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담자의 진로소명과 직무만족의 관계: 자기효능감과 직업몰입의 매개효과

        박미진(Park, Mee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8

        본 연구는 상담자의 진로소명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직업몰입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 1월부터 3월까지 상 =담자 209명을 표집하여 진로소명, 자기효능감, 직업몰입, 직무만족에 관한 설문을 실 시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진로소명, 자기효능감, 직업몰입, 직무만족 간에서 모두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소명은 자기효능감, 직업몰입, 직무만족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감도 직업몰입과 직 무만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업몰입 역시 직무만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기효능감과 직업몰입은 상담자의 진로소명과 직무만족 간에서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과적 으로 진로소명과 직업만족 사이에서 자기효능감과 직업몰입이 매개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 한계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counselors’ self-efficacy and occupational commitmen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ir career calling and job satisfaction. The questionnaires designed to measure career calling, self-efficacy, occup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re administered to 209 counselors from January to March in 2015. The results of this article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career calling, self-efficacy, occup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Career calling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 with the self-efficacy, occup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 with the occup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occupational commitment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 with the job satisfaction. Furthermore, the mediation effects of self-efficacy and occupational commitment ar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career calling and job satisfaction. The findings are considered in terms of the pathways through which career calling may relate to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and occup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아동용 긍정심리자본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박미진(Park Mee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7

        본 연구는 아동용 긍정심리자본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와 기존의 관련척도를 근거로 60문항을 개발한 후 초등 아동, 교사, 상담심리전문가의 평정을 근거로 적합정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된 문항을 삭제하여 아동용 긍정심리자본 척도의 예비문항 40개를 선정하였다. 2018년 9월부터 12월까지 초등학교 4, 5, 6학년을 대상으로 선정된 40개 문항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낙관성, 희망, 자아탄력성, 자기효능감 등 4개의 요인으로 구성된 최종 21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문항은 확인적 요인분석과 관련된 척도와의 상관분석을 통해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아동용 긍정심리자본 척도는 양호한 도구임이 확인되었고 아동을 대상으로 한 교육 및 지도, 상담에서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article reports that addressed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easure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questionnaire for children. For the study,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similar scales. Pilot items was developed 60 items. The adequacy of 60 pilot items was evaluated to participants including childr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counselor. The questionnaires designed to develop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questionnaire for children from September to December in 2018. 60 pilot items reduced 40 items for measure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questionnaire for children. Factor analyse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questionnaire for children yielded 4 factors that measured hope, optimism, ego-resilience and self-efficacy. From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actor structure of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questionnaire for children was accepted as solid.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among factors of the inventory to examine the construct validity showed that the relation was significant and positive. Overall, findings support that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questionnaire for children is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 KCI등재

        창의성 담론으로 본 미술교육에의 적용 가능성 고찰

        김형숙(KIM Hyungsook),박미진(PARK Meejin) 한국미술교육학회 2014 美術敎育論叢 Vol.28 No.1

        미술에서의 창의성에 대한 담론들은 철학, 문학, 예술, 기술과 같은 다양한 학문의 발전과 맥락을 같이 하며 시대별, 문화별로 차이를 드러내는데,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동서양 미술의 창조 과정에서 공통적으로 추구되는 특성은 '새로움'과 '독창성' 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새로움과 독창성을 추구하는 창의성이 미술 영역에서는 어떠한 특성을 가지는가를 살펴보기 위하여 합류 이론을 바탕으로 개인, 영역 , 환경이라는 세 가지 관점에서 미술 창의성의 특성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술 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미술 창의성의 특성은 개인적인 측면에서는 인지 능력으로서 문제 발견 능력과 정의적 특성으로서 자율성이 강조됨을 제안하였으며, 영역 측면에서는 영역 관련 기술이 그 어떤 영역보다 확장되어 있음을 그 특성으로 제안하였다. 또한 환경 측면에서는 새로운 밈(meme) 을 받아들이는 해당 사회의 개방성의 중요함을 미술 창의성이 드러나는데 필요한 환경적 특성으로 제안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얻을 수 있는 교육적 시사점은 첫째, 미술 교육에서 정서적인 면만을 강조하는 활동이 아닌 문제 발견 능력을 중심으로 하는 인지적 능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둘째, 미술 창조를 위한 개인의 자율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현대 미술의 양상을 반영하여 다양한 미술 세계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개인에게 제공하여야 하며, 넷째, 미술에서의 창조 행위에 대하여 교사 및 평가자의 개방적인 자세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discussions on creativity in art are in the context of the development of various fields such as philosophy, literature, art, and technology. Differences in development exist according to the generation and culture. In spite of these differences, the common characteristic found in the progress of the creation of Eastern and Western art was "novelty" and originality. This study discusses the confluence theory of creativity, in order to see what the characteristics of "novelty" and "originality" are in pursuing art. We consider creativity in art from three different points of view: the individual, domain, and environment: then we propose educational implications in art education. In the individual point of view, the ability to discover the problem and autonomy are emphasized in the character of artistic creativity. And in the domain side, the character of artistic creativity has expanded more than any other field in the postmodern era. In the environmental point of view, we propose that the importance of the openness of the society to accept the new meme is a necessary characteristic to reveal creativity or art. Therefor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should apply cognitive ability focusing on discovering the problem, not the activity emphasizing the emotional aspect of art education. Second, the autonomy of individuals should be guaranteed for the creativity of art. Thirdly, the opportunity to embrace the diversity of art and contemporary art in the postmodern era should be given to the learners. Lastly, the open-minded attitude of the teacher and evaluator is needed for art creation activities.

      • KCI등재후보

        여성상담자의 일-가정 갈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개인-직무적합성의 매개효과

        김현미(HyunMi Kim),박미진(MeeJin Park),김진희(JinHee Kim)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23 동서정신과학 Vol.26 No.2

        이 연구는 여성상담자의 일-가정 갈등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개인-직무적합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일-가정 갈등, 직무만족, 개인-직무적합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가설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상담기관에 근무하는 여성상담자 15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여성상담자의 일-가정 갈등은 직무만족과 개인-직무적합성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은 개인-직무적합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직무 적합성은 일-가정 갈등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여성상담자의 일-가정 갈등과 직무만족의 중요성과 효과성을 입증하였고, 효과성을 매개하는 변수에 대한 고려를 통해 이론적 확장과 더불어 실천적 시사점과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sought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erson-job f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of female counselors. To this end,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and hypotheses were derived based on previous research on work-family conflict, job satisfaction, and person-job fit. For this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158 female counselors working in various types of counseling organizations. As a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female counselors' work-family conflict had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person-job fit. Second,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son-job fit. Third, person-job fit was found to have a ful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Through this study, the importance and effectiveness of work-family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were proven,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presented as well as theoretical expansion through consideration of variables that mediate effectiv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