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뒤틀린 기독교’굳히기

        박정신(Chung-shin Park),박규환(Qu-hwan Park)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2 현상과 인식 Vol.36 No.1

        이 글은 박 정희 시대 한국 개신교의 자취를 돌아보고 그 됨됨이를 밝히고 있다. 박 정희 군사 독재 시기 한국 개신교는 정통성과 정당성을 결여한 정치권력에 맞설 수 있는 자원을 지니고 있었지만 또 다시 정교유착의 길을 선택, ‘뒤틀린 기독교’를 굳혀놓았다. 교회 조직의 이익을 위하여 스스로 권력의 우산 아래로 들어가 기존 질서를 신성시하는 담론과 행동을 생산하였던 것이다. 이를 증명하기 우I하여 이 글은. 군사정권과 개신교의 엉김의 역사. 이를테면 쿠데타와 베트남 파병, 삼선개헌과 10월 유신에 대한 개신교의 대응을 살펴보았고 개신교가 정교유착의 매개로 채택한 ‘국가주의’ 담론의 내용과 유통 경로를 확인하였다. 박 정희 시대 개신교는 또한 박 정희의 ‘돌진적’이고 ‘반동적’인 근대화에 엉김으로써 ‘교회교’로 전락하였다. 이를 논증하기 위하여 이 글에서는 박 정희 식 근대화에 호응하여 내놓은 개신교의 교회 성장 전략과 성장 신학을 검토하고, 교회가 유물론과 성장 신학의 포로가 되고 ‘봉건적’ 종교로 굴절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군사 정권과 유착하여 국가주의와 성장 이데올로기, 시장주의와 봉건 윤리를 재생산하는 노릇을 충직하게 수행한 한국 개신교는 조직과 영향력에서 한국 최대의 종교 집단. 힘 있는 주류 종교의 지위를 획득하였다. 그러나 삶의 현실에 대하여 끊임없이 회의하고 삶의 바탕 그 자체를 뛰어넘는 기독교 본연의 종교성, 바로 그 초월성을 고스란히 잃어버렸다. 그런 점에서 박 정희 시대는 ‘뒤틀린 기독교’로서 한국 개신교의 생김새와 됨됨이를 굳힌 시기였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define the characters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during the Park Chung-Hee era, arguing that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not only conformed to the Park"s military regime under the torch of nationalism, but also supported Park"s “modernization of the fatherland” by actively accepting the “growth-first” ideology. Firstly, as its responses to the Park"s military coup, the dispatch of troops to Vietnam, the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in 1969, and the October Revitalization Reform (Yusin) well showed,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did not stand against the existing political power that lacked legitimacy and justification. Here it showed the contents and the process of the discourse, “nationalism” which Protestant church chose to get close and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dictatorial government to achieve the church"s interests. Secondly, Korean Protestant church degraded to a ‘Churchianity’ by sticking to the Park"s reactionary and rush-to modernization. To prove this, it examined the strategies and theology for their church growth that churches presented to respond to the Park"s modernization. And also it observed that churches became a slave of materialism and theology of church growth then came to be a feudalistic religion. With the adoption of “nationalism,” which was in fact a statism, and the “growth-first” ideology,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could become the biggest and the most influential religious organization in Korea. However, in the process of quantitative growth, it lost its original transcendent ideal that makes it possible to criticize and relativize the worldly life. In this point,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e distorted nature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was confirmed again during the Park"s regime.

      • KCI등재

        구한말 조선에 온 칼뱅주의 구학파

        박정신(Chung-shin Park)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09 현상과 인식 Vol.33 No.3

        이 글은 미국을 통해 구한말 조선으로 유입된 칼뱅주의 구학파의 신앙과 신학이 당시 한국적 상황에서 어떠한 사회역사적 역할과 기능을 하게 되었는지, 사상의 사회사적 시각에서 살펴보려는 것이다. 미국의 칼뱅주의 구학파는, 소위 고등비평에 터한 자유주의 신학이나 또 그러한 학풍에서 흘러나온 사회참여적 태도에 개방적이었던 칼뱅주의 신학파의 도전 앞에서, 더욱 더 개인구원과 축자영감에 몰두한 나머지, 칼뱅주의가 원래 지니고 있던 세상과의 맞섬 혹은 변혁의 동력을 상실하였다. 그러나 칼뱅주의 구학파라는 텍스트가 구한말 조선이라는 콘텍스트와 연결되고, 또 그 텍스트가 조선사람에 의해 해석될 때에는, 그것이 미국의 콘텍스트와 미국사람에 잇대어 있을 때와 사뭇 다른 역사적 역할 내지 기능을 발휘하였던 것이다. 요컨대, 구한말 조선에 들어온 칼뱅주의 구학파는 유교사회와 전투적으로 맞서면서 기존 질서를 해체하고 새로운 질서를 낳는 역사변혁의 원동력으로 기능하였다. 이러한 의미에서 역사 현상을 제대로 읽어내기 위해서는 텍스트에만 집착하거나, 텍스트와 콘텍스트의 관계만 살피는 것으로는 부족하고, 그 텍스트를 접한 이들이나 집단이 함께 빚어 만들어내는 한 편의 드라마를 총체적으로 살펴야 한다. 실증사학을 넘어 해석사학으로 그리고 설명의 사학으로 나아가야 하는 이유가 거기에 있다. This essay aims to explore how the old-Calvinism in America had effected on and had been effected by the late Confucian Korea from the social historical view of thoughts. The old-Calvinism in America had lost its original spirit of social transformation in Geneva, because it gave a challenge to the new-Calvinism that focused on the liberal theological trend based on higher criticism and social gospel movement. However, as the American missionaries who had been influenced by the old-Calvinism and the Puritanism came to the late Confucian Korea, the old-Calvinism came to function as the motive power or the driving force to transform the given social structure and the old morality stemmed from Confucianism. In sum, the old-Calvinism met with the late Confucian Korea went totally different way from the one in America. It shows that to read the historical phenomenon in the appropriate way, we, I agree, need to consider the triple relationship whose components are text, context, and agents or carriers. It is the very reason why we should scrutinize the historical studies of explanation or interpretation instead of reading history based only on texts.

      • KCI등재

        이웃되기의 역사학

        박정신(Chung-shin Park)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7 현상과 인식 Vol.41 No.1/2

        인류의 역사는 인간 활동공간 확장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인류의 조상이라는 호모 사피엔스가 수렵채취의 삶을 꾸리던 산에서 강가로 내려와 농업공동체를 이룬 것이 인간 활동공간 확장의 시작이다. 그 후 과학혁명과 산업화를 이룬 유럽 사람들이 '새 자원과 새 자원'을 찾는다며 아프리카, 아시아, 아메리카로 활동공간을 확장해 갔다. 지금은 정보기술혁명으로 세계화시대를 열었다. 인류가 하나의 지구촌에서 살게된 것이다. 이 인간 활동공간 확장의 역사를 읽으면 두 현상이 반복되어 일어났고, 지금도 그러하다는 점을 인지할 수 있다. 하나는 '칸막이 허물기'이고 다른 하나는 '칸막이 두르기'이인데, 이 두 행위(세력)가 끊임없이 갈등을 연출한다. 오늘과 같은 하나의 지구촌에서 삶을 꾸리는 우리는 아직도 다른 피부, 언어, 문화, 종교, 경제나 정치 영역에 설치된 '칸막이 안의 삶'을 살고 있다. 그래서 나는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인종, 종교, 문화, 이념의 칸막이들을 허물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서로 '다름'을 이해하고 인정해 공존의 지혜를 가지자고 호소한다. 이렇게 할 때 '타자'가 '이웃'으로 다가오게 된다. The long history of humans is an expanding process of `human activity space`. The Homo sapiens moved from the mountain, where they lived by gathering foods and hunting animals, down to the riverside, where they established agricultural communities. Since then, the European who initiated scientific revolution and industrialization, went out to Africa, Asia, America and so on to search for 'new natural resources and new market'. Now, the IT revolution is globalizing humans to lived so-called 'global village'. Reading thing history of expansion of 'human activity space'. we can observe two phenomena have occurred and are still occurring. One is 'breaking the divider'. and the other 'building the divider'. We who live in the global village today experience a variety of divider among different skin colors, languages, cultures, religions, economies, politics and so on. That is why I suggests we have to break the dividers between many differences in order to make the better world. By doing so, 'the other' can become 'our neighbor'.

      • KCI등재

        구한말 ‘기독교 민족주의

        박정신 ( Chung-shin Park )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4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38 No.-

        Despite many contributions to the study of nationalism or nationalist movement in modern Korea, there has been little attention given to 'Christian nationalism' or Christian nationalist movement. Scholars, who study modern Korean history, have presented only in negative way, arguing that Protestant Christianity in Korea was a product of the West’s expansion into Asia. Christianity, they say, was an instrument of Western imperialism. They have denigrated the church by limiting their studies to the missionaries who, consciously or not, cultivated friendly relations with Japanese colonial authorities during the colonial period. What they have ingored is the fact that even though Christian missionaries might have acted as the vanguard of Western imperialism, circumstances in Korea push Protestant Christianity in a direction the missionaries might not in fact have intended. These scholars have not appreciated the fact that the imperialist enemy in Korea was Japan, not the West. The Japanese threat induced Korean nationalists to join the religious community to obtain modern education, spiritual solace, a sense of association, and political solidarity. In this sense, Friedrich Engels was right when he said that history never turns out exactly the way historical actors intended. Under this particular historical circumstances, Protestant Christianity and Korean nationalism came to be associated or fused, and there appeared 'Christian nationalism. Recently, some scholars have begun to see this relationship between Protestantism and nationalism in modern Korea. They have studied the Independence Club, the 105 Men’s Case, the March-First Movement and so forth. Some of them, who see this linkage, now attempt to how much Christian faith or how much nationalist motive involved in the so-called Christian nationalists' activism. This quantitative approach, however, are not welcomed and not necessary to our discussion of 'Christian nationalism in modern Korea. How can one evaluate quantitatively a nationalist behavior? Quantitatively, how much Christian faith or how much nationalist motive a 'Christian nationalist' behavior might show one can call him or her a Christian nationalist? This article rejects such an quantitative analysis and invites scholars to discuss those actual facts and events in which 'Christian nationalists involved. It is very difficult to distinguish, this article finds, those Christians who participated in a nationalist movement because of their Christian faith from those Christians who involved in such nationalist politics because of their nationalist motive. For, in both, Christian faith and nationalist motive were associated and fused. No one refutes the fact that Christians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Independence Club movement in Late Confucian Korea. Nevertheless, those, who have studied it and other progressive reform movements at the time, have developed their interpretation without connecting events with the Protestant church community. They have failed to considered the social and political linkage between protestantism and progressive reform politics. Consequently, they have not been able to explain how those social and political movements occurred, who initiated them, what social and political bases the reform activists and nationalists relied on, and so forth.

      • KCI등재

        칸막이를 허무는 교회

        박정신(Chung-shin Park)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3 현상과 인식 Vol.37 No.4

        역사란 무엇인가? 모든 역사가들이 이 질문에 대답하였다. 한사람의 역사가로서 나 또한 이 질문에 대답하고자 한다. 긴 학문의 여정 후에, 나는 인간 역사를‘인간 활동의 공간을 확장하는 과정’으로 동시에‘인간들 가운데 있는 다양한 칸막이들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정의하였다. 이 논문은 인간이 고대로부터 현재까지 어떻게 그들의 활동의 공간을 확장시켜 갔는지를 설명한다. 이 과정 속에는 늘 현존하는 사회질서를 변혁시키는 것을 원치 않는 사람들이 있어왔다, 우리는 그들을‘보수주의자’라 부른다. 그들 대부분은 그들의 특권적 지위, 영향력, 권력 그리고 부를 상실하는 것을 두려워한다. 그래서 그들은 타자와 더불어 가지고 있는 것들을 공유하지 않기 위해 칸막이를 쳐왔다. 내가 읽은 한, 사무엘 헌팅턴이 기술한‘문명의 충돌과 세계질서의 재편성’은 이 지구촌에서 다양한 칸막이를 치고자 하는 또 하나의 시도이다. 우리는 한국교회사 속에서 동일한 반응을 볼 수 있다. 기독교가 조선후기에 들어왔을 때, 사랑방 교회는 성, 계급, 지위 그리고 심지어 나이에 의해 나누어진 사람들 가운데 있는 가시적 그리고 불가시적 장벽들을 허물었다. 한국 전역의 사랑방교회들은 유교화 된 사회적 칸막이들을 부정하였다. 그러나 오늘날의 한국교회들은 이러한 역동적 해방운동을 상실하였다. 교회에서 권력을 장악한 사람들은 권력을 장악하지 못한 사람들의 활동 공간의 확장을 강력하게 저지하고 있다. 그 결과 우리는 교회에서 다수의 유사-헌팅톤들을 만난다. 희망이 어디에 있는가? 누가 한국교회의 칸막이를 허물 수 있는가? 나는 이 희망은 주변부화 되고 이 칸막이들을 불편하게 여기는 사람들로부터 온다고 믿는다. 그렇다면, 우리는 누구고 우리는 어디에 있는가? What is history? Every historian has asked such a question. A historian, I, have also been asking this question. After a long scholarly journey, I came to define the human history as ‘the process of expanding the spaces of human activity’ and at the same time ‘the process of breaking down a variety of dividers between and among human beings’.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humans have been expanding their space of activity from the ancient period to the present. In this process, there have always been some people who are unease to change the existing social order. They are, we call, ‘conservative’. Most of them have been afraid of losing their privileged status, influences, power and wealth. Thus, they set up a divider not to be shared anything they have with others. The Clash of Civilization and Remaking of World Order written by Samuel Hungtinton, I read, is also an attempt to set up various dividers in this global villages. We can see the same reaction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churches. When Christianity came to the late Choson, the Sarangbang churches broke down many visible and invisible walls among the people who were divided by sex, class, status, and even age. The Sarangbang churches throughout Korea denied the Confucianized social dividers. However, today’s Korean churches have lost such dynamics liberating movement. Those who have power in the churches strongly block the expanding of the activity space of those who have no power. As a result, we meet many quasi-Hungtintons in our churches. Where is the hope? Who can break down the divider in the Korean churches? I believe the hope will come from the people who are marginalized and feel not comfortable with those dividers. Then, who are we and where are we?

      • KCI등재

        뒤틀린 해방체제, 그 너머

        박정신(Chung-shin Park)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5 현상과 인식 Vol.39 No.4

        1945년 8월 15일. 시인 심 훈이 기린 ‘그 날’은 오지 않았다. 우리의 해방은 독립을 위해 일생을 헌신한 이들을 소외시킨 해방, 일본 강탈기에 친일로 생존했던 이들이 기득권 세력이 된 뒤틀린 해방이었다. 이 글은 광복 70년을 돌아보며, 어떤 관점으로 우리 역사를 보아야 하는가에 대한 성찰의 역사학에 잇대어 있다. 1920년대부터 좌 · 우로 나뉘어 서로 대립했던 역사가 해방 공간에서도 그대로 펼쳐졌으며, 6 · 25전쟁을 거쳐 오늘까지 이어지고 있다. 해방 후 ‘합작’의 움직임이 있기는 했지만 좌절되었고, 시류를 교묘하게 이용하는 ‘꾼들’이 생존을 위해 이익을 취하는 터전이 되었다. 그러나 ‘새 날’을 맞이하려 준비한 사람들도 있었다. 일제식민통치 시기에 독립운동을 한 사람들처럼 독재에 맞서 민주와 통일의 깃발을 들고 일어선 사람들의 역사도 있다. ‘앎’이 아닌 고된 ‘삶’으로 뒤틀린 역사를 바로잡고자 몸부림친 사람들이 ‘새 날’을 꿈꾸며 만들어온 역사다. 여전히 자신과 생각이 조금만 달라도 적대시하며 공격하는 세상이다. 참혹한 분단체제, 뒤틀린 해방체제의 결과다. 그래서 이글은 ‘그 너머의 날’, ‘그 날’을 꿈꾸는 이들에게 적대 대신에 화해, 증오 대신에 용서, 미움 대신에 사랑을 하자는 윤리적 행동을 촉구한다. August 15, 1945, the day of Liberation was not "the day," which a poet Sim Hun had longed for in 1930. The day was not a beginning of a new nation-state where the nationalists established as leading actors. Instead, the day was a beginning of a "distorted liberation order", where the Korean nation was divided and the so-called pro-Japanese collaborators continued to enjoy their established power, wealth and prestige in the South. This article, by reviewing and reflecting the 70 year-history of this distoted liberation order, is designed to show how to end this Korean tragedy, It will discuss the beginning of the "distored liberation order," the division of the nation, the Korean War and the 70year-history of this order. During this period, the Koreans people were divided and fought each other ideologically and politically. During this tragic period, however, some Koreans, such as Kim Ku, Kim Dae-jung and others, had worked to end this distored liberation order. To end this distorted liberation order, that is, the division of the nation, this article will argues, the Koreanh people should change their heart and mind from hostility into reconciliation, from hatred into forgiveness and from hate into love. Then, a new day beyond the distorted liberation order, the day Sim Hun longed for, will come. This is a historian"s wish in this year, the 70th anniversary of the liberation.

      • KCI등재

        ‘뒤틀린 해방’의 기억

        박정신(Chung-shin Park)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0 현상과 인식 Vol.34 No.3

        올해 우리 사회는 보수와 진보를 막론하고 특별한 역사적 기억들을 반추하기에 여념이 없다. 일본제극의 조선 병탄, 6ㆍ5전쟁, 4ㆍ19혁명, 5ㆍ18광주민주화항쟁 등이 각각 의미 있는 역사적 모멘텀을 맞이하였기 때문이다. 그런데 올해 벌어지는 우리 근현대 역사의 이야기들을 듣노라면, 보수와 진보 그 어느 쪽의 이야기이든, 우리 역사에서 일정 부분 권력을 향유한 이들의 이야기들임을 발견하게 된다. 그러니까 오늘의 보수와 진보의 권력 밖에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는 기록하자고, 기억하자고 주장하는 소리는 들리지 않는다. 그리하여 역사를 공부하는 우리들은 의당 이런 질문을 던지게 된다. 역사란 기득권 안에 있는 사람들만의 기록이고 기억인가. 역사의 전면에 ‘주류’로 등장하지 못한 이들의 이야기는 그저 무시되거나 비l제되어도 되는 ‘역사’ 인가. 이 글은 ‘체제의 지식인’이 아니라 ‘삶의 지식인’으로서 역사학에 몸담고 있는 사람의 관점에서 숭실대학 이야기를 통해 “또 하나의 역사읽기”를 시도하려는 것이다. 이 땅 최초의 근대 대학으로서 1897년 평양에 문을 연 숭실대학교는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에 불복했다는 이유로 폐교의 운명을 자초한다. 그러나 해방 후 이러한 숭실의 역사는 기억되지도, 주목받지도 않았는데, 이는 친일하며 권력을 장악한 기득권 세력들이 해방 후에도 계속 ‘체제의 사람들’ 로 기반을 닦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뒤틀린 해방’ 과 숭실대학에 대한 잊혀진 역사의 기억은 우리 역사를 바로 읽고자 하는 이들에게, 그리고 정의로운 올제를 준비하고자 하는 이틀에게 지적, 윤리적 깨달음으로 다가온다. Throughout this year, our society is agitated for historical memories, such as the Japanese Annexation of 1910, the Liberation of 1945, the Korean War of 1950, the April Revolution of 1960, the Kwangju Uprising for Democracy of 1980, and so forth. Scholars, journalists and even politicians have been very busy in showing up in a variety of semischolarly and semi-political events, which are designed to commemorate these significant events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people. Almost all discussions on these events, it seems, are divided into two: the conservative and liberal camps, who have shared power and influence in the existing social order. Thus, these discussions are mostly their own stories for their own sake, emphasizing and heroizing their own heroes and heroines. It is rarely heard of the story on ‘the powerless’who have been outside of the establishment. Therefore, some serious historians, I believe, should ask the following questions : Is history only the memory or record of the main streamers or the privileged? Or, is it right for historians to ignore or exclude the story of the non-mainstreamers or the under-privileged? This paper is an attempt on “an another history-reading”through the Soongsil University story. Soongsil University, established in Pyongyang in 1897 as the first modern university in Korea, had been forced to close down by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in 1938, since the school refused to worship at the Japanese Shinto Shrine. From its close to its reopening in Seoul in 1953 after the 1945 Liberation and the division of Korea, no one has cared of its story. Even since its re-opening in Seoul, no one has talked about its nationalist and religious tradition of anti-Japanese colonial rule. It is our belief that Korea’s liberation was distorted and twisted, since pro-Japanese intellectuals and collaborators came to control over almost all dimensions of Korean society ever after the Liberation of 1945. The sad Soongsil University story is on our distorted Liberation. To write a genuine and just history of Korea for the future, this paper argues, the sad Soongsil University story ought to be recorded and remembered not just as ‘its’history but as ‘our’history.

      • KCI등재

        체제의 교육, 삶의 교육

        박정신(Chung-shin Park)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3 현상과 인식 Vol.37 No.1/2

        한 세기 전, 서양선교사들이 이른바‘근대교육’을 시작하였다. 이 글은 이들이 여기저기 서양식학교를 세워 어떤 교육을 하였는지, 특히 최초의 근대대학 숭실을 세운 윌리엄 베어드의‘교육 생각’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과거시험을 통해 관리가 되고자 하는 유교체제의 교육과 비교하는 것이 필수다. 베어드는 한양 중심ㆍ엘리트 중심의 체제 교육에 맞서‘삶의 교육’을 지향하고자 하였다. 그러한‘교육생각’은 숭실이 평양에 문을 연 것만 보아도 잘 알 수 있다. 숭실이라는 이름 역시 삶과 동떨어진 관념론적인 허학이 아니라 삶에 잇댄 실학을 숭상하겠다는 의지가 반영되어 있다. 한 세기 후, 이 땅의 교육ㆍ이 땅의 대학은 어떤가. 국가권력, 자본권력과 더불어‘삼각편대체제’의 한 축을 이루는, 체제의 교육ㆍ체제의 대학이 되어 버렸다. 오늘의 대학을‘죽은 대학’이라고 고발하고 대학을 떠난 김 예슬의‘교육생각’에 그러한 비판이 잘 드러나 있다. 김 예슬은 무한경쟁에 편승하여 탐욕의 역사에 동조하도록 부추기는 체제의 대학에 절망하여 진정한‘삶의 대학’을 향해 길을 떠났다. 그의 선택은 오늘의 교육ㆍ오늘의 대학을 자기 성찰의 마음가짐으로 살펴보도록 우리 모두를 일깨운다. More than one century ago, Western missionaries came to Chosun Korea and opened Western-style schools here and there. This was the beginning of the so-called ‘modern education’ in this land. This essay aims to explore what the educational orientation of modern schools was, through studying the educational thought of William Baird, who established Soongsil University in Pyeng Yang in 1897. For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compare Baird"s philosophy of ‘education of life" with the traditional dominant Confucian education at that time. These days, some thinking Koreans are critical of our education, especially our established college education. In this essay, I argue, our education is a part of the so-called triangular social order along with state and market. Therefore, our education is, by, for and of this triangular social order. This essay discusses the problems of our education and our university, through examining the critical thought of Kim Yesul, who declared ‘the death’ of our university education and ‘left with no regret’ her university in the year of 2010 dreaming of ‘education of life’. This essay, I hope, calls for a ‘voice of hope’ in this ruined, hopeless land by the triangular social order of political power, economic power and intellectual power.

      • KCI등재

        The Protestant Church as a Political Training Ground in Modern Korea

        Chung-shin PARK(박정신)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07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11 No.-

        이 논문은 해방이후 남한에서 기독교인들이 정치무대의 중심에 선 역사 현상에 주목하고 있다. 남북분단, 미군정과 이승만의 등장이 친기독교적 분위기를 낳았고, 이 흐름을 타고 기독교인들이 사회에서 득세하게 되었다는 단순한 역사이해를 넘고자 시도했다. 다시 말하면, 기독교인들은 해방 이전에 이미 사회, 정치, 문화 등 여러 분야에 지도적 자리에 올라와 있었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바로 이 기독교인들은 구한말 이후 줄곧 새 교육을 누구 보다 먼저 받았고, 교회 안팎의 다양한 프로그램과 활동을 통해 새로운 정치훈련을 받은 무리였었다. 대중 앞에서 대중연설을 할 수 있고, 여러 모임을 만들어 운영할 수 있는 정치훈련을 받았다. 그렇기 때문에 인구 10퍼센트도 안되는 해방 후 남한에서 국회의원을 포함한 정치지도층의 40퍼센트 이상을 점할 수가 있었다고 이 논문은 주장하고 있다.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