test, t-test were done for verifying the hypothesis. And through the above methods and results of analysis, the following are concluded,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of depression according to the general attribute of old age women, the degree of depression had more severed in the following order, older, less well off financially, less educated, and worse health condition. Second, regarding the degree of depression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examines took physical exercises, those who did take exercise had shown a considerable difference from those who did not in all of the 7 categories (symptoms of depression, loss of interest, feeling of unhappiness, anxiety, inefficient cognitive activity, the tendency to withdraw from social activity, and lack of motivation) (P<.001). Third, according to what kind of exercise the examines took the degree of depression varied. Those who participated in gateball games would be the least depressed followed by those who would go mountain climbing, those who take gymnastics, those who go sport dancing, those who take aqua aerobics (swimming) classes, and those who play badminton in order.

      • 인지갈등 수업전략을 통한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질량 보존 법칙에 대한 오개념 바로잡기

        박정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는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질량 보존 법칙에 대한 오개념의 유형을 분석하고, 이를 바로잡아 올바른 과학적 개념으로 형성하는 데에 인지갈등 수업 모형이 효과적임을 알아보는 것이다. 질량 보존 법칙에 대하여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개념의 유형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와 제7차 교육과정에서 다루고 있는 기본 개념들을 분석하였으며, 선행연구 결과 학생들에게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오개념이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이 중 가장 많이 나타나는 오개념을 과학적 개념으로 바꿀 수 있도록 인지갈등 수업 모형에 맞게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경기도 G시 시내에 소재하고 있는 G중학교 3학년 6개 학급 238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고, 각각 인지갈등 수업과 전통적인 수업을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는 이미 개발되어 있는 자료를 중심으로 7개 문항으로 구성된 개념 문항지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개념의 유형은 매우 다양함을 알 수 있었고 수업 진행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서 비슷한 오개념 유형이 확인되었다. 다수의 학생들은 주변에서 일어나는 물질 변화로부터 자신의 경험과 직관에 의해 물리 변화와 화학 변화의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있었다. 닫힌 공간과 열린 공간을 전체적으로 파악하지 못하고 부분적인 변화에만 초점을 맞추어 질량 보존 법칙을 설명하는 경우도 많았다. 또한 질량 보존 법칙을 많은 상황에서 기계적으로 적용하는 등 선행연구와 비슷한 유형의 오개념이 확인되었다. 전통적인 수업방식에 의한 수업과 인지갈등 수업 모형을 적용하여 수업을 실시한 결과 개념 문항지 답변의 유형은 두 집단 모두 비슷하였다. 그러나 대표적인 오개념을 바로잡기 위하여 처치가 들어간 부분에서는 인지갈등 수업 모형을 적용하여 수업을 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오개념의 빈도가 줄어들고 과학적 개념의 빈도는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유의수준 0.05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질량 보존 법칙에 대한 과학적 개념 형성과 파지효과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교사가 수업을 진행하기 전에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학습내용과 관련한 학생들의 오개념 유형을 파악하고, 이러한 오개념을 바로 잡아 줄 수 있는 구체적인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해야함을 보여 준다. 따라서 지속적인 인지갈등 수업 모형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types of the misconception of 3rd grade students about the law of mass conservation and correct it to find out that 'cognitive conflict instruction' is effective in forming precise scientific concept. To understand types of the student's conception, basic concepts handled in previous research and 7th curriculum, and the remarkable misconception shown by students in the previous research are analyzed. Also the instructions that fit in the cognitive conflict instruction plan to avoid significant misconceptions and to build scientific concepts are developed in this research. For the research, the six class of 3rd grade located Gyeonggi-do in G city G middle school 238 students are selected then they are separat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cognitive conflict instruction was conducted to the one, and traditional instruction to the another. Conceptional questionnaire which is constructed in 7 questions centering around previously developed data is used. According to the study, the types of the student's conception are various and both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has similar types of misconception after the instructions. Most of the students apprehended the basic conception of the physical and chemical change by virtue of their experience and intuition from material change occurs around them. However, numerous students were explaining the law of mass conservation as focussed only on the partial change or unable to understand generally about closed and open system. Besides, these students also had similar misconception as what they had in previous research like applying the law of mass conservation automatically in many situation. As the result of enforcing instruction in traditional method and in cognitive conflict instruction, the type of both groups' conceptional questionnaire's answer was similar. But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applied the cognitive conflict instruction revealed less misconceptions than control group. Collectively, experimental group gave affirmative and retained effect on forming scientific conception about the law of mass conservation comparing with control group (P <0.05). This result showed that teacher first should understand the type of student's misconception connected with study content through various methods before the instruction, then should develop the definite teaching and learning data which can correct these misconceptions. Consequently, sustaining research about cognitive conflict instruction should be carried out.

      • 연안어선 종사자의 근골격계질환 및 작업부하 평가에 관한 연구

        박정주 東亞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재 우리나라의 어업은 농업과 마찬가지로 어업 종사에 대한 젊은층의 기피현상으로 인해 어업 인구가 점차 고령화되어가고 있으며 날씨, 파도 등으로 인한 열악한 작업환경, 어업기구의 노후화, 좁은 작업공간과 파도로 인한 어선의 유동으로 인해 불편한 자세로 작업을 해야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어선원의 건강과 안전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이는 곧 근골격계질환을 유발할 확률이 매우 높다. 본 연구에서는 연안 어업에 종사하고 있는 어선원들의 근골격계질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어선원들의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또한 근골격계질환을 유발하는 원인을 파악하기위해 연안 유자망어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인간공학적 평가(RULA, REBA, NLE)를 실시하였다. 연안어선원들의 신체 부위별 증상은 허리 84.6%, 어깨 82.7%, 목 68.2%의 순으로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유자망어업을 대상으로 작업부하를 평가한 결과, 어획물 하역작업, 양망 작업 등이 과도한 힘 및 반복적인 동작으로 인하여 허리, 어깨, 손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연안 어선원들의 근골격계 증상 경험과 그와 관련 여러 가지 요인 및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고 실제 소형 어선 작업에서 나타나는 근골격계 부담 작업들에 대한 인간공학적 평가를 통하여 작업의 유해요인 및 위험 수준 등을 파악해 보았다. 어선 작업의 경우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인식 및 유해한 작업환경에 노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관리나 지원이 매우 부족한 실정임으로,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어선 작업에 대한 인간공학적 작업개선 방안 등이 절실히 필요하며 적극적인 참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Currently, national fishery population is aging gradually due to the present condition that young peoples avoid fishery as they do for farming, and such condition is worsened by poor working environment caused by climate, rough wave, worn fishery tools, narrow working space and rough, which cause discomfort postures. Such matters are greatly influential on the health, safety of the fishermen causing WMSDs which is quite high in incidence.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in this study to detect the actual state of WMSDs for the fishermen, and conducted ergonomic assessment(RULA, REBA, NLE) to find out the cause for WMSDs generation for the fishermen involved in coastal drift gill net fishery. WMSDs symptom of the coastal fishermen appeared in various parts of the body in the order of 84.6% for waist, 82.7% for shoulder, 68.2% for neck, and the assessment for work load for drift gill net fishery showed the result that the unloading of fish, hauling net work which require a lot of energy spending and repeated movement were greatly influential on waist, shoulders and hands. In this study, musculoskeletal symptoms of the coastal fishermen and related various factors,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and grasped of the harmful factors of the work and risk level through ergonomic assessment for the works imposing heavy burden on musculoskeletal in the small fishing boat. Working in the fishing boat is harmful work environment being exposed to WMSDs, and yet, management or support for that are wholly lacking, and this study, as a basic data, could be contributive to the plan for ergonomic work improvement for the fishery working with active particip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