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사회영향평가 연구] 동강유역 자연휴식지 및 생태계보전지역 지정을 둘러싼 이해관계의 대립과 사회영향평가

        박재묵(Park Jae-Mook) 한국환경사회학회 2002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3 No.-

        이 연구는 동강유역에 대한 자연휴식지 및 생태계보전지역 지정을 둘러싸고 이 지역에서 진행된 사회적 갈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갈등 출현의 배경적 요인으로서 동강댐 건설 계획이 백지화된 이후 나타난 지역사회의 변화를 추적하고, 새로운 갈등을 촉발시킨 요인이라 할 수 있는 자연휴식지 및 생태계보전지역의 지정이 갖는 의미가 검토되었다. 둘째로, 보전지구 지정을 둘러싸고 다양한 집단간에 나타난 이해관심의 대립 양상을 분석하였다. 주된 갈등은 생태계보전지역 지정을 추진한 중앙정부와 이에 반대하는 주민 사이에서 나타났으나, 이해관심을 달리하는 주민 집단 사이에서 그리고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간에도 의미있는 갈등이 출현하였다. 셋째로, 이러한 갈등분석이 개발사업 및 정부 정책의 시행과 관련된 사회적 영향평가에 대해 갖는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여기에서는 생태계보전지역의 지정을 둘러싼 집단들간의 이해관심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갈등 전선이 매우 복잡하게 형성된다는 점, 이러한 이해관심의 구조에는 직업, 계층 등의 객관적인 사회경제적 지위뿐만 아니라 운동과정에서 일어날 집단 역학의 요인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 그리고 지정된 지구 바깥의 주민들 역시 중요한 이해관심을 가짐으로써 지구 지정과 관련된 지구 내부 주민과 지구 바깥의 주민간의 태도 차이는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This paper analyzes the social conflict which has recently developed around the zoning of the basin of Dong-River as a 'natural rest area' and an 'eco-system preservation district' by the local government of(Gangwon Province) and the central government (Ministry of Environment). The paper first traces the social changes in this region that came about following the cancellation of the dam construction project and examines potential impacts of the zoning policies on local people's lives. Also analyzed is the structure of interest confrontations over the zoning policies among various local groups and governmental organizations. It is found that although the main confrontation line was established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anti-zoning local action groups. confrontations among local groups with opposing interests and between the central and the local government were also apparent. Finally. the paper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gained through the conflict analysis in regard to SIA(social impact assessment). It is argued here that confrontation lines were much complicated due to interest divergences among local residents, that the interest structure was shaped by not only o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of residents but also group dynamics that have evolved during the movement, and that attitude differences among the residents within the district and those outside were blurred by the fact that the latter also had considerable interests in the zoning policy.

      • KCI등재

        [특집/새만금간척사업의 환경사회학]새만금간척사업과 지역사회 변동

        박재묵(Park Jae-Mook) 한국환경사회학회 2002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2 No.-

        이 논문은 새만금간척사업이 사업지구 인근의 어촌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추적해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자료, 언론보도자료 및 심층 면접자료가 주로 사용되었다. 심층면접조사는 세 차례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조사지역은 군산시 내초동, 김제시 거전리 및 부안군 계화리이다.<br/> 새만금간척사업으로 인한 어촌지역사회의 변화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새만금간척사업과 관련된 지역사회의 변화를 야기하는 가장 중요한 힘은 방조제 축조에 따른 해수 유속의 감소와 이로 인한 갯벌에서의 오염물질의 확산이 다 이러한 어장환경의 변화는 어패류의 수획량 감소를 가져왔고, 이로 인하여 인근 해역의 어업은 쇠퇴하고 있다. 이러한 경제적 조건이 변화함에 따라 다양한 사회적 변화들이 일어나고 있다. 우선 아직까지는 본격적인 어촌탈출이 진행되지 않고 있지만, 1995년 이후 어촌마을의 인구는 종전의 증가 추세와는 대조적으로 빠르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한 바다와 갯벌의 이용을 둘러싼 어민 개인간의 경쟁이 한층 치열해지고 있으며, 같은 문제로 마을간의 갈등도 출현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 와서 주민들이 간척사업의 문제점들을 인식하게 됨에 따라 마을 주민들 사이에서 간척사업에 대한 창·반을 둘러싼 대립이 나타나고 있다. 마지막으로 어촌 주민들은 주로 1999년 이후에 조직된 시 군 단위 및 도 단위의 반대운동조직과 연계하여 간척사업 반대운동에 참여하고 있다.<br/> 보상금의 지급과 이와 연관된 갯벌 관리체계의 붕괴도 지역사회 변동을 가져 온 요인이다. 어업보상은 새로운 자원의 유입이 있을 때 흔히 나타나가 쉬운 분배의 공정성문제를 야기하고 있고 이와 연관되어 주민 내부에서 불신과 반목이 확산되어 있다. 갯벌 관리체계의 붕괴는 한편으로 같은 마을주민간의 경쟁을 심화 시키고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입어권의 재정립과 관련한 마을간 갈등을 낳고 있다.<br/> 만약 정부의 새로운 결단으로 새만금간척사업이 중단되지 않는다면, 새만금 어촌사회는 과거에 겪었던 변화보다 한층 급격한 변화를 겪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우선 해수가 출입할 수 있는 가까운 장래에는 마을 내부에서 갯벌이용을 둘러싼 경쟁과 갈등이 한층 치열해지면서 외지로의 이주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방조제 축조가 완성되면 갯벌이 사라지고 바다로의 출입로가 상실되기 때문에 대규모적 어촌탈출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br/>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impact of the Saemankeum Reclamation Project on the social structure of local fishing villages Materials for this study include literature and documents, newspapers, and m-depth interviews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three times and each imterview was held m three representative fishing Villages--Naecho-Dong in Gunsan, GerJeon-Ri in Gimjae, and Gaehwa-Ri in Euan<br/> Major social changes in the fishing villages caused by the projec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mam cause of social change Ⅲ these villages has been the construction of sea walls that not only decreased the velocity of seawater but also contributed to pollution, The resulting contamination of fishing grounds caused substantial loss of marine and tidal-flat products, leading to a Significant decline of fishery m the area<br/> The decline in fishery led to various social changes First, the population of the villages has dropped sharply since 1995 Second, competition for catching more fish and shell fish among individuals and Villages has become more severe Third, since many Villagers came to realize in recent years that the reclamation project might have detrimental impacts on their economic life, the struggle between pro- and anti-reclamation groups has become more intense Finally, some local villagers have organized an anti-reclamation movement Ⅲ alliance with other municipally- or provincially organized civic groups<br/> Compensation for the loss of fishery rights and other losses as well as the consequential collapse of community-based tidal-flat management system also have had great impacts on the local community Compensation tended to give rise to 'the problem of eligibility' and diffused mutual distrust and enmity throughout the area with the collapse of the community-based tidal-flat management system owing to the termination of communal ownership after governmental compensation, villagers came to exploit tidal-flat more eagerly. Fishermen m one village have tried to establish a new 'common of piscary' to exclude fishing rights of those living in adjacent Villages, and this has created a serious conflict among the villages<br/> If the Saemankeum Reclamation Project is not stopped immediately, these villages will undergo even more drastic social changes in the near future, when seawater still moves in and out of the sea wall under construction, competition and conflict among villagers will grow more intense out-migrants are also likely to increase When the sea wall is to be completed, however, a large-scale exodus will be inevitable, for villagers will have neither tidal-flat nor a water course to an open sea then<br/>

      • KCI등재후보

        환경재난으로부터 사회재난으로

        박재묵(Jae-Mook Park) 한국환경사회학회 2008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2 No.1

        이 논문의 목적은 2007년 12월 7일 충남 태안 앞바다에서 발생한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가 태안 지역사회에 미친 사회적 영항의 실상과 그 메커니즘을 밝히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논문은 세 개의 연구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세 개의 연구 문제는 (1) 기름유출사고 이후 태안 주민들의 사회경제생활에서 어떤 번화가 일어났는가, (2) 사회경제적 위기, 즉 사회재난에 대응하여 국가, 자본 및 시민사회는 각각 어떤 활동을 전개하였는가 그리고 (3) 환경재난에 이어 사회재난이 발생하게 만든 주된 요인은 무엇인가이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먼저 두 개의 이론적 자원이 검토되었다. 두 개의 이론적 자원은 유럽의 위험사회론과 미국의 위험사회학이다. 사회재난의 주요 양상으로 (1) 주민들이 겪고 있는 심각한 경제적 고통, 절망감 및 그 결과로서 나타나는 자살 사례, (2) 대내외적 사회 갈등의 확산, (3) 불신의 심화 등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특히 조사 결과 태안 주민들은 지역사회 내외의 기관과 조직에 대하여 높은 수준의 불신을 보여주었고, 이러한 신뢰 수준은 평상시 일반 국민들의 해당기관 및 조직에 대해서 보여주었던 신뢰 수준보다 현저하게 낮았다. 또한 사고 후 중앙정부, 지자체 등의 국가기관, 사고 관련 기업, 시민사회 등이 다양한 활동을 벌였지만, 이러한 활동들은 지역사회를 신속하게 복원하는 데 실패했다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은 적시에 이루어지지 못했고, 뚜렷한 사회복원의 개념과 전략 하에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처럼 다양한 주체들의 대응이 효율적이지 못했던 것은 기본적으로 책임당사자의 책임 이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데 기인한다. 사고의 책임 귀속은 현재까지 법정에서 공방 중이고, 국제보상체제는 보상의 신속성, 보상액의 규모, 보상 대상이 되는 피해의 범위 등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조직화된 무책임성’을 극복하기 위한 책임의 제도화가 세계적 수준에서나 일국적 수준에서나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social impacts and impacts-generating mechanism of Hebei Spirit oil spill accident which occurred in West Coast of Korea on December 7 2007. For these purpose, three main research problems were addressed. What changes have been brought about in socio-economic life of Taean people after oil spill incident? In other words, what is state of social disaster in Taean community? What actions have been taken by state, capital and civil society in face of social disaster? What is the main cause of social disaster which was accompanied with original ecological disaster? It has been found that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on individual and community level in Taean community after the accident, three main aspects were the most notable among them. They are (1)severe economic sufferings, psychological hopelessness and suicides commitment among individual residents, (2)pervasiye social conflicts and (3)deepening distrust. In particular, survey data show that local residents have high degree of distrust toward many institutions and groups and that the level of distrust is much higher than that of general Korean people in ordinary situation. After the accident many state apparatuses including central and local governrnents, accident-related corporations and civil sociery(organized and unorganized) have performed a variety of activities for relief of residents. Despites all these endeavors, their activities have failed in fast recovering of communities. The responses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were retarded and were not guided by the key concepts and strategies of social recovery. The inefficiency of the reponses is basically originated from the concerned actors' failures of fulfillment of their respective responsibilities. Decision on liability of the damages is as yet pending in court and 'international compensation regime', a representative institution of damage compensation for oil spill accidents have some serious drawbacks in resolving large scale damages due to its delayed decision, limited amount of fund available and narrow coverage of damage types. In these respects, for successful tiding of social insecurity coming from 'organized irresponsibility' in risk society, 'institutionalization of responsibility' should be expanded both on global and nation-state level.

      • KCI등재

        자원봉사자의 환경주의와 탈물질주의

        박재묵(Jae-Mook Park),이정림(Jeong-Rim Lee) 한국환경사회학회 2010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4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카페를 통해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 방제작업에 참여한 자원봉사자들의 높은 환경의식이 로날드 잉글하트(Ronald Inglehart)가 주장해 온 탈물질주의와 어떤 관련성을 갖고 있는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08년 1차 자원봉사자 설문조사에 참여한 응답자들을 대상으로 후속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1)자원봉사자들의 경우, 탈물질주의자로 분류될 수 있는 사람의 비중이 40%에 달했다. 이러한 비중은 연구자들이 기대했던 것보다 훨씬 높은 수치였을 뿐만 아니라 전국 표본 조사를 통해 파악된 탈물질주의자의 비중(2005년도의 경우 2%)에 비하여 월등히 높다. (2)탈물질주의자로 분류된 사람들은 물질주의자 및 혼합형으로 분류된 사람들에 비하여 높은 환경주의와 정치적 참여 의식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대체로 잉글하트의 탈물질주의 이론을 지지해준다. (3)환경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환경의식에는 직업, 종교, 가치유형, 성별, 대규모 개발사업에 대한 태도 등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등과 같은 국가에서 나타나는 높은 환경주의는 탈물질주의적 가치관에 의한 것이 아니라 직접적인 환경문제로 인한 것이라고 한 잉글하트의 주장과 차이가 보인다. 왜냐하면 본 조사의 연구결과, 주요 환경문제에 대한 태도가 환경의식에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이 보다 탈물질주의적 가치관이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이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aean clean-up volunteer workers’ higher level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their post-materialist values as proposed by Ronald Inglehart. For this purpose, we carried out E-mail survey, the subjects of which were the clean-up volunteer workers recruited through internet cafe or by environmental movement organizations. This survey belongs to a follow-up study, for the volunteer workers selected as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once interviewed in 2008 for the similar research purpose. The results of the surve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 proportion of those classified as post-materialists to all respondents amounts to 40%. The figure is far greater than expected and far exceeds the previous measurements (2% as of 2005) provided by national survey researches. Second, those classified as post-materialists came out to have much higher level of environmentalism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han materialist and mixed groups. This results strongly support Inglehart’s post-materialism theory. Third,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environmental consciousness is found to be affected by such factors as job, religion, value orientation, sex, attitudes toward large scale development projects in the order named. This finding is not congruent with Inglehart’s argument that the strong environmentalism found in Korea and other developing countries is not from post-materialist values but mere reflection of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This is because it has been found that although environmental problems induced by large scale development projects affect environmental consciousness but post-materialist values exert a greater effects on environmental consciousness.

      • KCI등재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자원봉사자 분석

        박재묵(Jae-Mook Park),이정림(Jung-Rim Lee) 한국환경사회학회 2009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3 No.1

        본 연구는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에 따른 방제작업에 참여한 자원봉사자들의 특성(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주관적 속성)과 참여 경로를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자원봉사 의사결정 모델을 구성하고, 이 모델에 따라 ‘애타적 공동체’로의 동원과정 및 ‘애타적 공동체’ 구성원으로부터 자원봉사자로의 선별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이메일을 확보할 수 있는 태안자원봉사 인터넷 카페 회원들과 환경단체를 통해 봉사활동을 하였던 봉사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애타적 공동체의 형성에 있어 방송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새로운 매체로서 인터넷의 영향도 중요하게 나타났다. (2)자원봉사자로 선별된 사람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젊은층, 학생, 사무직·전문관리직 종사자, 고학력층, 미혼자 그리고 물리적ㆍ심리적 거리가 가까운 지역주민이다. (3)태도 분석에서는 환경의식이 높은 사람과 개혁지향성이 높은 사람이 자원봉사자로 선별되었음이 드러났다. (4)자원봉사자로 선별된 사람들의 주된 참여 동기로는 파괴된 생태계의 복원과 피해주민과의 고통분담이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5)효능감 분석에서는 봉사 참여자들이 봉사활동에 대해 높은 수준의 만족감을 갖고 있었고, 높은 재참여 의사가 있음이 밝혀졌다. 이 연구의 성과는 태안 자원봉사자 중에서 상대적으로 자원성이 높은 집단의 참여 경로와 그들의 인구학적 특성, 주관적 속성(참여 동기와 태도) 등을 밝혀냈다는데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우리사회에 광범위하게 존재하는 친사회적 행동의 잠재적 기반과 사회봉사활동을 조직할 수 있는 새로운 매개체로서 인터넷이 가지고 있는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ascertain the demograph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and subjective attributes(motives and attitudes) of volunteers who have participated in cleanup activities undertaken in polluted seashore after Hebei Spirit oil spill incident and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ir decision-making processes of volunteering. For these purposes, a model comprising two analytically distinguishable processes(mobilization peoples into ‘altruistic community’ and making some members of that community take actions) was made and the factors affecting decision-making processes, characteristics and attributes of volunteers were examined through survey data analyses. The subjects of survey were volunteers who were recruited by internet cafes and environmental movement organizations. Two internet cafes and two environmental movement organizations provided researchers with e-mail addresses of volunteer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ly, broadcasting, among various media, has played the most important role in building altruistic community and making some members of that community take actions. Internet, one of new media, has been the second most influential media. Secondly, demograph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volunteers are found to be young age, university students, clerical and professional or managerial jobs, higher education and unmarried status. Geographical and psychological distance also has had important effects on dividing members of altruistic community into participants and bystanders. Thirdly, the greater part of volunteers showed great concerns in current environmental issues and supported reformative social agendas. Fourthly, the most important motive of the majority of volunteers for participating in cleanup activities was ‘for restoration of deteriorated ecosystem’ and the next to the most important was ‘for sharing sufferings with the damaged’. Fifthly, the absolute majority of volunteers have strong senses of efficacy; they expressed high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results of their works and their strong willings to participate again in similar volunteer works. The broad-based potentiality of pro-social behavior and internet media’s great effects on people’s responses to social issues are ascerta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need to be interpreted with cautiousness, for the respondents of the survey have been restricted to a special sector of whole cleanup volunteers, the highest group in voluntariness. The factors affecting decision making process of volunteering, demograph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and subjective attributes(motives and attitudes) of volunteers are safely applicable to highly voluntary volunteers, but not to mobilized or semimobilized ones.

      • KCI등재

        슈바이처의 ‘생명에 대한 경외’ 사상과 동양의 전통 사상

        박재묵(Jae-Mook Park) 한국환경사회학회 2013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7 No.2

        이 연구는 슈바이처의 ‘생명에 대한 경외’ 윤리의 형성에 미친 전통 동양사상의 영향을 밝혀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2장에서는 슈바이처의 ‘생명에 대한 경외’ 윤리의 문제의식 형성과 주요 주장을 제시하였고, 제3장에서는 기독교 사상, 칸트 및 쇼펜하우어의 철학, 동양사상(인도 및 중국 사상)과 ‘생명에 대한 경외’ 간의 관계를 검토했다. 이 논문은 이러한 검토를 토대로 하여 슈바이처의 ‘생명에 대한 경외’의 윤리가 주로 예수의 사랑의 윤리, 인도 자이나교의 아힘사 계율 및 중국의 도교 사상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고 보았다. 슈바이처의 ‘생명에 대한 경외’ 윤리 및 생물중심주의적 환경윤리가 인도 및 중국의 전통사상으로부터 실질적인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는 새로운 해석을 제공하는 것이 이 논문의 기여이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influences of traditional Eastern thoughts on the constitution of Schweitzer’s ‘reverence for life’ ethic. For this purpose, writer presents the essential contention of ‘reverence for life’ ethic in chapter 2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reverence for life’ ethic and various existing thoughts including Christian ethic, philosophy of Immanuel Kant and Arthur Schopenhauer, and traditional Eastern thoughts(Indian and Chinese thought). On the basis of these examinations, it is observed that Schweitzer’s ‘reverence for life’ ethic was constituted mainly under the influence of Jesus’s ethic of love, Jainist Ahimsa commandment in India and Chinese Taoism. The paper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rise of a new interpretation that tradiyional Indian and Chinese thoughts have exerted substantial influences on Schweitzer’s ‘reverence for life’ ethic and biocentric environmental ethic.

      • KCI등재후보

        환경정의 개념의 한계와 대안적 개념화

        박재묵(Jae-Mook Park) 한국환경사회학회 2006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0 No.2

        환경정의(environmental iustice)의 문제는 지난 25년간 사회과학적 환경 연구자들의 가장 중요한 관심사 중 하나였다. 이 논문은 미국에서 생성된 '주류' 환경정의론의 환경정의 개념이 갖고 있는 한계와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른 학자들의 시도들을 검토하고, 환경정의 개념의 세련화를 위해 향후 어떤 추가적인 재개념화 노력이 필요한가를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미국에서 환경정의의 담론이 등장하고 제도화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정리하고 환경정의의 주요 개념과 그 유형론을 고찰하였다. '주류' 학자들의 환경정의 개념이 갖는 한계로는 ① 인종 및(또는) 계급 변수에 대한 과도한 집착, ② 지역사회의 물신화, ③ 분배적 정의와 절차적 정의에 대한 과도한 강조가 지적되었다. 또한 대안적 개념화의 성과로는 ① 보호받을 권리 주체의 확장과 ② 생산적 정의, 실질적 정의, 승인적 정의 등의 도입을 통한 정의 개념의 확장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안적 개념화 작업로 여전히 해결되어야 할 문제점을 안고 있다. 개념의 불명료성, 환경정의 유형간의 관계의 불명료성, 낮은 정책적 실행가능성 등이 해결되어야 할 주요 문제들이다. For the last twenty five years and more environmental justice has arguably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cerns in social scientific environmental study. This article is focused on examining the limitations of the concepts of environmental justice inherent in 'mainstream' American discourse on environmental justice and the achievements of new attempts to overcome these conceptual limitations and discussing the direction of reconceptualization endeavors for elaborating the concepts of environmental justice. For these purposes, we reviewed the processes of emergence and institutionalization of environmental justice discoUtses and basic concepts and typology of environmental justice fat a start. Three major limitations of 'mainstream' scholars' concepts of environmental justice have been identified; they are excessive attachment to racial and class discrimination, relfication of community and overemphasis on distributional and procedural justice. In attempt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many scholars have been trying to reconceptualize environmental justice. Alternative conceptualtzation has been accomplished along two lines. One is extension of subjects to be protected and the other is invention of new types or meanings of environmental justice. New types or meanings of justice are productive justice, substantial and recognition justice. For all these achievements alternative conceptualization leaves behind not a few problems to be solved. Major problems are conceptual ambiguities in new types of justice, ambiguities in the relation(distinction) of types of justice, and low level of policy implementation of newly proposed environmental Justice.

      • KCI등재

        환경과 사회 연구의 동향과 전망

        박재묵 ( Jae Mook Park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14 한국사회 Vol.15 No.1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한국 환경사회학 분야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이러한 고찰을 토대로 향후 한국 환경사회학의 전개 방향을 예측해 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한 기초 작업으로서 먼저 한국 환경사회학의 제도적 확립 과정을 고찰하였다. 여기에서는 연구자 단체의 조직화와 환경사회학 및 그 관련 과목의 정규 교육과정 진입을 주로 다루었다. 다음으로 한국 환경사회학자들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그 특징을 도출해 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단행본과 함께 한국환경사회학회의 학술지「환경사회학연구」(ECO)에 게재된 논문의 주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환경사회학자들이 자주 다룬 주제는 ‘원자력·위험·재난’, ‘대규모 개발사업’, ‘환경의식·환경행동’, ‘환경문제·기후변화’, ‘환경운동·환경갈등’, ‘환경정치’ 등이었다. 또한 한국 환경사회학의 특징으로는 환경문제의 중시, 질적 자료의 활용, 자유주의적 환경개혁론, 다양한 전공의 관점 교류, 연구자와 운동가의 소통 등이 지적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 환경사회학의 과제로서 학제적 연구의 정착과 현장 중심의 연구 강화를 제시하고 있다.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o anticipate its future developments. As a groundwork for these works, we briefly examin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ere we considered the organizing process of environmental sociologists` association and the incorporation of the course of environmental sociology into the regular curricula. Nextly, we examined research trends of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ried to draw common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The most frequently dealt subjects in ECO, a representative journal in this field have been ``nuclear power, risk and disaster``,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behaviour, ``environmental problems and climate changes. And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of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y have been found to be ``focus on environmental problems, dependence on qualitative methodology, emphasis on environmental reforms of liberal tradition, exchange of perspectives among researchers from various fields, communications between researchers and activists. Lastly, it was suggested that Korean environmental sociologist should develop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field research.

      • KCI등재

        갈등관리시스템의 제도화와 갈등영향분석의 의의

        박재묵(PARK Jae-Mook) 지역사회학회 2007 지역사회학 Vol.8 No.2

        최근 한국사회의 가장 두드러진 사회적 쟁점 중의 하나는 사회적 갈등의 빈번한 출현과 장기 지속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 정부 당국은 물론 응용사회과학자들이 갈등 예방과 해결을 위한 갈등관리시스템의 구축에 관심을 기울여 왔다 이 논문의 목적은 이러한 갈등관리 시스템 구축의 일환으로 논의되고 있는 갈등영향분석의 방법을 소개하고 그 적용가능성을 검토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세 가지 문제에 논의를 집중시키고 있다. 먼저 갈등관리시스템과 갈등영향분석의 기본적인 성격을 논의하였다. 기본적으로 갈등영향분석은 갈등관리시스템의 한 구성 요소이다. 다음으로 주로 미국 학자들에 의해 제시된 모델에 바탕으로 갈등영향분석의 구체적인 절차와 세부 분석 항목들을 서술하였다. 마지막으로 서구에서 발전된 갈등영향분석이 맥락이 다른 한국사회에 어느 정도로 적용 가능한가를 검토하였다. One of the most conspicuous social issues of the recent Korean Society might be frequent emergence and long duration of social conflicts. According to these tendencies, the Korean Government and many scholars engaged in applied social sciences have had great interests in building conflict management systems for preventing and resolving social con f1ict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methodology of conflict assessment which has been discussed in the context of institutionalization of conflict management system and to examine the applicabilities of the method to Korean society. For theses purpose, the three main tasks were accomplished in this papers Firstly, the paper discussed overall character of conflict management system and conflict assessment. Basically, conflict assessment is a constituent part of the conflict management system. Secondly, the concrete procedures and detailed items of conf1ict assessment were summarized. Lastly, we examined the applicabilities of the conflict assessment method which is developed in Western countries having different social contexts from Korea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